View : 8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서령-
dc.creator김서령-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7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0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779-
dc.description.abstractIn preventing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nd more natural environmental damages, policies and efforts should be made in a macroscopic respect; more importantly, a family, which is a basic unit of society, must make responsible action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on the basis of environment-friendly sense of value and attitu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rents'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education, analyze the effect of parents' background variable and experienc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their children instruction, and thus find out a right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parents. For this purpose, it developed a questionnaire to conduct a surve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with frequency, percentage, χ^(2) -test, t -test, and one-way ANOVA using a SPSS Ver 10.0 statistical tool for Window.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education showed that the current environmental condition was generally serious and would get worse in the future. Most parents showed an interest in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problems and also in environment-related media. They regarded the correct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as an important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almost all parents thought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parents as necessary but had little recognition of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Second, after examining the condi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parents, only a few parents had experiences i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were participating in it. They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imarily to understand environmental problems and perform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Most of them received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a private environmental group mainly on water pollution, natural ecology, recycling, and wastes. The most preferred method for environmental education for parents was lecturing, and they were dissatisfied with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And most parents delivered to their children what they were taught. Third, after examining the condition and parents' recognition of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parents generally had little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and believed that it was necessary to perform environmental education for children. Most parents offered instruction only when their children showed any problematic action relevant to environment; the most serious problem in delivering environmental education to children at home was an lack of interest in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problems. All parents were instructing their children to practice environmental protection; those with experiences i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with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education delivered more positive instruction to their children. It can be said that parents' environment-friendly actions play a role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at home. Accordingly, they must change their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n effort should be made for a systematic and constant improvement in environmental education for parents.;심각한 환경문제를 예방하고 더 이상의 자연 환경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차원에서의 정책과 노력도 요구되지만, 사회구성의 기본 단위인 가정에서 환경 친화적인 가치관과 태도를 바탕으로 환경보전을 위한 책임 있는 행동을 해야한다. 여기서 본 연구는 환경문제 및 환경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대하여 살펴보고, 부모의 배경 변인과 환경교육 경험에 따라 자녀 환경교육 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부모 대상 환경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문지를 개발하여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Window용 SPSS Ver 10.0 통계도구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χ^(2)-검증, t-검증,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나라의 환경문제 및 환경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서 현재의 환경상태는 전반적으로 심각하게 느끼고 있으며, 미래의 환경상태는 악화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부모가 환경 및 환경문제에 관심을 보였고, 환경 관련 매체도 관심 있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환경문제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것을 환경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목적으로 보았으며, 부모 대상 환경교육의 필요성은 거의 모든 부모가 인식하고 있었으나 사회환경교육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편이었다. 둘째, 부모 대상 환경교육의 실태조사에서 환경교육의 경험이 있는 부모가 매우 적었으며, 환경교육의 참여도 또한 매우 저조했다. 환경교육의 참여 이유로는 환경문제에 대한 이해와 환경보전활동을 실천하기 위해서라는 이유가 우세했다. 부모가 환경교육을 받은 기관은 민간환경단체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내용으로는 수질오염, 자연생태, 재활용과 폐기물에 관한 내용이 위주였다. 또한 부모 대상 환경교육 방법으로 강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참여한 환경 교육에서 교육내용과 방법에 대한 불만족을 나타냈다. 그리고 대부분의 부모가 환경교육을 받은 내용을 자녀에게 지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자녀 환경교육에 대한 실태 및 부모의 인식에서 학교환경교육은 전반적으로 인식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자녀를 위한 환경교육이 필요하다는 부모들의 의견이 있었다. 대부분의 부모가 자녀에게 환경에 관한 문제 행동이 나올 때만 지도한다고 하였으며, 가정에서 자녀 환경교육 지도의 문제점으로는 환경 및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녀 환경교육에 대한 지도에서는 모든 부모가 자녀에게 환경보전실천을 지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환경교육경험이 있고 환경문제 및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이 있는 부모가 자녀에게 좀 더 적극적으로 지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환경 친화적인 행동은 가정에서 자녀에게 환경교육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환경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부모 대상 환경교육이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발전하도록 노력해야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생애학습으로의 환경교육 = 4 B. 가정에서의 환경교육 = 6 C. 학교에서의 학부모 대상 환경교육 운영 사례 = 8 D. 선행 연구 = 12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4 A. 연구대상 = 15 B. 조사도구 = 16 C. 조사실시 및 분석방법 = 19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20 A. 환경문제 및 환경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0 B. 부모 대상 환경교육 경험의 실태 및 문제점 = 27 C. 자녀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 = 37 Ⅴ. 결론 및 제언 = 50 참고문헌 = 54 부록 = 56 설문지 = 57 설문구성표 = 63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961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환경교육-
dc.subject부모의 인식 및 경험-
dc.subject자녀지도-
dc.title환경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경험이 자녀 지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