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美珍-
dc.creator李美珍-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0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8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9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89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newspaper layout to readers' visual perception and to suggest the effective methods of designing newspaper advertisements in the pages of newspap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theories concerning perceptual process, especially of Gestalt psychologists, was applied to the daily newspapers published recently in Korea. The sample newspapers were gathered from Jung-Ang IL Bo which was written vertically, Sports Seoul written horizontally, and Il-Gan Sports written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fter all 33 newspape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is thesis have five chapters. In Chapter One, the motive, method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describing the motive, it was emphasized that if newspaper advertisements are to be effective, knowing about the visual perceptions of the readers which are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newspaper medium should be necessary. In Chapter Two, in order to present some theoretical bases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elements and learning were studied. Especially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and learning, some of Gestalt theories which were connected with the formative art were reviewed. And explained were Illusion effect of advertisement designes and the sociological aspects of visual perception during tile exposure to newspaper advertisement. In Chapter Three, to analyze the effects of newspaper advertisement through process of visual perception the study focused firstly on the attention aspects, and then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layout of newspaper page design and the general techniques of presenting the newspaper advertisement. In Chapter Four, on the basis of perception theories some case studies were done from the newspapers selected as the sample and then the results were presented by indicating the allocation effect on visual perception and suggesting the desirable methods of the newspaper advertising. In short, the study found that the daily newspapers published nowadays tend to allocate and present the advertisements with little thought of the relation between the layouts of news contents and advertisements. Consequently this lack of aesthetic consideration leads to the neglects in many potential aspects of visual culture. So, as one of the probable solutions to the problem raised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the art director system" be practiced in the editorial department of newspaper organization. By that very solution, it can be possible to control the readers' visual perception of advertisements within a total page by devising and implementing the various methods to their advantages, and to make the collaboration of both the editorial department and the art director in the efforts to increase the effect of the advertisements in a total page design and to keep the balance and harmony between the news contents and the advertisements.;本 論文에서는 新聞廣告를 特히 신문지면배치와 관련하여 시지각적 分折을 해 봄으로써 독자의 시지각에 미치는 效果를 발견하고, 이를 장차는 신문광고디자인이 新聞紙面 全體의 視覺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함에 硏究의 意議가 있다. 물론 이러한 지각적 상관관계가 현 체제상 정보교환이나 정보전달의 교류과정에서 매우 어렵다는 것은 알고 있다. 그러나 몇몇 정보교류가 가능한 채널을 가진 경우 그 빈도가 낮기는 하지만 원칙적으로 효과가 상승적이라고 하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으므로, 本 論文은 이러한 실행효과를 매일매일의 광고에 두고 있다기 보다 정치 사회·문화적 사건들을 광고와 관련지을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해 주므로해서 광고의 관련범위를 넓히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文獻과 현재 발행되고 있는 日刊新聞을 기본자료로 하였으며, 理論의 도구로는 주로 지각이론에 바탕을 두고 신문광고와 신문편집에 관한 상호관계를 살펴 봄으로써 문제를 추출하였다. 자료의 標本範圍는 지방지를 제외하고, 현재 서울에서 발행되고 있는 일간지 중에서 종서표본으로서 중앙일보, 횡서표본으로서 스포츠서울, 혼용된 표본으로서 일간 스포츠신문을 선정하여 표본으로 삼았다. 그러고 구체적인 신문의 선택은 본 논문의 目的에 가장 적합한 分折 대상을 임의 추출하였다. 그러나 신문편집이 news value의 정당한 평가나, 일정한 principle에 의한 지면배치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문제로 하여 자료 분석에서 한계점이 있었다. 本 論文의 전개는, 먼저 Ⅰ章에서 이 硏究를하게 된 動機를 연구진술과 연구목적을 통해 알리면서 신문이라는 매체적 특성속에서 신문광고가 보다 더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먼저 시지각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다음으로 연구의 方法과 範圍를 규정 하고 제 시하였다. 그러고 Ⅱ章에서는 視知覺의 理論的인 背景으로, 먼저 시각에 대한 이해를 하고자 시각의 속성과 특성, 학습수용에 대해 알아보았고, 다음으로 지각에 대핀 이해로서 지각의 待性과 학습수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지각의 학습수용에서는 조형예술과 관련된 Gestalt 이론을 중심으로 시지각 이론들을 전반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本硏究에서 이론의 바탕이 되는 지각이론을 이해하고자 했다. 그리고 다음으로 일루젼의 효과로써 광고디자인에 미치는 시지각적 영향과, 신문을 보는 시지각이 지니는 사회적 관련은 어떠한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Ⅲ章에서는 新聞廣告의 效果的인 側面으로 면저 注目要因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신문지면배치와 신문광고 레이아웃의 일반적인 표현방법을 알아 봄으로써 신문지면 전체에 대한 지면의 구성요소들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Ⅳ章에서는 앞서 살펴본 지각이론을 기준으로 하여, 신문광고물에 대한 사례분석을 추출된 신문에서 시도해 봄으로써 현재 게재되고 있는 신문광고가 지면배치와 관련되어져 이루고 있는 시지각적 효과의 영역과 앞으로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以上의 硏究에서 얻은 結論은, 아직 신문광고와 신문편집이 有機的인 관계를 갖지 못하고 편집은 편집대로, 광고는 광고대로 구성·제작되어지고 있어, 신문지면 全體로 볼 때는 광고면과 신문편집면과의 二重性으로 한 신문 한 지인으로서의 질서가 결여되어 있었으며, 이를 일차적으로는 신문사의 편집인들이 신문에 대한 뉴스 전달 이외에 시각 문화적 측면의 관심은 지나치게 소홀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신문광고가 보다 효과적으로 지각되기 위해서는 신문편집 분야에서도 아트디렉터 (Art Director)제도를 도입시켜야 할 것이나, 우선은 지면 전체에서 이루어지는 시지각의 중요성이 먼저 인식되어져 광고디자이너의 신문편집에 대한 이해와 함께 편집자 측에서도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져야 광고디자인과 신문편집의 유기적인 시지각적 접근이 가능해 질 것으로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ⅷ Ⅰ. 序論 = 1 A. 硏究陳述 = 1 B. 硏究目的 = 2 C. 硏究方法 = 3 D. 硏究範圍 = 4 Ⅱ. 視知覺의 理論的 背景 = 5 A. 視覺 = 7 B. 知覺 = 23 C. 視知覺에 의한 일루젼효과 = 47 D. 視知覺과 社會的 관련 = 49 Ⅲ. 신문광고의 效果的 側面 = 53 A. 視知覺과 관련된 신문광고효과 = 53 B. 신문지면배치에 대한 理解 = 55 C. 신문광고 레이아웃에 대한 理解 = 61 Ⅳ. 新聞廣告物의 分折事例 = 72 A .分折의 限界點 = 72 B . 分折事例 = 73 C. 分折綜合 = 97 Ⅴ. 結論 = 100 參考文獻 = 103 ABSTRACT =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499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시지각-
dc.subject신문광고물-
dc.subject분석연구-
dc.subject광고디자인-
dc.title視知覺에 의한 新聞廣告物 分析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신문지면배치와 광고물의 관련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Advertising design in relation to the Design of Newspaper-
dc.format.page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광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