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고등학생의 주간졸림증 유병률과 관련요인 분석

Title
고등학생의 주간졸림증 유병률과 관련요인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f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n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이현아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약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고등학교 학생들의 주의력 결핍과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주간졸림증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청소년의 건강을 해치는 요인이 되므로, 고등학생들의 주간졸림증에 대한 연구는 계속적으로 요구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주간졸림증 유병률과 주간졸림증과 관련되는 요인들을 밝히는데 있다. 단면 연구로 설계하였으며, 경기도내의 시·군과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9개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314명(남자, 54.1% ; 여자, 45.9%)의 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로부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 항목, 건강, 수면습관, 불면증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체 주간졸림증 유병률은 10.6%로 남학생은 10.4%, 여학생은 10.9%이었다. 인터넷 중독 정도에 따른 주간졸림증 분포는 정상군에서는 7.3%, 위험군에서는 12.6%, 중독군에서는 37.8%로 인터넷 중독 정도가 심해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변량 분석에서 아르바이트하는 학생, 지난 학기말 성적이 하위권이라고 응답한 학생, 흡연하는 학생, 카페인 음료를 매일 마시는 학생, 지난 한 달간 수면제 복용을 경험한 학생들이 각각,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유의적으로 주간졸림증 유병률이 높았다. 주간졸림증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성별, 인터넷 중독정도, 흡연상태, 불면증, 무호흡, 악몽 여부를 독립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다중회귀 분석을 하였다.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주간졸림증을 더 갖고 있었다(수정된 Odds ratio(OR), 1.5; 95% 신뢰구간(CI), 1.1-2.0). 다른 변수들을 통제했을 때, 인터넷 사용정도에 따른 주간졸림증은 위험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주간졸림증을 갖고 있을 odds가 1.9배(95% CI, 1.4-2.6) 높았고, 인터넷 중독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odds가 6.2배(95% CI, 3.1-12.4)로 현저히 높았다. 흡연하는 학생은 흡연하지 않는 학생에 비하여 주간졸림증의 수정된 odds가 2.2배(95% CI, 1.3-3.4) 높았고, 흡연하다 금연한 학생은 2.0배(95% CI, 1.1-37) 높았다. 밤에 잠들기 어려운 학생, 무호흡이 있는 학생, 악몽을 꾸는 학생도 독립적으로 주간졸림증과 유의하게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주간졸림증이 사회활동, 생활습관, 건강습관, 수면 상태 등 다양한 요인과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 주었다.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편적인 건강교육 프로그램이 아니라 학생들의 생활전체를 고려한 종합적인 계획이 마련되어야 하겠다.;A study of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n high school students The attention deficit problem and decreased school performance of high school students have been associated with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EDS). EDS may be influenced by many factors, which are needed to be exam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EDS. It was designed with a cross-sectional study. Nine high schools in the urban and rural areas in the mid and southern Korea were randomly selected. A total of 2,314 students (boys, 54.1%; girls, 45.9%) completed the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and sleep-related factors. The prevalence of EDS for total students was 10.6%; 10.4% for boys and 10.9% for girls. The prevalence rate of EDS for non-internet addictives, probable internet addictives, and internet addictives was 7.3%, 12.6%, and i37.8%,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bivariate analysis, significantly high prevalence of EDS was shown in smoking students, part-time working students, low school performance students, everyday caffeine using students, and those having taken hypnotic drugs in the last month.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factors independently related to EDS, and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in this model were gender, internet addiction, smoking, insomnia, witnessed apnea and nightmare. The odds of EDS for girls were higher than for boys (adjusted odds ratio [OR], 1.5; 95% confidence interval [CI], 1.1-2.0). With adjustment for other variables, the OR of EDS of probable internet addictives and internet addictivies compared to non-additives was 1.9 (95% CI, 1.4-2.6) and 6.2 (95% CI, 3.1-12.4), respectively. After other variables were controled, the OR of EDS of smoker and ex-smoker compared to non-smoker was 2.2 (95% CI, 1.5-3.4) and 2.0 (95% CI, 1.1-3.7), respectively. Insomnia, witnessed apnea and nightmare also were significantly independently related to EDS. This study showed that EDS in high school students was related to various scio-demographical factors and health and sleep-related factor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comprehensive health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be prepared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of adolesc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