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승희-
dc.creator장승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2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8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9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83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이 청소년의 열등감 수준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열등감 감소에 따라 대상자들의 언어표현 내용과 대상자가 직접 만든 노래의 음악적 내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대전시에 위치하고 있는 H중학교 2학년 학생 중 83명을 대상으로 열등감 검사를 실시하여 열등감 점수가 평균 72점 보다 높고 음악치료 세션에 동의한 학생 8명을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구분한 후 분석하였다. 실험 집단의 4명의 대상자들에게는 12회의 그룹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시행된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은 4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총 12회로 매회 약 50분간 진행되었으며 대상자가 가사와 선율을 직접 만드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을 통한 대상자의 열등감 감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음악치료를 중재하지 않은 비교 집단과 음악 치료를 중재한 실험 집단 간의 열등감 검사 차이를 사전 사후로 비교하여 집단 간 비교하였으며, 집단 간 비교는 t 검증을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이 실험 집단의 열등감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열등감의 하위 영역 즉, 신체적 열등감, 사회적 열등감, 지적 열등감으로 나누어 밝혀 보았다. 실험 집단의 사례별 분석에서는 열등감 척도 검사에서 보여 진 양적 결과를 분석하였고, 비디오 테잎을 분석하여 대상자의 열등감과 관련된 부정적 언어표현이 긍정적으로 바뀐 내용과 그 표현의 양을 알아보고, 대상자가 직접 만든 노래의 음악적 내용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첫째로는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이 열등감 점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치료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에 열등감 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의 사전 사후 열등감 점수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 후 실험집단의 열등감 사전 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다주었으며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사회적 열등감과 지적 열등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신체적 열등감은 변화의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실험 집단의 사례별 변화에서는 대상자 A는 열등감 총점 80점에서 73점으로 7점이 감소되었으며 대상자들 중에 가장 적은 변화를 보였다. 대상자 B는 열등감 총점 79점에서 61점으로 18점이 감소되었으며 열등감 하위영역에서는 대상자들 중에 사회적 열등감에서 가장 많은 변화를 보였다. 열등감 하위영역에서 지적 열등감이 높은 편이었던 대상자 C는 지적 열등감이 많이 감소되었으며 열등감 총점은 81점에서 61점으로 20점 감소되었다. 마지막으로 대상자 D는 열등감 총점 77점에서 56점으로 21점이 감소되었으며 대상자들 중에서 가장 높은 변화율을 보이며 감소하였다. 둘째로는 대상자의 언어표현 내용분석을 통해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열등감과 관련된 부정적 표현과 긍정적 표현의 내용과 그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들의 언어표현에서 부정적인 내용이 긍정적으로 변하는 표현들을 볼 수 있었고, 대상자 D를 제외하고는 회기가 진행될수록 긍정적인 언어표현의 양이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대상자 D는 다른 대상자들과 달리 부정적인 표현이 증가하였지만 자신에 대한 열등의식을 표현하고 보다 자신감을 갖고 이야기함으로써 스스로 느끼는 열등감에서 점차 벗어날 수 있었다. 셋째로는 대상자가 직접 만든 노래의 음악적 내용을 분석하므로 가사와 선율의 음악적 특성에 나타나는 대상자들 자신에 대한 생각과 그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신에 대해 느끼는 열등감에 대한 표현이 가사에 나타났으며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이 자신의 모습을 새롭게 지각하고 또한 타인을 수용하는 모습으로 표현이 바뀌었고, 선율에서도 음역이 낮고 변화가 거의 없다가 노래 만들기가 진행될수록 보다 다양한 시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상자들에게 노래를 만드는 새로운 창작 경험을 제공하며 이는 곧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 인식과 자신감을 회복시켜 주어 열등감을 벗어나기 위한 새로운 치료적 환경을 제공하였다는 점이 의미가 있다. 또한 외현적으로 문제가 있다거나 장애를 가지고 있는 청소년이 아닌 일반 학급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열등감에 대한 긍정적인 개인의 정서 함양을 목표로 하였는데 이는 음악치료가 일반 학교 현장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 how therapeutic song writing have an effect on variation of a sense of inferiority and how subjects' verbal expression and musical content of song made by themselves change during the session. To choo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I conducted a questionnaire of a sense of inferiority on 83 students of H middle school located in Daejeon. This study selected 8 students with high score and agreement of this session. The selected peopl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4 persons) and comparative group (4 persons). 4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are carried out 12 times group sessions about therapeutic song writing which consists of 4 levels, total 12 times for 50 minutes and making lyrics and melodies by themselves. In order to look into the effect on diminution of a sense of inferiority through therapeutic song writing, I compared the difference of both groups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I carried out t-test for the purpose of statistical analysis. I also examined how therapeutic song writing decreases a sense of inferiority of experimental group as divided with sub-categories: physical, social and intellectual inferiority. In case studies, I examined quantitative analysis from questionnaire about a sense of inferiority, I investigated changed expression and its quantity through analysis of video tape in that verbal expressions of experimental group about a sense of inferiority changed negative words into positive words, and I analysed variation about musical content of song made by subjects. First, I searched how therapeutic song writing have an effect on variation of score about a sense of inferiority. From two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rapeutic song writing sess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After session of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questionnaire;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and intellectual inferiority but there was not in physical inferiority. In case of subject A, total inferiority score decreased by 7 score from 80 to 73; this diminution was the least change among subjects. In case of subject B, total inferiority score decreased by 18 score from 79 to 61; this diminution was the biggest change in social inferiority. In case of subject C who had high intellectual inferiority, total inferiority score decreased by 20 from 81 to 61 and intellectual inferiority decreased largely. In case of subject D, total inferiority score decreased by 21 from 77 to 56; this diminution was the most change among subjects. Second, during therapeutic song writing session, I looked into variation of negative words and positive words related to inferiority from analysis of verbal expression. In this study, verbal expression of subjects changed negative words into positive words and quantity of positive words increased according to proceeding every session expect for subject D. Subject D showed a little bit increase of negative words, which resulted from expressing subjects' inferiority more easily as a results of speaking oneself with self-confidence. Third, I examined the thought and change included in musical characteristics like lyrics and melodies by analysing musical contents of song made by subjects. The inferior expression felt about themselves showed up their lyrics. After session, negative expressions were changed into what consists of self-perception and acceptance of other persons. In aspect of melody, low voice range of melody and the unclear melody motion were become the range wider and the motion various. This study provide the new creative experience of song writing, which have significance of having opportunity for new therapeutic environment in order to get rid of a sense of inferiority through the positive value-recognition and recovery of self-confidence. Also, in this study I considered common adolescents who do not have any problems of appearance and any difficulties and focused on the promotion of their emotion about inferiority which everybody can have, which suggests that normal school can make good use of music therap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열등감 = 6 1. 열등감의 개념 = 6 2. 열등감의 형성 원인 = 8 3. 열등감의 증후 = 12 B. 청소년기와 열등감 = 13 1. 청소년기의 정서적 특징 = 13 2. 열등감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 15 C. 열등감 감소를 위한 음악의 심리 치료적 중재 = 18 1. 청소년을 위한 음악치료 = 18 2. 치료적 노래 만들기 = 20 3. 치료적 노래 만들기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 24 4. 치료적 노래 만들기가 열등감 감소에 미치는 영향 = 25 Ⅲ. 연구 방법 = 28 A. 연구 대상 = 28 B. 측정도구 = 33 C. 연구 설계 및 절차 = 35 D. 음악치료 프로그램 = 37 Ⅳ. 연구 결과 = 43 A. 열등감 검사 결과 = 43 B. 열등감에 관한 언어표현 내용분석 = 51 C. 음악적 내용분석 = 64 Ⅴ. 논의 및 결론 = 103 A. 논의 = 103 B. 결론 = 104 참고문헌 = 107 부록 1 = 114 ABSTRACT =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440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81-
dc.title치료적 노래 만들기 (therapeutic song writing) 활동이 청소년의 열등감 감소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therapeutic song writing on decrease of a sense of inferiority of adolescent-
dc.creator.othernameJang, Seung Hee-
dc.format.pageⅹ, 11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