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희-
dc.creator김은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2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3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9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38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특히 쓰기 교육에서 텍스트 언어학적 관점의 지도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문어 텍스트 생산은 학습자의 인지능력, 세계지식 그리고 언어 능력이 요구되는 난해한 과정으로서 쓰기의 이 복합적이며 다양한 요인이 쓰기를 어렵게 만든다. 이런 복잡한 요인이 작용하여 좋은 텍스트를 생산해 내려면 학습자가 자신의 표현의도를 효율적으로 잘 나타내야 하는데, 그것은 문법적으로 잘 연결되고 내용 면에서 일관되고 응집성 있게 표현하는 것이다. 즉 표면적으로 잘 연결하여 의미를 잘 실현하기 위해서는 결속성을 갖추어야 하는데 이러한 결속성이 외국인 중급 학습자들의 텍스트와 한국인의 텍스트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결속기제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속성은 텍스트가 텍스트의 자격을 갖게 하는 중요한 언어적 자질로서 형식적 문법관계의 배열이 아닌 의사소통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문법 기제의 선택과 배열을 의미하며, 학습자의 선택적 사용이라는 화용적 의도까지 개입되는 의미적 관계이기도 하다. 따라서 텍스트 언어학적 관점의 쓰기는 문장 구성 훈련이나 문법적 적법성을 기르기 위한 쓰기 교육에서 한발 더 나아가 텍스트에서 지시와 생략, 접속, 반복 등의 기제들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었을 때 생산자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어떤 기제의 선택을 통해 가장 결집된 의미를 형성해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총체적 쓰기 방향을 재고해 보는 하나의 기회가 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에서 출발했다. I 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텍스트 언어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져 온 결속 기제 연구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지금까지 텍스트 언어학 관련 연구는 화행론의 관점에서 구어 중심으로 다루어지거나 결속기제 연구 대상의 방대함으로 인해 결속기제의 종합적 분석보다 부분적 결속기제 연구였고 실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텍스트 분석은 많지 않았다. Ⅱ 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반이 되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텍스트 언어학의 성립 배경과 텍스트성의 가장 핵심 원리인 결속성과 응집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한국어 결속기제인 지시, 접속, 생략, 반복 등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Ⅲ 장에서는 본 연구의 실험 대상과 실험 절차를 소개하고 한국인과 외국인의 문어텍스트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어 결속기제인 지시, 생략, 접속, 반복 표현의 분류기준을 제시했다. 지시는 기능적으로 분류하여 화제 유지, 화제 아우름, 화제 상기, 담화연결, 관용(강조) 기능으로 나누어 결속성 기제의 분석 틀을 마련했고 생략은 문맥생략과 개념생략으로, 접속은 첨가, 상술, 대조, 인과, 전환, 시간 등의 6가지 의미 관계를 중심으로, 반복표현은 어휘의 동일 관계 반복과 유의 관계 반복, 그리고 대조 관계 반복과 상하위 관계 반복, 텍스트 대등 관계 반복으로 나누어 한국어 학습자들의 텍스트에 나타난 사용양상을 고찰해 보았다. Ⅳ 장에서는 한국어 원어민 학생과 외국인 중급 학습자의 전체적인 결속기제의 사용빈도와 기능별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각 결속기제 중에서 담화적 결속기제 사용양상 차이와 응집성 측면에서 두 언어권의 거시적 의미구조를 비교함으로써 두 집단의 결속기제 사용에서 드러난 차이점과 문제점을 논의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텍스트 언어학적 관점에서 유의해야 할 결속기제의 사용 방향에 대해 고찰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가지 결속기제 중 3가지가 전체 사용 빈도에서 한국인 학습자가 높았는데 지시, 접속, 반복에서는 한국인이, 유일하게 생략에서만 외국인의 빈도가 높았다. 이는 학습자들이 구어체로 쓰는 경향이 있어서 주어와 화제의 지나친 생략에서 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속기제 중 기능별 사용 빈도를 보면 역시 한국인이 대체로 빈도도 높고 다양한 기능을 보이고 있으며 외국인은 한국인과 대비하여 생략 외에 기능별 사용 빈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부분적 기능 면에서 특히 두드러진 차이가 나타났다. 지시의 기능별 사용에서는 외국인은 한국인에 비해 화제 아우름 기능으로 쓰는 지시 관형형인 ‘이러한, 그러한’의 예가 하나도 없고 화제유지 등에서 전반적으로 한국인은 ‘이’계열을 외국인은 ‘그’ 계열을 많이 사용하고 있어 한국인이 대상을 주관적으로 인식하거나 자신의 관점에서 표현하는 화용적 양상이 두드러지고 있고 외국인 학습자들은 담화적 연결어 사용에 아주 미숙했다. 이러한 사실은 외국인이 문장 내 지시의 기능에는 익숙하지만 담화적 지시 기능의 사용에는 미흡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넷째, 생략의 경우 대체로 한국인이 구어든 문어든 1인칭 주어를 많이 생략한다고 하는데 문어의 경우는 다르게 나타났다. 주어 생략이 너무 잦으면 화제를 유지하기 어려운데 외국인은 문어체에 숙달하지 못하여 문어 텍스트임에도 구어체로 기술하고 있어 생략이 빈발, 한국인보다 높은 생략 수치를 보여주었다. 다섯째, 접속은 한국인과 외국인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외국인도 다양하고 적절한 접속어 용법을 보이고 있었고 한국인은 어휘계열 접속어, 외국인은 그‘계 접속어를 선호하고 있었다. 여섯째, 어휘 반복으로 이루어지는 반복표현은 어휘의 동일 관계 반복, 유의 관계 반복, 대조 관계 반복, 상하위 관계 반복, 텍스트 대등관계 반복 등으로 결속이 이루어지는데 외국인이 빈도와 기능면에서 모두 미흡했다. 특히 유의어가 두 언어권 화자들 사이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는데 그 이유는 한국인들은 한자어와 복합구 등을 활용하여 유의어를 다채롭게 생산해 내는데 비해 외국인 중급 학습자의 경우 유의 관계의 어휘 반복에서 다양성이 부족해 비율 면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났다. 그리고 두 언어권 모두 상하위어가 많이 나온 이유는 텍스트 제목이 ‘인터넷의 장점과 단점’이라는 데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동일관계 반복은 한국인이 소수의 핵심 단어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화제의 집중도를 유지하며 결속을 이루고 있고, 텍스트 대등어 역시 한국인이 문맥과 인터넷과 관련한 사회 문화적 배경지식으로 인해 더 풍부하고 다양하며 수적으로 더 빈번한 양상을 보여 주었다. Ⅴ 장에서는 본 연구를 정리하고 한국어 교육에서의 텍스트 언어학적 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한계점을 지적해 보았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text linguistic education in the are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on writing for foreigners studying Korean language. The reason why Writing is recognized as the most difficult field in Language learning is that there are many factors such as grammatical knowledge, background knowledge and intelligent ability work on writing processes. Good text production means the effective expression of one's intension and that is decided by the grammatical connection in structure and coherent organization in content of the text. Therefore this study focus on how these cohesion is represented through the cohesive devices in the written text of korean native students and foreign students. Cohesion is a important linguistic mechanism get a text to be text, also semantic relation the pragmatic intension intervene in it, not arrangement of grammatical relation but select and arrangement of grammatical mechanism for communicational goals. This study starts in the perspective that the textual linguistic writing could be the good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direction to the overall writings of how the reference, conjunction, ellipsis, reiteration is balanced and all of those causes the writer to achieve effectively their intension and which selection among those cohesive devices is best way to achieve semantic coher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 investigated the necessity and goal of this study and examined the previous study about the cohesion devices. So far the study in related to text linguistics has been focused on the pragmatics and spoken language, or has been established not in the total perspective of research but in the direction of partial study due to the huge scope of cohesive devices, and especially there has been little study for the foreign students studying Korean language. At the chapter Ⅱ investigates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text linguistics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which this thesis is based, the conception of cohesion and coherence as the core quality of textuality, and also four Korean cohesive devices of reference, conjunction, ellipsis, reiteration on the basis of Halliday and Hasan's cohesive analysis frame. Chapter Ⅲ introduces the experimental groups of foreign students at the intermediate level and experimental procedure, the colligated standard of reference, conjunction, ellipsis, reiteration and investigates the aspects of use of the 4 cohesive devices represented in the written text of Koren native speakers and the foreign students learning Korean. Reference are classified with topic maintenance, and topic inclusion, topic recollection, discourse link, emphasis by its function, Ellipsis are divided with context ellipsis and conceptional ellipsis, Conjunction with addition, detail. contrast, causal, conversion, time, Reiteration are colligated with the repetition of same word, synonomous relation, contrastive relation, superordinate relation, text coordinate relation. Chapter Ⅳ checks the frequency and funtion in use of overall cohesive devices between Korean students and Foreign students and the aspect of functional use of them. Especially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in use of discours cohesive devices and the macro structure in meaning between Korean native writers and Korean language learner, also was represented the problem in using various cohesive measures. The result of the frequency and the difference in the 4 cohesive measures is as follows. First, at the three cohesive devices except ellipsis among 4 measures Korean showed high frequency and function in the use of 4 kinds of devices comparing to Foreigners. Only ellipsis frequency was represented more frequently in the text of Foreigners, which is caused by their spoken styled writing and its excessive ellipsis in producing their subject and topics of text. Second, In the case of frequency of the use in function was also high and was showed various function in the written text of Korean native speakers. Third, The most remarkable distinction was presented partially in the aspects of functional use in reference. Among those of functional use in reference, the modifier form used to include the topics such like 'ileohan. geuleohan' was not produced even in one text of Foreigners. Among the two reference ranges, 'i' and 'geu' of Korean languages, 'i' ranges is preferred by Korean and the other by Foreigners. This preference in selection between these references means that the Koreans tend to recognize subjectively something that around them and express the pragmatic attitude of judging by their own point of view. These results also brought out the lack of discourse use of Korean students. Firth, In the case of ellipsis we can see the different result comparing to that of general opinion that Korean native speakers using ellipsis much. On the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e Foreigners showed more frequency in the use of ellipsis and it is caused by their spoken style owing to their poor expression in the written style. Fifth, Conjunction is not presented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wo writers than any other cohesive measures in frequency and variety of use . Sixth, Reiteration by established lexical repetition such as the repetition of same word relation and synonymous relation, contrastive relation and superordinate relation and text coordinate relation also showed more frequent in the use of Korean native speaker than that of Korean learning students. Especially the repetition by synonymous relation was most remarkable differences among reiteration, because Korean native speakers usually achieve lexical cohesion using various synonymous relational words like chinese characters and other complex clauses, but Foreigners was not. And the reason why the reiteration by superordinate repetition is produced much through all of the texts both of Korean and Foreign students owing to it's title of this experimental materials for cohesion analysis is "the good point and the weak point of internet". And this study suggests textual Linguistics to be applied on writing in Korean language for Foreigners. Ⅴ Chapter regulates this thesis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extual linguistic writing in the are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선행연구 검토 = 5 Ⅱ. 이론적 배경 = 8 A. 텍스트 언어학 = 8 B. 텍스트성 = 11 C. 한국어 결속 기제 = 17 1. 지시 = 19 2. 접속 = 32 3. 생략 = 36 4. 반복표현(어휘) = 38 Ⅲ. 연구방법 = 44 A. 실험대상 = 44 B. 실험절차 = 45 1. 자료수집 = 45 2. 결속성 표지 분석틀 = 45 Ⅳ. 한국어 학습자의 결속 기제 사용 양상 = 47 A. 텍스트의 물리적 구조 = 47 B. 전체 결속 기제 사용 양상 = 50 1. 지시의 사용 빈도와 기능별 사용 양상 = 53 2. 접속어의 사용 빈도와 의미 기능에 따른 사용 양상 = 76 3. 생략의 빈도와 유형별 사용 양상 = 84 4. 반복(어휘 반복) 사용 빈도와 사용 양상 = 90 C. 결속기제의 사용상 특징과 지도 방안 = 108 1. 담화적 용법 = 108 2. 한국어 학습자 텍스트의 응집성 = 111 3. 결속기제 사용상의 문제점과 교육 방안 = 116 D. 소결론 = 121 Ⅴ. 결론 = 125 <참고문헌> = 129 <부록 1-한국인 원어민의 문어 텍스트> = 135 <부록 2> 한국어 중급 학습자 문어 텍스트 = 136 ABSTRACT = 1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737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11-
dc.title한국어 학습자의 문어텍스트에 나타난 결속성 기제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Analysis on the cohesive Devices of Korean Language of KFL(Korean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dc.creator.othernameKim, Eun-Hee-
dc.format.pageⅷ, 14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