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지은숙-
dc.creator지은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2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8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9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81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 self-esteem promotion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in elementary special classe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30 fifth-and sixth-grade mental retardation students in special classes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Ansan, Gyeonggi province who were allocated either to an experimental group (15) or a control group (15). The self-esteem promotion program was carried out 15times, twice a week in a classroom for special class. The program consists of following sections: self-exploration, expressing feelings, positive thinking, planning future, making relationship with someone important to me. In the study, self-esteem measurement tools and school adjustment scale were employed to measure the student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respectively.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motion program, the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were measur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two measurements Through the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self-esteem promotion program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self-esteem than the control group. This indicates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raising the self-esteem of the students in special classe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romotion program showed significantly better school adjustment than the control group. This means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school adjustment of the students.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the self-esteem promotion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mental retardation students. Continuous efforts are required to establish an education program that promotes disabled students' self-esteem and fosters their emotional welling.;아동들이 건강한 학교생활과 사회생활을 유지하고 자아실현을 이루기 위해서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형성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리고 아동에게 있어 학교생활적응은 자아존중감과 함께 아동기 이후의 건강한 시민으로의 성장과 발달의 토대가 된다. 그러나 장애아동은 사회적 기술 결함, 독특한 행동적 특성, 실패의 반복으로 인한 무력감 등으로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형성과 학교생활적응에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장애아동이 독립적인 성인으로 성장을 하기 위해 장애아동들의 정서적, 심리적 성격 특성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중재 방안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안산에 위치한 6개의 공립초등학교 6개 특수학급에 입급된 5-6학년 아동 중 정신지체 아동 30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15명씩 나누어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은 Gurney(1988)의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을 본 연구자가 수정한 것으로 총 15회기로 구성되었다.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은 1회기에 40분씩, 1주에 2회기씩 실시하였다. 그리고 중재자 사전 연수를 마친 6명의 특수교사가 각 학교의 특수학급 교실에서 방과 후 활동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조원성(1996)의 자아존중감 검사를 사용하였다. 이 자아존중감 검사는 Gurney(1988)가 특수교육대상아동들에게 사용한 것을 조원성(1996)이 번안한 것이다. 그리고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김아영(2002)이 표준화한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전후에 자아존중감검사와 학교생활적응 척도 사전검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 검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사전-사후 검사 점수의 차이 검정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집단의 아동이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의 아동들보다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따라서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활동이 초등학교 특수학급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집단의 아동이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의 아동들보다 학교생활적응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따라서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활동이 초등학교 특수학급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특수학급 아동에게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을 때 장애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장애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의 필요성과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교육 현장에서 장애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으로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 = 6 1. 자아존중감의 개념 및 특성 = 6 2. 학교생활 적응의 개념 및 하위 영역 = 13 3.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 18 B. 초등학교 특수학급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 20 C.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 선행연구 고찰 = 23 1.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의 내용 = 23 2.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의 공통요소 = 25 Ⅲ. 연구방법 = 29 A. 연구 참여자 = 29 B. 연구 참여자의 배경 정보 = 30 C. 실험기간 = 31 D. 실험장소 = 31 E. 독립변인: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 = 31 F. 종속변인 측정도구 = 36 G. 연구 절차 = 37 H. 자료처리 = 41 Ⅳ. 연구결과 = 42 A.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특수학급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42 B.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특수학급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정도에 미치는 효과 = 44 Ⅴ. 논의 및 제언 = 46 A. 논의 = 46 B. 제한점 = 52 C. 제언 = 52 참고문헌 = 54 부록 = 66 ABSTRACT =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971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71-
dc.title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 특수학급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a self-esteem promotion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in elementary special classes-
dc.creator.othernameJi, Eun Suk-
dc.format.pageⅴ,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