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7 Download: 0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경험에 따른 지도교사의 전문성과 효능감 인식

Title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경험에 따른 지도교사의 전문성과 효능감 인식
Other Titles
Cooperating teacher's perception of specialty and efficacy along the practice teaching guide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Authors
황선영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 경험에 따라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교사 전문성 인식 및 교사 효능감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의 주체인 교육실습 지도교사로서의 경험이 교육실습 지도교사 자신의 발전과도 연계될 수 있는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 집단과 지도 경험이 없는 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초등교사 전문성 인식과 효능감 인식 정도를 측정하여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경험 유무에 따라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사 전문성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1-1.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교육실습 지도 횟수에 따라 교사 전문성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1-2.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들 중에서 일반 교사와 부장교사 간 교사 전문성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2.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경험 유무에 따라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사 효능감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2-1.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교육실습 지도 횟수에 따라 교사 효능감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2-2.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들 중에서 일반 교사와 부장교사 간 교사 효능감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과 인천 지역의 국·공립, 사립 초등학교 교사 중 교육실습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 125명과 지도 경험이 없는 교사 150명을 합하여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v. 12.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 집단과 지도 경험이 없는 교사 집단의 교사 전문성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집단이 지도 경험이 없는 교사 집단보다 교사 전문성 하위 네 영역인 학급경영 및 관리,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수업 전문성, 봉사적 사명감 영역에서 모두 높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교육실습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지도 횟수에 따른 교사 전문성 인식의 차이도 대체적으로 지도 경험이 많은 교사들의 경우 교사 전문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실습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직급에 따른 교사 전문성 인식도 전반적으로 교육실습 지도경험이 있는 부장교사가 일반 교사에 비해 교사 전문성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 집단과 지도 경험이 없는 교사 집단의 교사 효능감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집단이 지도 경험이 없는 교사 집단보다 교사 효능감 하위 세 영역인 자기 자신감, 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영역에서 모두 높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교육실습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지도 횟수에 따른 교사 효능감 인식은 과제 난이도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실습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직급에 따른 연구도 부장 교사가 일반 교사보다 교사 효능감 인식도 자기조절효능감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지도 경험이 없는 교사들보다 초등교사 전문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실습 지도교사는 교육실습 기간 중 교생들을 지도하기 위하여 자신의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교생들과의 상호관계를 통하여 결과적으로 지도교사 자신의 교사 전문성 인식이 높아지게 된 것이라 보인다. 따라서 교육실습 지도 횟수도 지도교사의 전문성 개발 및 발전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며 교육실습 지도 횟수가 많은수록 초등교사 전문성 인식이 높다. 둘째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지도 경험이 없는 교사들보다 초등교사 효능감 인식이 높에 나타났다. 이는 교육실습 지도를 위한 지도교사들의 준비와 노력, 그리고 교생들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지도교사들은 지도경험이 없는 교사보다 많은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이러한 지도교사들의 수행은 지도교사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이나 신념을 주어 자신감을 높여준다. 또한 교육실습 지도경험은 지도교사들에게 도전적인 과제가 되어 교육실습 지도경험의 수행이 지도교사들의 자기 판단에 긍정성을 부여하여 이에 따른 교사 자신의 행동을 조정하고 향상 및 개선하기 위해 동기화하는 자기반응을 보이게 한다. 또한 교육실습 지도 교사의 지도 횟수가 많은 교사일수록 특히 과제 난이도 영역에 대한 효능감 인식이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 경험은 교육실습 지도교사에게 발전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그 중 특히 교사 전문성과 교사 효능감 인식은 교육실습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와 없는 교사 사이에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교육실습 지도 교사 중 지도 횟수가 많을수록, 부장교사일수록 초등교사 전문성 및 효능감 인식 정도가 높았다. 다양한 동기로 교육실습을 지도하게 되었지만 지도교사들은 교육실습 지도경험을 자신의 발전과 후진 양성에 기여할 수 있는 긍정적인 기회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지도교사로서 많은 역할이 기대되지만 어려움도 많은 것이 현실이다. 교육실습 지도경험이 교육실습의 주체인 지도교사 자신의 교사로서의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이를 바탕으로 질 높은 지도교사에게 지도받은 교생이 미래의 질 높은 교사가 될 수 있도록 교육실습 지도교사에게 제도적,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는 교육실습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 집단과 지도경험이 없는 교사 집단을 비교하였는데 교육실습이 이루어지기 전과 후에 지도교사의 교사 전문성과 교사 효능감 인식을 비교하는 연구가 후속될 수 있겠다. 둘째 본 연구가 서울·인천지역에, 국·공립학교에 집중된 경향이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지역과 학교 형태를 확대하고 이밖에 다른 변인들을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교육실습 지도 경험 정도에 따라 조사 대상자를 비율 표집하여 연구할 수 있다.;The study has the purpose to find the effect of practice teaching guide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along to level of their experience on cooperating teacher's perception of specialty and efficacy. On the basis of them, the study tried to search the direc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development of cooperating teacher, who is a subject of practice teaching. In order to perform the study, both the teacher group who has a practice teaching guide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and who does not have the experience, were selected as targets. Their differenc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measuring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eacher's specialty and efficacy. More over, teacher's practice teaching guide experience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choice and descriptive reply. The study will treat the following issues specifically. 1. Does the level of practice teaching guide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give an effect to the cooperating teacher's perception of specialty? 1-1. Is there any differences of perception of specialty level between Chief of teacher & ordinary teachers who has a practice teaching guide experience? 1-2. Is there any differences of perception of specialty level along to the numbers of experience among the teachers who has a practice teaching guide experience? 2. Does practice teaching guide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give an effect to the cooperating teacher's perception of efficacy? 2-1. Is there any differences of perception of efficacy level between Chief of teacher & ordinary teachers who has a practice teaching guide experience? 2-2. Is there any differences of perception of efficacy level along to the numbers of experience among the teachers who has a practice teaching guide experience? For the study, 275 teachers (125 teachers, who have the practice teaching guide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and 150 teachers, who do not have the experience) were selected among national, public and priv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f Seoul and Incheon area and questionnaire were performed for them.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data, t-test, One way ANOVA,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performed by using SPSS v. 12.0. Through the above processes, following study results were acquired. Firs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specialty of teacher group, who has the practice teaching guide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other teacher group, who does not have the experience. The teacher group, who has the practice teaching guide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perceived 4 sub fields of teacher's specialty such as class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teaching specialty and sense of duty about public services higher than the teacher group, who does not have the experience does. And among to group who has experience, chief of teachers has the higher perception of specialty than the ordinary teachers. Secon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efficacy of teacher group, who has the practice teaching guide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and one of teacher group, who does not have the experience. The teacher group, who has the practice teaching guide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perceived 3 sub fields of teacher's efficacy such as efficacy of self-control, difficulty of assignment and confidence as higher than the teacher group, who does not have the experience does. And again, among to group who has experience, chief of teachers has the higher perception of efficacy than the ordinary teachers. Through the above results, following study conclusions were acquir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who has the practice teaching guide experience has more positive effect, than the teacher, who does not have the experience, from the aspect of teacher's specialty. If cooperating teacher makes an effort to develop teacher's specialty and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practice teacher in order to guide practice teacher during practice teaching period, cooperating teacher's perception of specialty will be raised. And the number of experience also has positive effect for the aspect of teacher's specialty, and the more experience teachers have, the more perception of specialty of teacher they hav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who has the practice teaching guide experience has more positive effect than the teacher, who does not have it from the aspect of teacher's efficacy. Through the preparation and effort for guiding practice teaching and the process to guide practice teacher, cooperating teacher plays more role than the teacher, who does not have the experience and the guidance raises a confidence through the confidence and belief about his ability. More over, cooperating teacher has a positive perception of self-determination through the practice teaching guide experience because it becomes the challenging assignment for him. Through the process, cooperating teacher shows the motivated reaction to control and improve his behavior. And the number of experience also has positive effect for the aspect of teacher's efficacy, especially for the difficulty of assignment. And the more experience teachers have, the more perception of specialty of teacher they have. In conclusion, it seems that the practice teaching guide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gives a positive effect to the cooperating teacher. Among them,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 who has the experience and teacher, who does not have the experience, from the aspect of specialty and efficacy. and also, the more teachers have the more numbers of experience and if they are the chief of teacher, the more perception of specialty and efficacy they feel. Although the cooperating teachers participate in practice teaching because of various reasons, they perceives it as a positive opportunity enabling them to develop themselves and contribute to the nurture of younger generation. They are expected to perform many roles as cooperating teachers but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It is necessary to give administrative and systematic assistance to the cooperating teachers so that they can have a positive effect as subjects of practice teaching and the practice teachers guided by the cooperating teachers will be the talented teacher in the future on the basis of their guidances. On the basis of the study, author suggests the following assignments. First, the study performed the comparison between the teacher group, who has the experience of guiding practice teaching and the teacher group, who does not have the experience. Therefore the study comparing the cooperating teacher's specialty and efficacy before and after practice teaching shall be performed in the future. Second, the study is concentrated on national and public school of Seoul and Incheon area so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school type and area and consider other variables in the future study. Third, the study can be performed with proportional sampling, along to the numbers of experience teachers ha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