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하진-
dc.creator송하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1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0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8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083-
dc.description.abstractThis investigation aims to understand problems of textbooks currently in use as well as suggest possible improvements by categorizing and analyzing questions in textbooks by their communicational function rather than grammatical form. This will serve as the first step towards fostering the ability to use appropriate questions according to different situations, which plays a central role in communication. The 7th Chinese Curriculum’s fundamental framework is to foster the ability to use appropriate expressions of various communicational functions. As Chinese education inclines more and more towards emphasizing communication skills and fluency rather than teaching Chinese grammar and structure as simple knowledge, contents and organization of textbooks have chang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is policy, high school Chinese textbooks currently in use, design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be organized to suggest useful expressions of different communicational functions. Especially because most of the education takes place using textbooks, social-linguistic contents of textbooks are extremely important in developing application ability of using appropriate language in different situations. Therefore, it was deemed meaningful to analyze communicational functional aspect of questions, which lead conversations and constitute a large part in textbooks, and in this investigation, I studied distribution and various other characteristics of questions in different textbooks, and examined whether a variety of functions are demonstrated and what aspects are dissatisfactory. In this investigation a selection was made of six high school <Chinese 1> textbooks currently in use, and an analysis was carried out of a total of 633 question sentences. Analysis criteria primarily used the framework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um’s Communicational Function Items’ which work as a guideline for textbooks. In order to set new analysis criteria suitable for questions, definition and types of questions were examined, compared and contrasted, then five functional categories including ‘communication with a social purpose’, ‘exchange of thoughts and opinions’, ‘requesting or suggesting’, ‘asking for information’, and ‘solving a problem’, as well as 15 subordinate categories were devised.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above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by communicational function, frequency of ‘asking for information’ was the highest in six textbooks at 238 times, followed by ‘communication with a social purpose’ at 138, ‘solving a problem’ at 136, ‘exchange of thoughts and opinions’ at 92, and ‘requesting or suggesting’ was the lowest at 29. As these numerical results show, questions in six textbooks are inclined toward exchange of factual information so that practical conversations based on objectivity rather than subjectivity form a mainstream rather than private communication among people having the conversation. Analysis by different textbooks indicated that they lacked diversity, shown by the fact that Minjoong and Sisa did not include three categories each. Jinmyung(Gang) did not include two categories. On the other hand, Bumin and Jeongjin did not include only one category each and Jinmyung(Lee) included all categories, indicating that items of criteria are presented relatively evenly. In Part 4, suggestions are made to complement problems regarding disproportionate emphasis and omission as indicated by the above analysis results, so that they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designing Chinese textbooks that are more effective in developing communication skills.;본 연구는 의사소통에 있어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의문문을 원하는 의도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첫 단계로서 교과서의 의문문을 문법형식이 아닌 의사소통 기능에 따라 분류, 분석하고, 이를 통해 현행 교과서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제 7차 중국어 교육의 기본 골조는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에 따른 적절한 표현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중국어 교육의 방향이 단순 지식으로서의 중국어 문법과 구조를 가르치기보다는 의사소통 능력과 유창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많은 변화를 보이게 되면서, 교과서의 내용과 구성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 같은 방침에 의하면 교육부에서 제시한 교육과정을 따르는 현행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는 각 의사소통 기능에 따른 유의미한 표현이 적절한 구성으로 제시되어 있어야 한다. 특히 대부분의 형식 교육은 교과서를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과서가 제시하는 사회언어학적 내용은 언어를 상황에 적합하게 사용하는 활용 능력을 발달시키는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교과서 속 대화문을 이끌어가고 또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의문문이 의사소통 기능적 측면에서는 과연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가를 분석해 보는 것은 유의미한 연구가 되리라 판단하여, 교과서별 의문문의 분포와 양상을 살펴보고 얼마나 다양한 기능이 제시되어 있는지 또 어느 부분이 미흡한지를 조사해보았다. 본 연구는 현행 고등학교 <중국어Ⅰ> 교과서 6종의 의문문을 선별하여 총 633개의 문장을 가지고 분류를 진행하였다. 분류의 기준으로는 교과서의 지침이 되는 ‘7차 교육과정 의사소통 기능 항목’을 주요 골자로 참고하되, 의문문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분류 기준을 설정하고자 의문문에 대한 정의와 유형을 살펴보고, 비교대조한 끝에 ‘친교 활동하기’, ‘생각 및 의견 교환하기’, ‘요청 및 제안하기’, ‘정보 묻기’, ‘문제 해결하기’의 5개 기능 범주와 15개 하위 항목을 갖는 새로운 분류 기준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 기능별로 살펴보았을 때 ‘정보 묻기’ 기능이 6종 교과서에 반영된 빈도가 238회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친교 활동하기’가 138회, ‘문제 해결하기’가 136회, ‘생각 및 의견 교환하기’가 92회였으며, ‘요청 및 제안하기’의 기능이 29회로 반영 빈도가 가장 미흡했다. 수치상의 결과로도 알 수 있듯, 6종 교과서에 제시된 의문문의 상당부분이 사실적 정보의 교환에 크게 치우쳐 있어 주관성보다는 객관성에 입각한 실용성 위주의 대화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대화 당사자들 간에 사적인 의사소통의 예시는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과서별로 보았을 때는 민중, 시사에 각각 3항목씩 출현하지 않아 다양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명(강)은 2항목이 출현하지 않았으며, 반면 부민과 정진은 각각 1항목씩만이 등장하지 않았고 진명(이)는 모든 기능 항목이 등장, 기준 항목을 비교적 고르게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라 4장에서는 편중이나 누락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앞으로 의사소통 능력을 계발시키는 데 보다 적합한 중국어 교과서를 만드는 지침으로 쓸 수 있도록 제안을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3 Ⅱ. 의사소통 기능과 의문문 = 5 A. 의사소통 기능의 개념과 범주 = 5 1. 의사소통 및 의사소통 기능의 개념 = 5 2. 의사소통 기능 범주 = 7 B. 의문문의 정의 및 분류 = 21 1. 의문문의 정의 = 21 2. 의문문의 분류 = 22 C. 의사소통 기능에 따른 의문문 분류 기준 = 27 Ⅲ. <중국어Ⅰ> 의문문의 의사소통 기능별 분석 = 36 A. 친교 활동하기 = 36 1. 인사 및 안부 묻기 = 36 2. 상대방 알기 = 40 3. 초대 및 접대하기 = 44 B. 생각 및 의견 교환하기 = 46 1. 계획·희망·의향 묻기 = 46 2. 좋거나 싫은 것 묻기 = 48 3. 의견 묻기 = 50 4. 반문하기 = 53 C. 요청 및 제안하기 = 54 1. 부탁하기 = 54 2. 제안 및 설득하기 = 57 D. 정보 묻기 = 59 1. 사실 확인하기 = 59 2. 설명 요구하기 = 63 E. 문제 해결하기 = 68 1. 물건 사기 = 68 2. 목적지 찾아가기 = 71 3. 음식 주문하기 = 73 4. 전화하기 = 75 F. 소결 = 78 Ⅳ. 개선 방안 = 83 A. 친교 활동하기 = 83 1. 인사 및 안부 묻기 = 83 2. 상대방 알기 = 85 3. 초대 및 접대하기 = 88 B. 생각 및 의견 묻기 = 89 1. 계획·희망·의향 묻기 = 89 2. 좋거나 싫은 것 묻기 = 89 3. 의견 묻기 = 89 4. 반문하기 = 90 C. 요청 및 제안하기 = 92 1. 부탁하기 = 92 2. 제안 및 설득하기 = 94 D. 정보 묻기 = 95 1. 사실 확인하기 = 95 2. 설명 요구하기 = 97 E. 문제 해결하기 = 99 1. 물건 사기 = 100 2. 목적지 찾아가기 = 102 3. 음식 주문하기 = 104 4. 전화하기 = 105 Ⅴ. 결론 및 제언 = 107 참고문헌 = 109 부록- 기능별 현행 교과서 제시문 및 추가 가능한 표현 = 112 ABSTRACT =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076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95-
dc.title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중국어Ⅰ> 의문문의 개선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Question Patterns in Textbook <Chinese 1> for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dc.creator.othernameSong, Ha Jin-
dc.format.pageⅵ, 12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