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하-
dc.creator김정하-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0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8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8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849-
dc.description.abstract최근 국내외의 한국어 학습자 수의 증가에 따라, 한국어교육 분야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읽기 자료에 노출되는 현대 사회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인터넷의 사용은 국내외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방대한 읽기 자료를 제공하였다. 그러므로 현대 사회의 한국어 학습자들은 이전의 한국어 학습자들과는 달리 학습자가 처해 있는 공간과 관계없이 다양하고도 많은 한국어 읽기 자료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많은 수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단순히 취미나 관심 때문이 아니라, 한국어학습을 마친 후 한국의 대학교의 학부에 진학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데, 이러한 학습자들은 전공 과정 진학 후에는 방대한 읽기 자료를 반드시 읽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그 목적과 관계없이 현대 사회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있어 많은 읽기 자료를 빨리 읽어내는 능력은 아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읽기 자료는 한국어 교재에 한정되어 있었으며, 한국어 교재를 통한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많은 읽기 자료를 얼마나 빨리 처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그다지 고려하지 않았다. 한국어 교재를 통한 읽기는 학습자들에게 주로 정독의 방법으로, 사전을 찾으면서 내용을 하나하나 꼼꼼히, 그리고 느린 속도로 읽도록 한다. 이러한 읽기 교육 방식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읽기 자료를 제공하지 않으며 이 때문에 많은 한국어 학습자들은 긴 내용이나 많은 분량의 한국어 읽기 자료 읽기에 익숙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읽기 자료에 노출되는 현대의 한국어 학습자 및 학문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절한 읽기 교육 방법으로 다독을 제안하였고, 다독이 읽기 속도와 한국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독은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속도의 향상을 촉진하고, 한국어 학습자들의 자신감을 증가시켰으며 한국어 학습자로 하여금 한국어 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하였다. 또한 이전의 교실 수업과 달리 한국어 읽기 자료를 접함으로써 한국어 단어나 문법 등에 더 친숙함을 느끼게 하였다. 그러나 여러 가지의 이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독은 비용 등의 문제로 교사 개인이 시행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대학 기관 등지에서 다독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고안하고 실행하여 효과적인 다독 프로그램의 모형을 제시해 줄 것을 제안하였다.;A number of studies are conducted on the subjec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Korean language learners. However, in spite of many studies that are practiced, studies of teaching reading in Korean language is still insufficient. Abundant amount of reading materials are offered to learners with growing access of internet all around the world. As a result, many Korean learner in this modern society are to have access to various form of reading in Korean regardless of their physical location. What's more, as many people are nowadays studying Korean not only as a hobby or interest but for also academic purposes to study in Korean universities, they must be able to fully understand Korean reading materials. In this regard, irrespective of the specific purposes, the ability of reading Korean writings rapidly with full understanding is truly significant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reading materials that are offered in Korean language classrooms were often limited to course materials that it does not truly consider how much the learners are able to apply their reading ability in real life. The reading in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re only concentrated on intensive reading that expects reader to read line byline, slowly by referring to dictionary. Such way of reading classes does not provide enough reading materials and thus, Korean learners are usually not very accustomed to reading long or condensed readings. In this research, I suggested 'extensive reading approach' as an useful way for learners to be exposed to a lot of reading materials and to learn Korean in accordance with their academic purposes on this paper. Also, I researched on overall effects of extensive reading on reading speed and motivation in learning Korean. And as a result, I found that such method not only increased learner's reading speed but also learners earned positive attitude and confidence in Korean language learning. Learners also became more familiar with Korean words and grammar as they read more. Yet, despite of the fact that such extensive reading program holds strong points, the problem of applying such program is difficult for teachers for reasons as the cost. Thus, the researcher introduced more specific and realistic program construction of activating intense reading program in Korean education center in strategic wa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선행 연구 검토 = 4 Ⅱ. 이론적 배경 = 10 A. 다독의 개념 = 10 B. 다독의 영향 = 19 C. 동기 = 23 1. 동기의 정의 = 23 2. 언어 학습의 동기 = 25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30 A.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 = 30 B. 연구 대상 = 31 C. 연구 도구 = 36 1. 읽기 자료 선정 = 36 2. 독서 방법 = 37 D. 연구 방법 = 39 1. 다독 시간 및 기간 = 39 2. 읽기 속도 측정 방법 = 39 3. 읽기 자료를 읽고자 하는 동기에 미친 영향 분석 방법 = 41 4. 한국어 학습 전반에 대한 동기 부여 분석 방법 = 42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5 A. 다독이 읽기 속도에 미친 영향 = 45 B. 다독이 읽기 자료를 읽고자 하는 동기에 미친 영향 = 47 1. 다독 활동에 대한 흥미 = 48 2. 익숙한 읽기 자료와 익숙하지 않은 읽기 자료의 선호도 = 49 3. 읽기에 대한 욕구의 증가 = 50 4. 다독이 전공 과정 진학 후의 학습에 도움이 될지의 여부 = 51 5. 읽기 활동 후의 읽기에 대한 태도 = 52 6. 앞으로 자발적으로 책을 읽을 의향 = 53 C. 다독이 전반적 한국어 학습 동기에 미친 영향 = 54 Ⅴ. 결론 및 제언 = 62 A. 연구의 결론 및 의의 = 62 B. 연구의 제한점 = 63 C.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63 D. 한국어 읽기 교육을 위한 시사점 = 64 참고문헌 = 65 부록 = 71 부록 1 연구 전 학습자 현황 파악 설문지 = 71 부록 2 = 72 부록 3 다독에 활용한 도서 목록 = 77 부록 4 Bandford와 Day(2004, p. 139)의 'Quick Book Report' = 78 부록 5 ‘QuickBookReport’를 개작한 ‘독서 후 기록’ = 79 부록 6 Bamford와 Day(2004,p.60)의 ‘WeeklyReadingDiary’ = 80 부록 7 ‘WeeklyReadingDiary’를 전면 수정한 ‘주간 독서표’ = 81 부록 8 연구 후 학습자의 읽기에 대한 동기 파악 설문지 = 82 부록 9 학습자가 작성한 '독서 후 기록'의 예 = 83 부록 10-A 다독에 활용한 도서의 예 = 85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311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11-
dc.title다독이 읽기 속도와 한국어 학습 동기 부여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 of Extensive Reading on Reading Speed and Motivation in Korean learning-
dc.creator.othernameKim, Jung ha-
dc.format.pageⅸ,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