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3 Download: 0

의미 중심 형태 교수가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의미 중심 형태 교수가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Focus on Form on Speaking Fluency of Korean Learners
Authors
이을지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교실에서 의미 중심 형태 교수가 형태 학습에만 영향을 주기보다 말하기 유창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의미 중심 형태 교수는 의미 중심 수업 중에 어떤 방식으로든 형태에 주목을 하게 하는 교수 방법이다. 의미 중심 형태 교수가 말하기 유창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의미 중심 형태 교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국내의 한 한국어 교육 기관의 교실에서 2급 수준의 학습자 8명을 모집하였다. 또한 비교 대상으로서 형태 중심 교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국내의 한 한국어 교육 기관의 교실에서 2급 수준의 학습자 14명을 모집하였다. 이렇게 모인 스물 두 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문법성 판단 시험과 말하기 시험을 치르게 한 후 이들의 점수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서술하였으며 연구 문제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연구 가설을 세웠다. 다음으로 선행 연구 검토를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 중심 형태 교수가 말하기의 유창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를 입증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의미 중심 형태 교수와 형태 중심 교수 간의 유창성에 대한 효과 차이가 정확성에 대한 효과 차이에 비해 확실하게 드러날 것이라는 가설을 밝히는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제기된 연구 문제를 바탕으로 세운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 중심 형태 교수를 받은 학습자 집단과 형태 중심 교수를 받은 학습자 집단은 형태의 정확성이 비슷할 것이다. 둘째, 의미 중심 형태 교수를 받은 학습자 집단이 형태 중심 교수를 받은 학습자 집단보다 말하기의 유창성이 뛰어날 것이다. 이어 선행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의미 중심 형태 교수에 대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 가설의 근거를 찾았다. Ⅱ장에서는 의미 중심 형태 교수와 말하기 능력의 정의에 대해 살펴 봄으로써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구축하였고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 및 절차를 기술하였다. 이 실험의 참여자는 먼저 국내의 한국어 교육 기관 중에서 본 연구가 필요로 하는 교수법적 특징을 가진 두 실험 집단을 선정한 후 모집되었다. 교수법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교재 분석과 강사 설문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실험에 참여하게 된 실험 참여자는 형태 중심 교수가 이루어지는 기관의 학습자 14명, 의미 중심 형태 교수가 이루어지는 기관의 학습자 8명으로 총 22명이었다. 본 논문에서 각 기관의 학습자 집단을 <가>집단과 <나>집단이라고 칭하였다. 실험 참여자에 대한 기본 정보와 배경 요소를 확인하고 통계 분석을 통해 두 집단은 동질성을 갖추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도구는 문법성 판단 시험과 말하기 시험이었다. 문법성 판단 시험은 집단 간 형태의 정확성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었고 말하기 시험은 집단 간 말하기의 유창성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렇게 동질한 구성을 나타낸 실험 참여자를 대상으로 두 가지 시험이라는 실험 도구를 이용해 본실험을 실시하였고 시험 점수를 결과로 얻었다. 말하기 시험에 대해서는 유창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기준에 따라 채점을 하였다. 채점은 한국어 교육을 전공하고 2년 이상의 한국어 교육 현장 경험이 있는 5명의 채점자에 의해 이루어졌다. 채점 전에 채점자에 대한 훈련을 충분히 거쳤다. Ⅳ장에서는 실험의 결과를 분석하고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실험 결과 첫째, 문법성 판단 시험에서 <가>집단과 <나>집단 사이에는 평균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즉, 의미 중심 형태 교수와 형태 중심 교수 간의 정확성에 대한 효과가 비슷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말하기 시험에서 <가>집단과 <나>집단 사이에는 평균의 차이가 40점 가량으로 <나>집단의 점수가 확연히 높았으며 그 차이가 통계상 유의미하였다. 즉, 의미 중심 형태 교수가 형태 중심 교수에 비해 말하기의 유창성에 대한 효과가 뛰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에 대한 의미 중심 형태 교수의 효과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의미 중심 형태 교수가 말하기의 유창성에 일으키는 효과가 뚜렷하다는 점, 둘째, 의미 중심 형태 교수가 말하기의 유창성뿐만 아니라 형태의 정확성 향상을 꾀하기에도 손색이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의미 중심 형태 교수가 형태에의 집중을 소홀히 하지 않으면서 학습자로 하여금 의미 전달을 막힘없이 자연스럽게 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논문을 통하여 효과가 입증된 의미 중심 형태 교수는 아직까지 형태 중심 교수가 주로 이루어지고 학습자가 한국어 사용 환경에 자유롭게 놓이지 못하는 국외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 대안으로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FonF (Focus on Form) on speaking fluency of Korean learners. FonF is an approach that directs the learner's attention to the form in any way during a meaning-focused class. A total of 22 Korean learners including 14 learners taught by FonFS (Focus on FormS) and 8 learners taught by FonF, took two tests-a grammar test and an oral test-and the results of the tes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apter I demonstrat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sets forth the research hypothes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at FonF has a positive effect on speaking fluency. The research hypotheses set up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ccuracy would be similar between the learner group of Focus on Form and the learner group of Focus on FormS. 2) Fluency would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with the learner group of Focus on Form staging a better performance than that of Focus on FormS. Chapter Ⅱ establish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by exploring the definition of FonF and speaking skills. Chapter Ⅲ describes the study methodology and procedures involved. Experiment participants consist of two groups sampled from domestic Korean teaching institutions each influenced by a specific teaching characteristic relevant to this study. In order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teaching methodology, an analysis on teaching material as well as an instructor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is process, a total of 22 students were selected for experiment with 14 students from a FonFS based institution and 8 students from a FonF based institution. The student groups in the thesis are each referred to as Group or depending on which institution they were from. Verification of personal and background information of experiment participants in addition to a statistical analysis confirmed the similarities of the two groups. A multiple choice grammar test and a oral test were used as tools for experiment. The grammar test was targeted to compare the accuracy of form whereas the oral test was focused on comparing speaking fluency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ly, the mai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participants of similar background, utilizing two types of tests as tools for experiment which resulted in test scores for analysis. After the oral tests were conducted, the conversation of the participants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scoring criteria with regard to speaking fluency were designed and the oral test results were rated according to this criteria. Five raters, who majored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had more than two years' teaching experience of the language were designated to conduct the assessment. Raters were sufficiently trained prior to rating the participants' performance of the oral test. Chapter Ⅳ analyzes and discuss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results are that: (a) difference in grammar test results between Group and did not bear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meaning that the effects on accuracy between FonF and FonFS were similar and (b) the mean of the score for the oral test of Group was approximately 40 points higher than that of Group implying a difference of statistical significance. In other words, it was identified that the effects of FonF on speaking fluency compared to FonFS was substantial. This study verifies the effects of FonF on speaking fluency of Korean learners through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FonF on fluency of speaking are evident. Second, the study shows that FonF not only improves the fluency of speaking but also has a positive influence on accuracy. Accordingly, FonF can encourage smooth and uninterrupted flow of speech for Korean learners without losing sight of grammar and structure. It is expected that FonF can be adjust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for overseas Korean language programs which mostly employ FonFS at the moment and are not established in a Korean-speaking enviro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