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양은경-
dc.creator양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0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8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04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ed at looking into the religious ideas of Yu Yeong-mo, focusing on his theory of salvation, and to find its meaning to the present day. Yu was a philosopher who embraced all the religion in the modern times with a multiple number of religions, and at the same time, achieved his original set of ideas, and he presented the path for religious intellectuals of today in the modern times to take. In this sense, this study analyzed how Yu understood and interpreted the ideas of the Christianity,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hich became the foundation of his theory of salvation, and looked into the character of his salvation theory in a bid to study its meaning in the present day. To that end, this study first selected the contents that are thought to best explain his salvation theory among all the religious ideas and phrases from sacred books in both the East and the West religions, and then looked into how they were expressed in his words. Yet, writings done by the hands of Yu are immensely difficult to decipher the implied meanings, due to his unique use of the Korean language. Therefore, this study was left with no other choice but to largely depend on the records and researches done by disciples of Yu on his ideas. First of all, Yu extended the horizon of thinking on the God, the almighty creator in Christianity and interpreted and harmonized the realism from Confucian, Buddhist and Taoist perspectives, and formed his own realist idea of "the God without" (eopsi gyesin haneunim in Korean). The core of the conception of "the God without" is explained by "one (hana)" and "praying (bim)." To Yu , the theory of salvation means "escaping from the self in body (momna) and reaching to the true and eternal self (eolna)." By explaining the original sin of the Christianity by the idea of "three poisons" in Buddhism, he said that the original problems of human beings come from the within of the human being themselves. Also, he stressed that the human beings should justly pursue "one (hana)," through the Confucian idea of "concentrating the mind on the one (juilmujeok in Korean)" and the Buddhist idea of "rising the mind by deserting obsessions (eungmusojuisaenggisim in Korean). He saw the idea that "parents should be kindhearted and caring for children and children should respect and serve the parents (bujayuchin in Korean)," as the height that achieved oneness with the reality, and he also explained the salvation from the Confucian perspective. Also, he presented a path to seek oneness with reality through the phrases of cheonmyeongjiwiseong (meaning "Human nature is given by the God"), sudojiwigyo (meaning "Cultivating moral senses means the religion"), soseongjiwido (meaning "Following the human nature means seeking truth"), which are from the Confucian book called "Chungyong" together with the Buddhist idea of the "Four Noble Truth (saseongje in Korean)." In a bid to escape from the self in body (momna) to achieve the true and eternal self (eolna), he stressed the self-discipline of both mind and body, which is the life of "always kneeling down in sitting, eating only one meal a day, cutting all man-woman relations and always walking (iljwasikileonin)" and pursuit to understand the God. Also, this is the aspect of an awakened life. Through his theory of salvation, Yu showed that all religions have different systems and creeds of their own, yet they are after all in harmony with the purpose that seeks "one (hana)." He mentioned the philosophy of "incomplete (mijeonggo)" meaning that the achievements of each religion and philosophy are all incomplete, and he noted that all the religions meet in the pursuit of "one (hana)," and therefore all the religions have their reasons of existence and they should coexist in harmony. Also, he said that human beings should live a life that is in harmony with the truth of "one (hana)," and he lived up to his ideas by making constant religions thinking and lifelong pursuit of truth. Yu presented a true image of an intellectual religious person, who embraced other ideas yet firmly protected his own philosophy, through his ideas and life. Also, he gave a chance for the people of the modern times to think again about "nothingness (eopseum)" when the people are driven in the thinking for what is seen and "what is in existence (isseum).";이 논문의 목적은 다석(多夕) 유영모(柳永模)의 종교사상을 구원론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현재적 의미를 이끌어내고자 하는데 있다. 유영모는 현대의 다종교 상황에서 모든 종교를 포용하면서도 자신만의 독특한 사상을 이룬 사상가로, 오늘날 현대인들에게 종교적 지성인이 걸어가야 하는 길을 제시한 인물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영모가 그리스도교, 유교, 불교, 도가의 사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재해석하였는지를 분석하고 그 결과 형성된 그의 구원론의 성격을 분석함으로써 그 현재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서 유영모가 언급한 동서양 제종교의 사상과 경전구절 중에서 유영모의 구원론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내용을 선별하고, 그것이 유영모의 언어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그러나 유영모가 직접 남긴 글은 그의 독특한 한글사용으로 인하여 그 함의를 파악하기 매우 어렵다. 따라서 유영모의 제자들이 그의 사상을 기록하고 연구한 글들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다. 우선 유영모는 그리스도교적 실재인 창조주로서의 신(神)에 대한 사유의 지평을 확장시키고, 유교, 불교, 도가적인 실재론을 자신의 시각으로 회통하여 ‘없이 계신 하느님’이라는 실재관을 형성한다. ‘없이 계신 하느님’의 핵심은 ‘하나’와 ‘빔’으로 설명된다. 유영모에게 구원론이란 ‘몸나에서 얼나로 솟남’이다. 그리스도교의 원죄를 불교의 삼독(三毒)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인간의 근원적인 문제가 인간 내부로부터 비롯된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유교의 주일무적(主一無敵)과 불교의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을 통해 ‘하나’를 향해야 하는 인간 본래의 당위성을 강조하였다. 부자유친(父子有親)을 실재와 합일된 극치로 보고 구원을 유교적으로도 풀이하고 『중용』의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수도지위교(修道之謂敎)·솔성지위도(率性之謂道), 불교의 사성제(四聖諦)를 통해 실재와 합일되는 길을 제시하였다. ‘몸나에서 얼나로 솟나기’ 위해서 몸과 마음의 수행을 강조하였는데, 이것이 일좌식일언인(一座食一言仁)과 궁신(窮神)의 삶이다. 그리고 이것은 또한 깨달은 삶의 모습이기도 하다. 유영모는 그의 구원론을 통해 각 종교가 다른 체계와 교리를 가지고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하나’를 향하는 목적으로 회통됨을 보여주었다. 즉 각 종교나 철학이 이루어낸 성과는 모두 미완성이라는 미정고(未定稿) 사상을 언급하면서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하나’에서 만나기 때문에 모든 종교는 그 존재의의가 있고 서로 공존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인간은 ‘하나’의 진리와 합일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하였고, 그 자신도 끊임없는 종교적 성찰과 평생의 구도과정을 통해 이를 실천하였다. 유영모는 그의 사상과 삶을 통해 다른 사상을 포용하면서도 그 자신의 철학은 확고히 지켜나간 지성적 종교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눈에 보이는 것, ‘있음’에 대한 사유에 치우쳐 있는 현대인에게 ‘없음’에 대해 다시 사유할 수 있는 장(場)을 마련해 주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들어가는 글 = 1 A.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 1 B. 연구범위와 전개방법 = 3 Ⅱ. 종교적 세계관 = 6 A. 생애사 = 6 B. 종교사상의 형성과정 = 8 1. 사상의 지평확장 = 8 2. '솟남'의 깨달음 = 15 C. 종교적 세계관 = 19 Ⅲ. 구원론 = 22 A. 구원이란 무엇인가 = 22 B. 그리스도교적 구원론 = 24 1. 그리스도교적 실재론 = 24 2. 원죄론과 타력(他力)의 구원론 = 27 3. 그리스도론 = 30 C. 유교적 구원론 = 34 1. 유교적 실재론 = 34 2. 『중용(中庸)』과 구원의 과정 = 38 3. 부자유친(父子有親)과 ‘없이 계신 하느님’과 하나 됨 = 42 D. 불교적 구원론 = 44 1. 불교적 실재론 = 44 2. 삼독(三毒)의 극복과 ‘몸나를 벗어나기’ = 48 3. 사성제(四聖諦)와 ‘얼나로 솟남’ = 49 E. 도가적 구원론 = 52 1. 도가적 실재론-노자의 도(道)와 ‘빔’ = 52 2. 도가적 구원론-노자의 허(虛)와 ‘비움’ = 54 Ⅳ. 종합적 구원론-‘몸나에서 얼나로 솟남’ = 57 A. 실재론-‘없이 계신 하느님’ = 57 B. 수행론-일좌식일언인(一座食一言仁)과 궁신(窮神) = 60 C. 구원론-‘몸나에서 얼나로 솟남’ = 64 1. 몸나와 얼나의 관계 = 64 2. 솟남의 의미 = 67 D. 종합적 고찰 = 69 Ⅴ. 나가는 글 = 74 참고문헌 = 76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972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11-
dc.title다석 유영모의 종교사상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Religious Ideas of Yu Yeong-mo : Focusing on the theory of salvation-
dc.creator.othernameYang, Eun Gyung-
dc.format.pageⅵ,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