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서영-
dc.creator강서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9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8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956-
dc.description.abstractThe object of learning languages is to communicate, and the most basic factor for the communication is vocabulary. To learn this vocabulary, we will have to be interested in learning not only the meaning of individual words but also association between words, that is, collocations. The object of the study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eaching and learning collocation by looking into the ability for chinese-speaking korean learners to use collocation, and fi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bility and the knowledge of vocabulary. In relation to this, the following topics for the study were set up: first of all, the relevance between learners' ability to use collations and the knowledge of vocabulary, second, the particular type of collocations the learners feel difficult by dividing lexical collocations into three type, such as ‘Subject + Predicate collocation’, ‘Object +Predicate collocation’, and ‘modification collocation", third, "How does the translation into chinese, native language of the learners, have an influence on using collations?", finally, the errors of learners in using collation by analyzing each of questions . To resolve the topic for study, vocabulary test, collocation test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carried out with 60 chinese-speaking korean learners and 5 korean-speakers as object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paired sample t-test, frequency analysis were made by using SPSS Windows 12.0, statistics programme.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as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ability to use collations and the knowledge of vocabulary.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llocation test for learners' ability to use collations and vocabulary test for the knowledge of vocabulary, its correlation was high. This means that if the ability to use collations is improved, the knowledge of vocabulary is also more likely to be improved. Thus, this study conformed that the ability to use collations is one of main factors forming the knowledge of vocabulary. Second, when comparing with average grade of learners by three types, ‘Subject + Predicate' collocation type was carried out well, regardless of level of the knowledge of vocabulary. Therefore, in teaching and learning the collocation, ‘Object +Predicate collocation and ‘modification collocation" have to be given attention. Third, "how does the native language of the learners, have an influence on using collation?" showed that filling in the blank with target language had better score than translating the native language of the learners into target language. Although filling in the blank was more difficult than translating in the degree of difficulty of collocation expression itself, this result could be because, first, native language of the learners might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target language(interference) and second, there were not many examples given to the questions. Finally, "analysis of each question" showed that there were negative transfer by native language occurring because of week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chinese and korean collocation expressions, and errors(overgeneralization) by excessive or incomplete application of the rule of the target language. And in spite of words in relatively frequent contact, there were many collocations that learners didn't use easily, which showed that although the collocations had high frequency, it is difficult to acquire only by simple exposure and it is necessary to learn purposefully.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and important to learn collocations in the process of vocabulary learning. Therefore learners will have to be taught collocations explicatively in the classroom. Fluent and accurate communication will be able to be developed by improving the understanding and expressive power on the collocation expression of the target language through the teaching of collocations.;언어를 배우는 목적은 의사소통을 위해서이고, 의사소통의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는 어휘이다. 이러한 어휘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개별 어휘의 의미 학습뿐만 아니라 어휘와 어휘 간의 결합, 즉 연어 학습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어휘적 연어 사용 능력을 살펴보고 학습자의 연어 사용 능력과 어휘 지식 간의 상관관계를 밝혀 연어 교수·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습자의 연어 사용 능력과 어휘 지식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둘째, 어휘적 연어를 ‘주어+서술어 연어 관계’, ‘목적어+서술어 연어 관계’, ‘수식 연어 관계’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특정 유형의 연어를 알아보았다. 셋째, 학습자의 모국어인 중국어 번역이 연어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고, 마지막으로 각각의 문항을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연어 사용에 어떤 오류를 범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중국어권 학습자 60명과 한국어 모어 화자 5명을 대상으로 어휘 시험, 연어 시험,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다음 통계프로그램인 SPSS Windows 12.0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대응표본 t-검정, 빈도 분석을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연어 사용 능력과 어휘 지식 간에 서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연어 사용 능력을 보기 위한 연어 시험과 어휘 지식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어휘 시험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것은 연어 사용 능력이 향상되면 어휘 지식도 향상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어 사용 능력은 어휘 지식 능력을 구성하는 주요한 성분 중의 하나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연어의 세 가지 유형별로 학습자의 획득 점수 평균을 비교한 결과, 어휘 지식 수준과 상관없이 ‘주어+술어’ 연어 유형을 가장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어의 교수·학습 시 ‘목적어+술어 연어 관계’와 ‘수식 연어 관계’에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연어 수행에 학습자의 모국어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 결과 번역 과제보다 빈칸 채우기 과제가 높은 점수를 보였다. 연어 표현 자체의 난이도가 빈칸 채우기 과제가 조금 더 어려웠음에도 결과가 이렇게 나온 이유는 첫째, 학습자의 모국어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점과 둘째, 시험 문제에 주어진 보기의 수가 적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문항을 분석한 결과, 중국어의 연어 표현과 한국어의 연어 표현이 일대일 대응 관계가 약해서 나타나는 모국어의 영향에 의한 부정적 전이, 목표어의 규칙을 과잉 적용하거나 목표어의 규칙을 불완전하게 적용해서 나타나는 오류 등이 있었다. 그리고 비교적 자주 접하게 되는 단어임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이 쉽게 사용하지 못하는 연어가 많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는데, 이러한 사실은 빈도가 높은 연어라도 단순 노출만으로는 습득되기 힘들며 의도적인 학습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어휘 학습 과정에서 연어를 배우는 것이 필요하고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학습자들에게 교실에서 명시적으로 연어를 가르쳐야 할 것이다. 연어 교수를 통하여 목표 언어의 연어 표현에 대한 이해력 및 표현력을 신장시킴으로써 유창하고 정확한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3 C. 연구의 개요 = 4 D. 연구의 범위 = 5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 6 A. 연어 = 6 1. 연어의 개념 = 6 2. 연어의 특성 = 8 3. 연어의 유형 = 12 4. 연어 교수·학습의 중요성 = 17 B. 선행 연구 = 19 1. 영어 교육에서의 연어 사용에 관한 연구 = 19 2.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어에 대한 연구 = 22 C. 연구 문제 및 가설 = 26 1. 연구 문제 = 26 2. 연구 가설 = 28 Ⅲ. 연구 방법 = 30 A. 실험 참여자 = 31 B. 실험 도구 = 31 C. 실험 절차 = 35 1. 예비 실험 = 35 2. 본 실험 = 36 D. 자료 분석 방법 = 37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0 A. 어휘 지식과 연어 사용 능력의 상관관계 = 40 B. 연어 유형별 연어 사용 능력 = 43 C. 과제 유형별 연어 사용 능력 = 46 D. 문항별 정답률과 오류 분석 = 48 Ⅴ. 결론 = 63 A. 연구 요약 및 결론 = 63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64 참고문헌 = 66 부록 = 71 부록 1 실험 도구 제작을 위한 교사용 설문지 = 71 부록 2 어휘 지식 및 연어 사용 시험지(학습자용) = 76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29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11-
dc.title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적 연어 사용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Lexical Collocations of Chinese-Speaking Korean Learners-
dc.creator.othernameKang, Seo Young-
dc.format.pageⅷ,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