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동근-
dc.creator전동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0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8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085-
dc.description.abstract한국어 교육에서 조사는 꾸준한 논의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는 부담의 대상이었다. 조사의 수와 기능이 너무나 다양하여 그 기능과 의미를 규정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조사들 중에서 조사 '을/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학교문법에서는 이를 목적격 조사라는 격표지로, 그리고 특수한 뜻을 덧붙이는 보조사로 이원화하고 있다. 그러나 격조사는 구조적인 분류이며 보조사는 화용적인 분류에 속해 층위간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분류는 인구어를 바탕으로 한 격문법에 한국어를 적용하여 일어난 문제로 본 연구에서는 조사 '을/를'을 용법에 따라 분류하고자 한다. 한국어 교육에서 조사 '을/를'은 여러 조사들과 함께 오류분석에서 논의되어 왔었다. 그러나 조사 '을/를'에 대한 쓰임에서 오류를 판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조사 '을/를'은 장 의존적인 성향이 강한 조사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조사 '을/를'을 중간언어에서 살펴보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간언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변인을 과제 유형으로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시켰다. 또한 과제 유형에 따른 조사 '을/를'의 정확도와 학습자의 숙달도와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06년 10월부터 2007년 4월까지 4개 교육기관에서 문법성 판단 테스트, 번역 테스트, 그리고 작문 테스트를 수행하게 한 후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초급은 36명, 중급은 33명 총 69명으로 모두 학문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어권 학습자들로 구성되었다. 조사 '을/를'은 한국어 교재와 학습자들의 수행 과제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행동의 직접적 대상', '행동의 목적', '요구·희망', '수단·재료', '행동의 출발점', '관용적 형태', '행동의 간접적 대상', '강조', '습관·반복'의 9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조사 '을/를'의 용법별 사용 빈도와 변이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변이형은 완벽한 오류와 다른 조사로의 대체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작문 테스트> 번역 테스트> 문법성 판단 테스트의 순으로 정확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초급이 중급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조사 '을/를'의 변이형은 '-을/를+상태동사'가 가장 많았으며 '비실현'과 '이/가'로의 대치도 높게 나타났다. 조사 '을/를'에 대한 기존의 이분법적 분류에서도 형태적으로는 조사 '을/를'과 타동사와의 결합으로 제시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은 조사 '을/를'과 서술어의 결합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을 교육에 적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① 단어를 제시할 때 상태동사, 자동사, 타동사를 구분하여 표기한다. ② 조사 '을/를'은 서술어와 구문적 공기 관계를 이루는 덩어리 형태로 제시한다. ③ 구별이 명확하게 되는 단어카드를 이용하여 조사 '을/를'과 결합이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을 인식하게 한다. 문법항목의 교육에서 규범문법 못지않게 실용문법도 중요하게 작용한다. 한국어 교육에서 덩어리 형태로 문법항목이 제시되는 것도 이것이 반영된 결과일 것이다. 학습자들이 문법항목을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위의 세 가지 방안이 교재와 교육 내용에 반영되기를 바란다.;The particles "eul" and "reul" have been discussed in error analysis with other particl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it is not easy to judge if the use of the particles "eul" and "reul" is correct or not because these particles are strong field-dependent particles.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investigate the particles "eul" and reul" in interlanguage. For this reason, the study conducted research by setting possible variations affecting interlanguage as assignment type, learner's learning phase. Regarding assignment type, unlike existing interlanguage studies, only written language assignment type was selected, and learner's learning phase was limited to beginner and intermediate phases. Based on Korean textbooks and leaners' assignment performance results, the particles "eul" and "reul" were classified into nine categories : "direct object of action," "purpose of action," "request·hope," "means·subject matter," "beginning point of action," "common form," "indirect object of action," "emphasis," and "habit·repetition." Through this classification, the use frequency and variation types of the particles "eul" and "reul" used by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examined. For analysis, variation types were divided into perfect errors and substitutions to other particl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accuracy in the order of composition test> translation test> grammatical judgement test, and beginner learners showed higher accuracy than intermediate learners. Regarding variations of the particles, "eul/reul + stative verb" was most frequent, and "non-realization" and "replacement to yi/ga" were also found frequently. The existing dichotomous classification about the particles "eul" and "reul" also suggests the combination of the particles and transitive verbs. In spite of the fact, it was found that learners have most difficulty in combining the particles "eul," "reul" with a predicative.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or education. ① When suggested, words need to be classified and marked as stative verbs, intransitive verbs and transitive verbs. ② The particles "eul" and "reul" need to be suggested as a combined form with a predicative in a sentence. ③ Learners need to recognize what possibly combines with the particles "eul," or "reul" and vice versa using distinctive word cards. In grammar education, practical grammar is no less important than prescriptive grammar. In this context, Korean language education suggests grammar items in the combined forms. It is expected that the three measures mentioned above are accepted in textbooks and education content for learners to acquire grammar items easi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연구가설 = 6 D. 선행연구 = 7 Ⅱ. 이론적 배경 = 12 A. 중간언어와 과제 유형 변이 = 12 1. 중간언어의 개념 = 12 2. 중간언어의 발달 단계 = 14 3. 과제 유형에 따른 변이 = 17 B. 조사 '을/를'의 특성 = 22 1. 격과 조사 '을/를' = 22 2. 한국어 교재 내에서의 조사 '을/를' = 33 Ⅲ. 연구 절차 및 방법 = 38 A. 연구 참여자 선정 = 39 B. 연구 방법 = 41 1. 문어 과제 유형 구성 = 42 가. 문법성 판단 테스트 = 42 나. 번역 테스트 = 43 다. 시험 작문 테스트 = 43 라. 과제 유형의 신뢰도 = 44 2. 예비 실험 = 45 3. 본 실험 = 45 C. 자료 분석 방법 = 46 1. 유효화 기준 = 46 2. 통계 처리 방법 = 47 Ⅳ. 변인에 따른 조사 '을/를'의 변이 양상 = 49 A. 과제 유형에 따른 조사 '을/를'의 정확도 = 49 B. 조사 '을/를'의 변이 양상 = 54 C. 교육적 적용 = 72 Ⅴ. 결론 = 78 참고문헌 = 82 Abstract = 89 부록 1 문법성 판단 테스트 = 92 부록 2 번역 테스트 = 94 부록 3 과제 유형에 따른 득점표 =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111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11-
dc.title과제 유형에 따른 중간언어 변이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nterlanguage Variations according to Assignment Type Focusing on the Learning of the Particle "Eul" and "Reul" by Chinese Speaking Leaners-
dc.creator.othernameJun, Dong Keun-
dc.format.pageⅵ, 9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