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양문이-
dc.creator양문이-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7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8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765-
dc.description.abstract여러가지 종류의 樓 중에서 주택에 부설된 樓를 누마루라고 한다. 누마루는 樓의 일반적인 기능인 接客과 親自然을 목적으로 하여 조영되었다. 누마루는 그 건축적인 특성에서 독립된 하나의 건축물이 주택에 결합된 예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 구조물이면서 또한 조선사회의 변화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주택은 인간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건축물 중 가장 기본적 욕구를 충족 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건축물이다. 조선시대의 상류주택도 당시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사회상을 반영하여 지어졌으며, 당시는 현대사회와 같이 사람들의 생활이 분화되지 않아서 오늘날 주택 외의 개별적 공간으로 나뉘어 분화된 여러가지 기능이 모두 주택에 수용되어 지어졌다. 이 중 하나의 기능을 담당한 사랑채의 확대는 조선중기 이후부터 왕권중심을 벗어나 향촌사회에서 중간 지배계층으로 성장한 사림세력의 성장과 그 맥을 같이하는데, 주거가 사회적 기능을 수용하게 되면서 사랑채가 이러한 기능을 담당하여 남성의 공간으로 발달하게 된다. 또한 조선 건국 이념인 성리학이 조선중기 이후 자리잡으면서 남녀유별의 사상이 자연스럽게 주택에도 적용되어 지어지게 되어 남녀의 공간분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사랑채와 안채가 분리되어 사랑채가 독립적 공간으로서의 그 특성이 강해지게 된 것이다. 문헌 자료에 의하면, 樓는 이미 사랑채가 발달하기 이전부터 주택에 造營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다만 오늘날 남아 있는 유구처럼 사랑채에 부속된 형태가 처음부터 주택에 적용되지는 않았으며, 정자처럼 주택 내에 접객공간으로서 독립적으로 造營된 樓가 먼저 발달된 것으로 추정될 뿐이다. 마루공간을 대지로부터 띄워 건축한 고상식 건축물은 이미 삼국시대부터 발달하였고 독립된 樓 건축은 이미 고려시대에도 매우 발달된 형태로 존재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독립된 건축물인 樓가 주택에 부속되는 과정을 현존하여 남아있는 조선초기에서 후기에 이르는 누마루를 대상을 조사하여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누마루의 발달 과정이 사랑채의 확대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만큼 사랑채 확대의 사회적 배경을 조사하고 사랑채 실의 분화와 공간구성의 다층화 과정에서 樓가 사랑채 내로 결합하여 융화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 사용된 누마루는 조선 초기 관가정과 무첨당 심수정, 중기의 묵와고가, 칠사당, 후기의 정병호가옥, 정온선생가, 선교장, 연경당등 20개의 누마루를 대상으로 답사와 실측을 통한 건축적 분석을 토대로 한다. 또한 사랑채 확대과정에 대한 연구는 문헌과 기존 사랑채 분화에 관한 연구 논문을 참고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가 조선시대 상류주택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누마루에 대한 심화 있는 연구의 한 부분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Numaru's general architectural character through classification according to its shape , planning method, and connecting method to Sa-rang-Chae. And to infer development process of Numaru from its architectural character in the former term, middle term, and last term, based on architectural data. Numaru is piloted structure. It is made of wood-plank floor called 「maru」 and used in reception of guest. Numaru is branch of Nu-Nu is non-wall structure whose entire body is piloted by lower post. Nu is already very advanced structure in shape, decorative design, size in first term of Chosun. And has been attached to Sa-rang-Chae since this period. Nu's connecting process is closely related to enlargement and specialization of space of Sa-rang-Chae. Traditional higher-classes housing of Chosun dynasty is composed of Chae-basic unit of Korean traditional house. In the former term of Chosun, house is single unit, and its shape is square. In those days there is no sex discrimination, so no seperation of space according to sex. And there is only common people and slaves because centeralized power is strong. But from the middle term to last term, spread of an idea of Sung-Li strengthen distinction of male and female and leads to division of Chae into several unit like An- Chae, the female space, and Sa-rang-Chae, the male space. And weakening of king power leads to the creation of middle-class who rule over local community. As result, high-classes housing need to have space of social function for men who have power to check dictatorship of king through their unity in local community. Sa-rang-Chae was built in large and in splendour by these reasons. Numaru has been developed as attached structure of Sa-rang-Chae closely connecting to procedure of enlargement of Sa-rang-Chae. The following is the procedure of this research. ▶ Gathering data about shape, decorative design, size , planning method, of 20 Numarus in Kang-won Do, Kyoung-ki Do, Kyoung-sang Do, Jeon-la Do ▶ Classifying Numaru with a period and analysis its general architectural character and specific character which is related with enlargement of Sa-rang-Chae This research will demonstrate a theory of Numaru's attaching process to Sa-rang-Chae in connection with enlargement of Sa-rang-Cha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ⅰ 第1章 序論 = 1 1. 硏究의 背景 및 目的 = 1 2. 硏究의 方法과 範圍 = 2 3. 硏究의 對象 = 3 第2章 樓 建築의 構造와 意匠 分析 = 4 1. 樓 마루 構檀 = 4 1-1. 樸下部 構造 = 4 1-1-1. 基檀 = 4 1-1-2. 礎石 = 10 1-1-3. 樸下柱 = 12 1-2. 樓上部 構造 = 16 1-2-1. 바닥 = 16 1-2-2. 樓上柱와 上部 架構造 = 17 1-3. 屋蓋部 = 26 2. 樓마루의 意匠요소 = 29 2-1. 欄干 = 29 2-2. 머름과 窓 = 31 第3章 樓마루의 配置特性 및 空間構成 = 33 1. 사랑채와 누마루의 連結類型 = 33 1-1. 獨立型 = 33 1-2. 附屬形 = 38 2. 引接空間에 따른 內部動線 = 41 3. 사랑마루 構成에 따른 누마루의 建築的 特性 = 48 3-1. 側面 마루形 = 48 3-2. 中央 마루形 = 49 3-3. 모마루형 = 50 第4章 樓마루의 발달과정 = 51 1. 사랑채의 擴大 = 51 1-1. 文獻의 考察 = 51 1-1-1. 廳事와 斜廊 = 51 1-1-2. 家舍規制에서의 斜廊과 翼廊 = 52 1-2. 사랑채 發達의 學設1 - 朝鮮中期 이후 社會相의 變化에 따른 背景 = 53 1-3. 사랑채 발달의 학설2 - 祭廳의 新築과 行禮空間의 轉移와 擴大 = 54 2. 家舍規制의 樓 = 57 2-1. 2차 家舍規制 = 57 2-2. 3차 家舍規制 = 57 2-3. 4차 家舍規制 = 60 2-4. 家舍規制 分析을 통한 住宅 內 樓建築 = 61 3. 누마루의 發達 = 63 3-1. 朝鮮初期 누마루의 發達 = 63 3-1-1. 朝鮮初期 樓마루 = 63 3-1-2. 樓마루 實例 = 64 3-2. 朝鮮中期 機마루의 發達 = 69 3-3. 朝鮮後期 樓마루 = 70 第5章 結論 = 73 參考文獻 = 76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261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dc.subject조선시대-
dc.subject상류주택-
dc.subject누마루-
dc.title朝鮮時代 上流住宅 樓마루의 建築的 特性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architectual character of Numaru - development process of Numaru in connection with enlargement of Sa-rang-Chae in traditional higher-classes house in Chosun dynasty-
dc.format.pagex,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과학기술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