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희정-
dc.creator김희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4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8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473-
dc.description.abstract미래의 사회는 현대 과학 기술과 그를 응용한 산물과 대면할 기회가 더욱 증대될 것이다. 이에 기본적인 과학 지식, 문제 해결 능력 및 과학과 기술과 사회의 상호 관계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과 실생활 문제와 관련이 깊은 내용과 경험을 학생들에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과학을 전공하지 않을 예술계 고등학생들의 과학교육은 학생들이 과학에 대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잃지 않고, 실생활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를 기를 수 있게 교재를 구성하고 가르치는 데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현대 과학과 기술' 단원에서의 STS 소재 자료의 교재 구성과 교수 방법은 특히 예술계 고등학생들에게 과학이 흥미 있고 실생활에 유용한 것이라는 태도 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리하여 고등학교에서 2002년부터 도입되는 7차 교육 과정은 학생의 능력, 적성, 진로를 고려하여 교육 내용과 방법을 다양화하고, 과학 학습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실생활 문제를 학습의 소재로 활용하며 실생활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를 기른다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런 흐름에 따라 '현대 과학과 기술' 단원의 수업은 실생활과 밀접한 중요한 부분이며, 특히 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흥미와 호기심을 고취하여 과학과 관련된 태도에 영향을 끼치는 바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현재 고등학교 "공통과학"에 실린 '현대 과학과 기술' 부분의 내용은 교사가 현재 사회의 특성이나 학생의 수준에 알맞게 재구성하여 활용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과학교육에 있어서 학생들의 탐구활동은 주로 실험실이나 교실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사회의 응용과학에 대한 지식의 전달과 경험의 확대 기회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STS 소재의 자료와 교수 방법을 이용한 수업 전략이 현대 과학기술과 관련된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경기도에 있는 예술계 고등학교 2학년 345명을 대상으로 하여 "공통과학"에 실린 '현대 과학과 기술' 단원에 STS 소재의 자료와 교수 방법을 이용한 수업을 6차시 동안 진행하였다. 수업이 시작되기 전과 6차시 동안 수업이 진행된 후에 과학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현대 과학 기술과 관련된 태도를 변화시키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신소재 영역의 액정, 합금, 강화 플라스틱, 파인 세라믹스, 고온 초전도체와 광통신과 반도체, 생명과학, 우주 과학과 관련된 태도가 STS 소재의 자료와 교수방법을 이용한 수업을 한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p<.01). 이는 보다 친숙한 STS 소재의 자료를 제시한 수업이 학생들에게 현대 과학 기술과 관련된 태도에 호감과 관심을 갖게 하는데 효과적이었음을 말해준다. 둘째 과학의 정의적 영역과 과학과 기술과 사회가 연관되어 있다는 태도가 STS 소재의 자료와 교수 방법을 이용한 수업을 한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p<.01). 보다 친숙한 STS 소재의 자료를 제시한 수업이 학생들에게 과학의 정의적 영역과 과학과 기술과 사회가 연관되어 있다는 태도를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말해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생각하는 현대 과학 기술과 생명 과학 단윈 수업의 장·단점으로 응답한 학생 중 많은 수가 '재미있었다', '흥미로웠다', '과학이 실생활에 유용하다'의 응답을 하고 있으며, 그러나 과학에 대해 '여전히 잘 모르겠다', '과학 기술의 발전이 무섭다', '이해하기가 너무 어렵다'의 부정적인 응답도 있었다. 또한 '수업은 재미있지만 입시 위주의 수업이 더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어서 우리 고등학교 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와 같이 STS 소재의 자료와 교수 방법을 이용한 수업 전략이 예술계 고등학생들의 현대 과학 기술과 관련된 영역과 과학 학습 영역과 과학-사회-기술 영역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주는데 효과가 크다. 그러므로 예술계 고등학생들에게 보다 친숙하고 시사성 있는 STS 교재 개발과 학생의 능력, 적성, 진로를 고려한 교육 내용과 방법을 다양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장 교사들의 STS 교수 방법에 대한 높은 지지와 인식이 있어야 할 것이다. 현장 교사들의 STS 교수 방법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교육 내용과 방법을 꾸준히 개선해야 할 것이다.;In the future society, the opportunity to face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and its applied products may be increasing. So we need to develop students' actual experience related scientific education and textual contents deeply engaged in their practical lives, with proper knowledge of mutu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basic scientific competence or ability solving problems, and upcoming high-technology society. Especially, we should consider their ability, attitude and vision in the scientific education of Art School students who don't study science. So we try to cultivate basic abilities to lead social changes, and we also persue the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in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class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is the important part closely related with actual life and it has a great influence on students attitude to science. From this viewpoint, the contents of current highschool text 'general science' about modern science should be reconstructed in terms of contemporary social characteristics or students' level to understand them. In fact, there's little chance for the teachers to deliver knowledge to the students or widen their experience on social applicatory science though. So, it is necessary to analyse the effects of class strategy using proper STS module on student's attitude about modem scientific technology and life science, the definition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e relationship among science-technology-society. This study gave six classes with proper STS module for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o the 345 second grade students of Art School in kyonggi-do. This study is based on the experiment of students' attitude changes before and after 6 classes constituted by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less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tudents' thoughts on a liquid crystal, an alloy, fine ceramics, a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show the meaningful changes after this kind of classes.(p<.01) Secondly, their thoughts on an optical communication and a semiconductor after the classes with STS data show the meaningful changes statistically.(p<.01) Thirdly, their thoughts 011 life science effect the meaningful changes statistically.(p<.01) Fourthly, their thoughts on space science effect the meaningful changes statistically.(p<.01) It means that the classes using more familiar STS data are effective to make students have interest and preference about modern technology and life science. Fifthly, after classes with STS data, their thoughts on scientific defining area effect the meaningful changes statistically.(p<.01) Sixthly, their thoughts on the interrelation among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ciety effect the meaningful changes statistically.(p<.01) It means that the classes using more familiar STS data are effective to make students change their attitude about scientific defining area or interrelation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Finally, students ' responses to the class of modem scientific technology and life science are twofold: positive and negative. Most students responded to questionnaire with "interesting" or "being useful in actual life", but a few students with "not understanding yet," "hard to understand," "scared by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Especially the response of "interesting but not necessary for college entrance exam" surfaces as a problem in the education system of highschool. Classes using STS data and strategy proved effective to improve students' attitude in terms of not only the definition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but the relationship among science-technology-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develop more systematic and pragmatic STS texts, to vary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considering students's competence, aptitude and care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2 C. 연구의 제한점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과학과 기술과 사회의 정의 = 3 B. STS교육의 특성 = 4 C. 공통 과학과 제 6차 교육 과정 = 9 D. 선행 연구의 고찰 = 11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15 A. 연구 대상 = 15 B. 연구 방법 = 15 C. 연구 단원 = 16 D. 검사 도구 = 16 E. 연구 절차 = 2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1 A. 과학에 관한 태도에 대한 결과 및 논의 = 21 Ⅴ. 결론 및 제언 = 40 참고문헌 = 44 부록 1 과학에 관한 태도 검사지 = 48 부록 2 학습 지도안 예시 = 51 부록 3 학습 자료 예시 = 57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884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예술계-
dc.subject고등학생-
dc.subject현대 과학 기술-
dc.subject태도 변화-
dc.title예술계 고등학생들의 현대 과학 기술과 관련된 태도 변화-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ttitude Changes of Highschool Students in art department related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dc.format.page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