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영희-
dc.creator박영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7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8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761-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도덕과 교육이 민주시민으로서의 도덕적 자질을 함양하는 전통적인 도덕이론을 바탕으로 도덕 교육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교사상 정립을 위해 제7차 교육 과정에 대한 문제점을 검토하며 이에 대한 시사점과 교사의 발전적 역할을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현행 도덕과 교육의 편제상의 특징은 한국 민족 공동체의 유지 및 발전을 위한 규범 및 예절의 습득을 중요한 교육 목표로 설정하고 도덕적으로 성숙한 개인의 자율적인 신념아래 하나의 독립적인 관점과 건전한 비판 의식의 함양을 중요한 교육 목표로 설정한 점이다. 둘째, 중학교 도덕 교과내용에 있어 한국인에게 필요한 규범과 예절을 파악하게 하고, 몸에 익히게 하는 것 (중학교 1학년, 중학교 2학년에서 강조)은 한국 사회에서 합의한 바람직한 가치·태도·행동 성향으로 표현되는 규범과 예절을 가르침으로써 사회질서를 유지하고 이상적인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려는 데, 목표를 둔 것이다. 셋째, 제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중학교 도덕 교육의 문제점으로는 먼저 각 가치 덕목들간의 유기적인 연계를 고려하여 계열성의 확보가 요구되는데, 학교급별 목표를 분명하게 설정하고, 이들 사이에 일관성과 계열성의 확보가 지적된다. 이러한 목표의 확립은 도덕과가 독자성을 갖추고 적절한 체계를 갖추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요인이다. 다음으로 교사 단독으로 지시하고 전달하는 주입식 교육 내용에서 탈피하여 학생들 스스로 생각하고 탐구하며 상호 토론함으로써 도덕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고 학습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체계가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현재까지도 도덕교육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목표와 방향 제시가 어렵고, 체계적인 학습 내용과 교수법 역시 미비한 점에서 이의 개선이 요구된다. 이상에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현행 도덕 교육에 대한 교사의 역할 증대와 효율적 지도 개선을 위해서는: 첫째, 현대사회의 병리현상인 비인간화, 물질만능주의, 가치관의 혼동 등으로 인한 학교 안에서의 교육적 성과와 학교 밖에서 교육환경의 훼손되는 상황에서 교사는 사회의 잘못된 교육관을 바로 잡고 비교육적인 행위와 오염된 사회환경으로부터 학생들을 보호하는데 모범이 되기 위해서는 투철한 교육관을 가진 성직자와 같은 바른 인품과 언어, 예절로 모범된 교사상을 정립하여 나가야 할 것이 요구된다. 둘째, 교사는 전통적으로 지식을 베풀어주는 지식 전달자로서 교과목에 대한 훌륭한 기초적 소양과 적절한 전달 수단이 필요한데 이러한 정보매체(인터넷, 통신망, 각종 교육기자재)를 자유 자재로 활용하여 원활한 수업의 상호작용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전문성을 키워야 한다. 셋째, 교사는 학생을 도와주는 협력자의 입장에서 학생의 의견을 존중하며 자신은 사회를 대표한다는 신념으로 좋은 모델이 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도 직업인으로서의 바른 자세와 직장에 대한 고마움과 애정을 가지고 맡은 업무에 의무와 책임감을 가지고 항상 연구 개발하는 자세가 요구된다.;The purpose of this treatise is to try to find implications and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al role of teachers, examining the reason why moral education is necessary, and what are the main problems of the 7th curriculum, to establishing the right image of teachers,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moral theory to cultivate moral quality as democratic citizens by moral studies in middle schools. Firstly,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moral education an the present curriculum of education planning of Ministry Korea Education may be pointed out as follows ; the formation of the present 7th moral education process is characterized by setting up, as important education objects, the acquirement of norms and propriety for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ur national community, and the cultivation of an independent viewpoint and sound critical consciousness under the belief of a morally matured individual Secondly, to make Koreans understand and acquire the norm and propriety necessary for them(emphasizing the necessity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middle schools) in the content of moral studies in middle schools is to maintain public order and create the atmosphere of ideal society by teaching the norm and manners representing advisable values, attitudes, actions and nation which are agreed in our society. Thirdly, problems of moral education which is appeared in the 7th curriculum in middle schools are as follows :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secure sequence by considering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value items, so to establish the aim by class clearly and to attain the consistence and sequency between them are also needed. Establishing this object is an essential factor in order that moral education may have originality and proper system; And then, the system to increase students' ability to think of morality and to grow their learning ability should be established, getting out of the cramming system of education that teachers alone instruct and convey the knowledge, make students think and invest for themselves and discuss mutually; Finally, even until now it i s required to improve the syst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esent the object and direction to be the criterion in mord education, and systematic learning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re insufficient. Based on the problems shown above, to increase the role of teachers on the present moral education and to improve effective teaching, the following suggestion are needed : 1) Under the circumstance that the educational results in school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out of schools are damaged owing to inhumanity-that is a pathological phenomenon in modern society-materialism and confusion of values, teachers to be the model keep forming their exemplary images marked by right dignity, language and manners like the clergy with the intelligible view of education to a view mislead in our society, to become a leader or a good model to protect students from uneducational actions and social environment that is being tainted, become. 2) Teachers, as a conveyer to give their knowledge traditionally, need to have a basic grounding in a subject and appropriated measures to communicate, so they should develop special quality to utilize and be good at handling information media(the Internet, network, various educational tools) so that smooth interaction of classes can be made. 3) Teachers should be a good model, having the belief they represent society as well as respecting students' opinions from their viewpoint to help them. Thus teachers are required to assume an attitude to always try to study and develop with right attitudes as a professional, gratitude for and affection of their work, and obligation and responsibility for i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방법 = 4 C. 선행 연구 고찰 = 6 Ⅱ. 중학교 도덕과 교육의 이론적 배경 = 9 A. 도의·도덕·윤리의 개념 및 도덕교육의 목표 = 9 1. 도의·도덕·윤리의 개념 = 9 2. 도덕교육의 목표 = 11 B. 도덕과 교육의 제 이론 = 14 1. 뒤르깽 (E. Durkheim)의 도덕적 사회화 = 14 2. 듀이 (J. Dewey)의 도덕교육론 = 17 3. 삐아제(J. Piaget)의 도덕성 발달론 = 21 4. 콜버그(L. Kohllberg)의 도덕 발달론 = 26 C. 도덕 교육과 도덕성에 관한 논의와 문제점 = 31 Ⅲ. 중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시대적 특성 = 38 A. 교과과정의 변천과정 = 38 1. 혼란기의 도덕과 교육 = 38 가. 해방후 ~ 6.25 전쟁후까지 (1945~1954) = 38 나. 제 1차~ 4차 교육과정 : 군부정권 시대 (1954 ~ 1987) = 41 2. 민주화 시대의 도덕과 교육 = 49 가. 제5차 교육과정기 : 6.29선언부터 문민정부까지 (1987 ~ 1992) = 49 나. 제6차 교육과정기 : 민주화 시대 (1992-1997) = 51 B. 제1차 교육과정부터 제6차 교육과정상의 문제점 = 53 Ⅳ. 제7차 교육과정의 도덕과 교육의 총론적 특징 및 중학교 도덕과의 문제점 = 57 A. 도덕과 교육의 주요 내용 및 총론적 특성 = 57 1. 도덕과 교육의 주요 내용 = 57 2. 총론적 특징 = 61 B. 중학교 도덕과 교육의 성격·목표·특징 = 64 1. 성격 = 64 2. 목표 = 66 3. 특징 = 69 C. 중학교 도덕 교육의 문제점 = 71 1. 중학교 도덕교육의 체계와 목표 = 71 2. 중학교 도덕 교육의 내용 및 과정 = 73 3. 중학교 도덕 담당자의 (교사)의 전문성 결여 = 76 Ⅴ. 도덕과 교사의 바람직한 역할 = 78 A. 교사상의 유형 = 78 1. 투철한 교육이념가로서의 교사상 = 78 2. 교육전문가로서 교사상 = 79 3. 직업인으로서의 교사 = 81 B. 이상적인 교사상 = 83 1. 교사의 사회적 의의 = 83 2. 교사의 전문성 제고 = 84 C. 도덕과 교사의 역할 = 87 Ⅵ. 결론 = 90 참고문헌 = 93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785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도덕-
dc.subject교사-
dc.subject윤리교육-
dc.title중학교 도덕과 교육의 문제점과 교사의 역할 개선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3학년 도덕, 윤리 교육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Problems of Mor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and the improvement of Teacher's Role : focused on the Education of Morality and Ethics in the Third year-
dc.format.pagevi,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