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선-
dc.creator이은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4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8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8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80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eedback type in Self-assessment o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ttitude. For the study, among eight classes chosen from a co-ed middle school in Seoul, six classe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other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control group was instructed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j.e- Experimental group 1, Experimental group 2 and Experimental group 3. Experimental group 1 was provided for detailed feedbacks on the solution, comments on the results, and relevant references were provided after self-assessment by teacher Experimental group 2 was provided for feedback as experimental proup 1 not by teacher, but after self-assessment by classmate and Experimental group 3 was not provided for feedback after self-assessment. The duration of the treatment was over a period of eight weeks. Their science achievements was examined after the test,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was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test. The result of achievement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have analyzed by ANCOVA. The result of this study areas follows :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ience achievement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p>.05), but groups offered feedback had better achievement than group of no feedback(p<.05). The interaction between their accomplishment and treatment was considered(p<.05), and in particular it was much more successful for the low group in advance level.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rernce of 4 groups in science attitude(p>.05). And the interaction between sex and group was not considered, but the experimental group 1 had better attitude than control group(p<.05). So, the experimental group 1 was more efficient in improvement of attitude than group of no feedback.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achievement level in advance and groups. Just attitude of experimental group 1 was better than experimental group 2 and control group.;이 연구의 목적은 평가의 본래 목적에 부합하고 학습자를 능동적인 주체로 보며, 과학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 가능한 자기평가가 중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때의 피드백 제공자 차이에 따른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1학년 학생 246명으로, 자기평가를 실시한 6개 학급을 실험반으로, 2개 학급은 통제반으로 하였다. 자기평가를 실시한 실험반 중에서 2개 학급은 자기평가에 대한 개별적인 피드백을 교사가 제공하였고, 2개 학급은 같은 반 급우가 하였으며, 2개 학급은 자기 평가는 실시하되 피드백은 제공하지 않았다. 연구 단원은 중학교 과학1 「소화와 순환」 단원이며, 약 8주 동안 6차시에 걸쳐 수업처치를 하였다.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는 사전·사후에, 과학 학업 성취도 검사는 사후에 이루어 졌으며, 검사 결과는 SPSS 10.0 통계패 키지를 사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수업처치 후의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네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그 중에서 자기평가를 실시한 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집단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자기평가 실시 후 피드백 제공 유무에 따른 집단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p<.05), 피드백 제공자의 차이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없었다. 성별과 집단과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으나, 사전 성취수준과 집단과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p<.05). 사전 성취 수준이 상인 집단의 경우 수업 처치 결과와 상관없이 교정 평균이 높았지만, 사전 성취수준이 하인 집단의 경우 자기평가 후 동료가 제공한 피드백을 받은 집단과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은 집단에서 성취수준 중인 집단보다 높았다. 수업처치 후의 과학 관련 태도에 있어서 네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성별과 집단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으나, LSD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피드백을 제공받은 집단과 통제 집단 사이의 태도는 유의수준 .05이내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여 자기평가 후에 교사가 주는 피드백이 아무 것도 제공하지 않은 집단보다 태도 개선에 있어 효과적이었다. 사전 성취수준과 집단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다만 교사 피드백을 제공받은 집단의 태도가 동료피드백을 제공받은 집단과 통제 집단보다는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이는 교사가 제공한 피드백이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자기평가를 이용한 수업은 학생들에게 자기반성의 기회를 제공하고 스스로를 평가해 볼 수 있게 하는 수업으로 특히 하위 수준의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교정적인 피드백의 제공이 자기평가를 이용한 수업에 있어서 큰 변수로 작용했으며, 교사가 학생 개개인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어려운 교육현장에서 동료가 제공하는 피드백이 좋은 대안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교육 평가의 개념 = 5 1. 교육평가의 의미 = 5 2. 교육평가의 목적 = 5 (1) 관리목적의 교육평가 = 6 (2) 지도목적의 교육평가 = 6 (3) 학습목적의 교육평가 = 7 (4) 연구목적의 교육평가 = 7 B. 자기평가 = 7 1. 자기평가의 개념 = 7 2. 자기평가의 효과 = 9 C. 메타인지와 피드백 = 10 1. 메타인지(meta-cognition)의 의미 = 10 2. 피드백 = 10 (1) 피드백의 개념 = 11 (2) 피드백의 기능 = 12 (3) 피드백의 유형 = 13 D. 선행 연구 = 15 1. 자기 평가에 대한 선행 연구 = 15 2. 피드백에 관한 선행 연구 = 16 Ⅲ. 연구 절차 및 방법 = 18 A. 연구 대상 = 18 B. 연구 단원 = 19 C. 연구 설계 = 19 D. 연구 절차 및 검사 도구 = 20 E. 자료 분석 방법 = 25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7 A. 과학 학업 성취도 비교 = 27 1. 집단 간의 성취도의 차이 비교 = 27 2. 자기평가의 실시유무에 따른 성취도의 차이 비교 = 29 3. 자기평가 실시 후 피드백 제공유무에 따른 성취도 차이비교 = 30 4. 교사주도피드백과 동료주도피드백의 성취도의 차이비교 = 32 5. 성별에 따른 수업처치별 성취도 분석 = 34 6. 사전 성취수준에 따른 수업처치별 학업성취도 분석 = 36 B. 과학에 대한 태도의 차이 비교 = 39 1. 집단 간의 과학에 대한 태도의 차이 비교 = 39 2. 성별에 따른 수업처치별 과학에 대한 태도의 차이 비교 = 41 3. 사전성취수준에 따른 수업처치별 과학에 대한 태도의 차이 비교 = 43 Ⅴ. 결론 및 제언 = 45 참고문헌 = 48 부록 1 학업 성취도 검사지 = 53 부록 2 학업 성취도 검사문항의 내용 타당도 의뢰서 = 58 부록 3 학업 성취도의 내용 타당도 검사 결과 = 60 부록 4 과학 학습에 대한 태도 검사지 = 61 부록 5 자기평가지 = 63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015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자기평가-
dc.subject피드백 제공자-
dc.subject중학생-
dc.subject과학 성취도-
dc.title자기평가의 피드백 제공자 차이가 중학생의 과학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Feedback type in Self-assessment o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ttitude-
dc.format.pagex,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