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9 Download: 0

중학교 과학2의 「혼합물의 분리」 단원에 대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 개발

Title
중학교 과학2의 「혼합물의 분리」 단원에 대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 개발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on 'Separation of Compound' in Middle School Science
Authors
박혜진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Keywords
중학교 과학혼합물의 분리성취 기준평가 기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학교에서 선다형 평가 문항으로만 학생들을 평가하면서 학생들이 수동적이고 단편적으로 사고하게 만든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이런 문제점을 최소로 하기 위해 제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평가의 특징으로는 평가의 다양화를 들 수 있다. 또한 시·도 교육청에서는 지필 평가의 30% 이상을 수행 평가로 실시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수행 평가가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학교 수준의 구체적이고 상세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학교 수준의 객관적이고 타당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이 개발되어 있을 때, 그 기준을 토대로 하면 다양한 수행 평가 도구를 만드는데 활용할 수 있음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2의 '혼합물의 분리' 단원을 연구 영역으로 선정하여 학교 수준의 객관적이고 타당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이 기준을 토대로 한 수행평가 도구를 제시하였다.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의 개발에 앞서 선정된 단원에 대한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제7차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과 개정된 8종 과학 교과서의 분석을 통하여 '혼합물의 분리' 단원에서 12개의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한 후에는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학교 수준의 구체화된 성취 기준을 개발하였다. 성취 기준은 지식 영역, 탐구 영역, 태도 영역으로 나누어 개발하였고, '혼합물의 분리' 단원에서 총 32개를 개발하였다. 성취 기준을 개발한 후에는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실질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학교 수준의 상세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는데, '혼합물의 분리' 단원에서 총 32개를 개발하였다. 성취기준과 평가 기준을 토대로 많은 수행 평가 도구를 만들었지만 이 연구에서는 예시적으로 그 중 4개(서술형 2개, 포트폴리오 1개, 실험보고서 1개)를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학교 수준의 객관적이고 타당한 준거만 설정한다면 실질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수행 평가 도구를 계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This study concentrates to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for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s. It covers units of 'Separation of Compound' in middle school science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Characteristic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contents of six science textbooks used in middle school were carefully analyzed. The required learning elements for the units of 'Separation of Compound' were extracted. And then achieve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There had been developed 33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unit of 'Separation of Compound'. These can be used as actual guideline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in classroom. 2. Based upon achievement standards, the assess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32 items assessment standards in unit of 'Separation of Compound' were developed. It applied on three levels(high/middle/low) according to degree of students' achievement. These can be used as actual standards for assessment of individual student. 3. Developing appropriate assessment instruments which probe students' achievement level were followed after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A variety types of instruments for performance assessment were used rather than multiple choice type. The developed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s were as follows : 4 items(2 descriptive types, 1 portfolio, 1 lab report) in the unit of 'Separation of Compoun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f science teachers use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which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they can make a lot of various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s in the units of 'Separation of Compound' in middle school science. 2. If assessment instrument has been used, utility would decrease critically.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hat science teachers should exercise the series of process in order to develop various assessment instruments through changing contexts or situations. It would be expected to do an important role which insures propriety and varies assessment instruments in school by developed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instruments from this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