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영훤-
dc.creator최영훤-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3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0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8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09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실시되어 온 국민학교의 환경교육의 현황을 교과서 분석 및 교사와 아동의 의견을 종합 파악하여, 앞으로 국민학교 환경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의 구체적인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과서에 제시된 환경교육 내용을 무엇인가? 1) 환경교육 영역에 따른 교과별 단원 분포 2) 환경교육 영역에 따른 학년별 단원 분포 2. 학교 현장에서의 환경교육 실시 현황은 어떠한가? 1) 환경교육의 목적에 대한 교사의 이해정도 2) 현재 환경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의 이해정도 3) 환경교육을 접근하는 방법 4) 환경교육 실시 및 시행에 대한 교사의 의견 5) 환경문제에 관한 교사의 인식정도 6) 환경에 관한 아동의 이해도 현재의 실시 내용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88년도 현행 국민학교 전학년 전교과서를 환경교육 영역별로 분석하였으며, 또한 실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서울시 교육구별로 선정한명과 5학년 아동 194명에게 질문지를 사용하여 그 응답을 질문 내용별로 분석하였다. 각 자료의 처리는 교과서의 내용은 단원수(N)로 하였으며, 질문지의 응답자수는 백분을( % )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과서 분석 결과 환경교육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단원은 총 164개 단원이었다. 이것을 환경교육 영역별(환경의 개념, 환경문제, 환경보호)로 보면 환경의 개념(78개 단원)이 타영역보다 많았다. 환경교육의 내용을 비교적 많이 다루고 있는 교과목에는 사회과(35개 단원)와 자연과(31개 단원)이며, 학년별 분석 결과는 3, 4학년에서 78개 단원으로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다. 2. 교사와 아동을 통한 질문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은 국민학교에서 환경교육을 실시하는 목적은, 환경에 대한 지식 및 이해 (16.6%), 그리고 환경을 다루는 능력배양(11.9%), 보다는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71.6%) 2) 교사들은 교육내용으로는, 환경보호영역(56.6%)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내용면에서 환경문제 영역이 좀 더 많이 다루어 지길 요구하였다.(49.1%) 3) 교육방법면에서 교사들은 환경교육 수업시 단원내용을 시사적인 문제로 확산시키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54.0%), 활용하는 주 자료는 교과서와 교과서실험자료이었다. 또한 바람직한 교육과정 접근방법은, 전교과목에 관련 내용을 분산시키는 것이라고 하였다.(45.6%) 4) 실시 및 시행면에서, 교사들은 환경교육이 아주 필요하거나(56.9%), 필요하다(39.7%)고 하였다. 환경교육을 실시하기에 적절한 과목은 사회과(43.8%)나 자연과(27.5%)이며, 대상은 저학년(1, 2, 3학년-85.7%)에서부터 다루게 되기를 지적하였다. 그리고 환경교육 실시상의 큰 문제점으로는, 활용할 교육자료의 부족을 들었다.(62.5%) 5) 환경문제에 관한 교사의 인식정도는 다음과 같았다. 서울시 전체의 환경오염은 심각한데(95.4%), 그 중 대기오염이 가장 심각하다(58.1%)고 하였으며, 또한 교사들은 환경문제에 관한 지식이나 정보를 신문이나 방송등의 언론매체를 통해서 가장 많이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3.4%) 6) 환경에 관한 아동의 전체 이해도는 71.6%인데, 각 영역에 대한 이해도를 보면, 환경보호에 대해서는 81.8%, 환경의 개념은 72.2%, 환경문제에 대해서는 64.4%이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the environmen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extbooks and the opinions of teachers and children. The specific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current textbook? (1) the units of subjects in the area of environmental education. (2) the units of school year in the area of environmental education. 2. What is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1) the understanding of teacher in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2) the understanding of teacher in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3) the approach of environmental education. (4) the opinion of teachers in performing environmental education. (5) the recognition of teacher about the environmental problems (6) the recognition of children about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d the 1988 elementary school textbooks so as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ucation, and examined the responses in each content by using a questionaire in the 194 children of five school years and the 320 teachers in Seoul's elementary school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in unit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extbooks, the units containing the environment course are 164. When these units were analyzed in each area (concept, problem, and protection in the environment), the concept (78 unit.) is more than the others. And the social subject (35 unit.) and natural science (31 unit.) have mostly treated the environmental problem. Examing the each school year, the 3 and 4 school year (78 unit.) have had the most proportion. 2. The analysis-results of questionaire through the teacher and children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urpose of education is on the desirable attitude (71.6%) more than the ability of environmental treatment (11.9%) and the knowledge (16.6%) 2) The questionaire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56.6%) has been included in the contents.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required the course to treat the environmental problems more. 3) In the way of education, the current topics of environmental problems are more (54.0%) and the data were mainly in textbook. Also the teachers said that the desirable approach of environmental course is an appropriate distribution into the whole subjects. 4) In the performanc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was very needed (56.9%) or needed (39.7%). And the social subject (43.9%) and the natural science (27.5%) are regarded as the suitable subjects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e timing of education needs from the low school grade (85.7%). Moreover, one big problem of education is the lack of data (62.5%). 5) I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bout the environmental problem, the air pollution (58.1%) is considered as the most serious problem. And they have gained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problem through broadcast and newspaper. 6)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 about environment is 71.6%, and the understanding level of each content, the 81.8% of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72.2% of concept and the 64.4% of probl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문제 = 2 C. 연구의 제한점 = 3 D. 용어의 정의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환경교육의 특성 = 5 B. 환경교육의 목적 = 8 C. 환경교육의 내용 = 13 D. 환경교육 내용의 구성 = 19 E. 환경교육의 방법 = 22 Ⅲ. 연구의 방법 = 27 A. 교과서 분석 (내용분석) = 27 1. 분석기준 = 27 2. 분석방법 및 절차 = 27 B. 교사의 의견조사 = 28 1. 대상 = 28 2. 도구 = 29 3. 절차 및 자료분석 = 29 C. 아동의 이해도 조사 = 30 1. 대상 = 30 2. 도구 = 30 3. 절차 및 자료분석 = 31 Ⅳ. 결과분석 및 토의 = 32 A. 환경교육의 내용분석 = 32 B. 환경교육의 실시현황 분석 = 38 Ⅴ. 요약 및 결론 = 51 A. 요약 = 51 B. 결론 = 53 참고문헌 = 55 부록 = 58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686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국민학교-
dc.subject환경교육-
dc.subject현황-
dc.subject기초조사-
dc.title국민학교 환경교육 현황에 관한 기초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dc.format.page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초등교육분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