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7 Download: 0

한국어 교육에서의 설명적 텍스트 교수 방안

Title
한국어 교육에서의 설명적 텍스트 교수 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struction of Korean expository text through formal schemata activation
Authors
박수지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Keywords
한국어교육설명적 텍스트교수방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읽기는 텍스트의 수사 구조와 독자의 스키마가 상호 작용하면서 의미를 재구성해 나가는 과정이다. 그러므로 읽기 교육에 있어서 교사는 텍스트의 수사 구조 요인과 독자의 스키마 요인을 모두 고려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설명적 텍스트를 그 대상으로 한정하여 설명적 텍스트의 특성을 자세히 살피고, 스키마 요인 중에서 특히 설명적 텍스트의 이해에 효과적인 형식 스키마의 활성화 전략을 주된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형식 스키마의 활성화 전략을 통해 설명적 텍스트의 효과적인 교수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범위 및 연구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읽기 과정의 두 요인인 텍스트 요인과 독자의 스키마 요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설명적 텍스트의 수사 구조의 특성 및 형식 스키마의 기능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먼저 설명적 텍스트의 제시 비율과 설명적 텍스트의 네 가지 수사 구조가 골고루 제시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교재가 설명적 텍스트에 대해 어떠한 학습 활동들을 제시하고 있는지, 그리고 형식 스키마를 활성화하는 학습 전략들을 충분히 제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한국어 교재들은 설명적 텍스트 및 그 수사 구조를 다양하게 다루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설명적 텍스트에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학습 활동 및 전략들도 충분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분석을 바탕으로 형식 스키마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전략인 텍스트 구조 파악하기, 구조 표지어 찾기, 도해 조직자 구성하기, 요약하기 전략의 한계적 적용 방안을 먼저 모색하고, 이를 도입한 설명적 텍스트의 교수 모형을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요약·정리하였다. 한국어 교재는 앞으로 보다 더 다양한 텍스트의 유형을 다루되 특히 설명적 텍스트를 비중 있게 다루어야 하며, 또한 설명적 텍스트의 네 가지 수사구조를 골고루 제시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설명적 텍스트를 효과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는 다양한 학습 활동 및 형식 스키마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전략들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한국어 교사는 읽기 활동에 앞서 학습자들에게 설명적 텍스트의 수사 구조에 대한 명시적인 지도를 제공해야 할 것이며, 학습자들이 읽기 과정 중에 형식 스키마를 충분히 형성 및 활성화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Reading might be a reconstructed process of meaning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ext structure and the reader's schemata. Therefore these two factors of reading process should be considered in reading instruc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expository text, so rhetorical organization of expository text and formal schemata which affect reading are mainly stud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resent effective instruction method on expository text through activation of formal schemata. The first chapter is composed of necessity and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and to give precedent research and consideration. The second chapter investigates two factors of reading process, it especially focuses on rhetorical organization of expository text and formal schemata activation. The third chapter analyzes the reading texts in Korean textbooks. First, the proportion of expository text and its four rhetorical organizations are examined. In addition, it checks whether textbooks present proper activities and strategies that can activate formal schemata. As a result, expository text and its rhetorical organization are not fully presented and activities and strategies which affect reading are also not presented properly. The fourth chapter, on the basis of the third chapter, proposes gradual strategies that can activate formal schemata, such as understanding the 4 rhetorical organizations, checking structure markers, making graphic organizer and summarizing. For the last thing, the reading instruction model on expository text with these strategies is presented. The chapter Ⅴ makes a brief summary of research materials. In conclusion, Korean textbooks should present more various text types including expository text and its rhetorical organizations. In addition, diverse activities and strategies on expository text are also needed. Korean language teachers have to provide explicit instruction to students on rhetorical organizations and help them to form and activate formal schemata properly when they read expository tex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