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경숙-
dc.creator정경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2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7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8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723-
dc.description.abstractModern society requires that school music education provides experiences for the students to establish desirable musical growth through meaningful musical learning and guides the students in that way. That is, the subject of music is not only to teach how to sing but also to help the students to establish sincere, musical growth in themselves, as letting them acquire musical ability, develop musical mind or disposition, and experience musical arts through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singing and many kinds of diverse musical pieces. Instrumental music activity is considered to be a very important domain of activities in that it gives the students chances to have special experience through the performance of the melodies written for the harmony of diverse musical instruments, realize what is in themselves by expressing music by the musical instruments, form musical concepts through the experience of melodies and improve the techniques of the performance of musical instruments. In that point of view, the present study intended to provide with basic data in order to search for a new direction for the selection of the instructive contents of the Junior High School's learning of instrumental music, and for the organizing of musical activities by analytically studying of the contents of instrumental music which are included in the school's first grade musical textbooks (5 kinds of musical textbooks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for the next musical textbooks to suggest, balanced expressive activities. In the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learning of instrumental music has been clarified through relevant documents and also, the process of musical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ion of instrumental music have been studied on. Also, comparative analysis has been done with regard to any importance of instrumental music being treated in a domain of the learning of expression, the learning objectives of the main melodies of instrumental music and those of performance, kinds of musical instruments used for the main melodies of instrumental music, techniques of the musical instruments suggested in each textbook respectively, etc. Summarized results from this analytic study are as follows: 1. The percentage occupied by instrumental music in all the main melodies for the learning of expression is very low as 19.51%. 2. With regard to all the three things, i. e., components, principles of expression, and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functions of instrumental music, the percentage occupied by the main melodies which suggested a learning objective was only 45.83%, and the main melodies in which no instrumental activities, the main activities in instrumental music, were treated appeared as 25.00% of the total main melodies 3. In the forms of instrumental melodies, diverse forms of them are not suggested, compared to that in singing activities. 4. The number of the kinds of musical instruments used in the instrumental text-melodies number are 21 kinds of instruments and are focussed on Western instruments. 5. The techniques suggested in each music textbook are not well treated in relation to the musical instruments used in instrumental music.;현대 사회는 학교의 음악 교육이 모든 학생들로 하여금 의미있는 음악적 배움을 통해 바람직한 음악적 성장을 이루도록 경험을 제공하고 안내하기를 요구한다. 즉, 음악 교과는 노래만을 가르치는 교과가 아니라 학생들로 하여금 노래 부르기를 포함한 다양한 활동과 여러가지 악곡들로 음악 예술을 체험하게 하며 그러한 체험을 동하여 음악적인 능력을 습득하고, 음악적인 심성을 개발하게 함으로써 충실한 음악적 성장을 이루도록 도와주는 교과이다. 기악 학습 활동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악기들의 조화를 위해 쓰여진 악곡의 연주를 통하여 특별한 경험을 하도록 기회를 제공하며, 학생들이 악기로 음악을 표현함으로써 자신을 구현하고, 악곡의 체험을 통해 음악적 개념을 형성하며, 악기 연주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기회를 갖는다는 점에서 학교 음악 학습의 중요한 활동 영역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제5차 교육 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음악 교과서(문교부 검인정, 5종)에 수록된 기악 학습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중학교의 기악 학습의 지도 내용 선정과 활동의 조직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동시에, 차기 교과서가 균형있는 표현 활동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관련 문헌을 통해 기악 학습의 의의를 밝히고, 음악 교육 과정과 기악 지도의 성격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표현 학습 영역에서 다루고 있는 기악곡의 비중과 기악 제재곡의 형태 및 연주 형태, 기악 제재곡에 쓰인 악기의 종류, 교과서별로 제시된 악기의 연주법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표현학습을 위한 전체 제재곡의 수에 대한 기악곡의 비율은 19.51%로 매우 낮다. 2. 전체 기악곡에서 구성요소, 표현의 원리, 연주 기능 향상의 3가지 모두에 관련하여 학습 목표를 제시하고 있는 제재곡의 비율이 45.83%에 불과하며, 기악곡의 학습활동에서는 주 활동인 기악활동을 다루고 있지 않은 제재곡이 전체 제재곡의 25.00%로 나타났다. 3. 기악곡의 형태에서 가창 활동에 비해 기악 활동에 대한 다양한 형태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4. 기악 교재곡에 사용된 악기의 종류는 21종에 해당하며, 서양 악기에 치중되어 있다. 5. 각 교과서에 제시된 악기의 연주법이 기악곡에 사용된 악기와 관련하여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4 C. 연구의 범위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기악 학습의 의의 = 6 B. 음악과 교육과정과 기악지도의 성격 = 8 1. 교육 과정의 음악과 목표와 지도 내용 = 8 2. 음악과 교육 과정에 제시된 표현 학습 영역의 목표 및 내용 = 13 3. 교육 과정이 요구하는 기악 학습 = 18 Ⅲ. 기악 교재곡 분석 = 23 A. 표현 학습에서의 기악곡의 비중 = 23 1. 표현 학습의 전체 제재곡과 기악곡 = 23 2. 순수 기악곡과 가창을 겸한 기악곡 = 24 3. 외국 기악곡과 한국 기악곡 = 25 B. 기악곡의 학습목표와 학습활동 = 27 1. 학습 목표 = 35 2. 학습 활동 = 36 C. 기악곡의 형태 및 연주 형태 = 38 1. 기악곡의 형태 = 38 2. 기악 제재곡별 악곡의 형태와 연주 형태 = 40 D. 기악곡에 사용된 악기의 종류 = 44 1. 서양 악기와 국악기 = 45 2. 가락 악기와 리듬 악기 = 46 E. 교과서에 수록된 악기의 연주법 = 47 Ⅳ. 결론 및 제언 = 50 참고문헌 = 54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400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음악 교과서-
dc.subject기악 학습-
dc.subjectInstrumental Music Learning-
dc.title중학교 음악 교과서(5종)의 기악 학습 내용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Instrumental Music Learning in five Junior High School Music Textbooks-
dc.format.pagevii,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