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경순-
dc.creator이경순-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1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9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8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992-
dc.description.abstract타인과 관계를 유지하면서 의사결정을 하는 능력과 ‘왜’, ‘어떻게’ 등의 고차원적인 질문이 포함된 의사소통 능력에는 문제해결 요소를 갖춘 언어 사용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문제해결력에는 고차원적인 사고기능과 언어적인 능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의사소통 기술과 문제해결력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의사소통 능력과 연관된 문제해결력을 언어적 문제해결력이라 하는데, 이것은 매일의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구체적인 사건(상황)에 대해 생각하고 추론하는 기술이며 논리적인 생각을 언어로 표현하는 능력을 말한다. 그러나 장애 아동은 타인과의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뿐만 아니라 언어적 문제해결력 또한 문제를 가지고 있어 이로 인해 생활 주변에서 발생하는 문제 상황에 대처하고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기술에서의 결함을 보인다. 그리고 이들은 수업에 대한 동기 부족으로 수동적 학습자가 되어 소극적인 수업 태도를 보이며, 이에 따라 매우 낮은 학업 성취 수준을 나타낸다. 이는 장애 아동들의 언어적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고, 이들이 흥미를 가지고 능동적, 적극적인 학습자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미래 삶을 준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방법과 아울러 특수교사들이 이러한 교수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교수적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한다. PBL은 실생활 중심의 소집단별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1)문제해결력, (2)의사소통 기술, (3)사고 기술, (4)협력적 기술, (5)동기유발, (6)생애 학습 기술이 향상된다. PBL 수업에서 교사는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과정을 지원하는 촉진자이며, 수업 설계자 역할을 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PBL은 고수준의 학력을 가진 학생뿐만 아니라 성취수준이 낮은 장애 아동들에게도 적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 국내ㆍ외적으로 초등부 장애 아동에게 적용한 PBL 연구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 아동의 학습 특성과 수준을 고려한 PBL을 국어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특수학급 교사들에게 현장방문 및 인터넷을 통한 교수적 지원을 하여 장애 아동의 언어적 문제해결력과 수업참여행동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시내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입급된 장애 아동 50명과 교사 12명(12개 학급)으로, 이 중 참여 아동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각 25명씩 배치되었고, 중재자인 교사 또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6명씩(6개 학급) 각각 배치되었다. 실험집단에는 PBL이 적용된 교수적 지원을 통한 중재가 실시되었고, 비교집단에는 실험집단과 동일한 수업 주제가 제공되나, 본 연구자에 의한 교수적 지원 없이 전통적인 수업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실험은 약 4개월 간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특수학급 교사들의 PBL 적용을 위한 교수적 지원이 장애 아동의 언어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종속변인 측정도구로 ‘언어 문제해결력 검사(배소영, 임선숙, 이지희, 2000)’ 도구를 사용하였다. 장애 아동의 수업참여행동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사전ㆍ사후 국어 수업시간 3차시(각 40분)를 비디오 촬영한 후, 녹화된 비디오 자료를 보고 차시별 25분씩 각 아동별로 분석하였다. 결과의 검정을 위하여 실험집단의 사전ㆍ사후 점수와 비교집단의 사전ㆍ사후 점수에 대해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교사들의 PBL 적용을 위한 교수적 지원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언어적 문제해결력 점수의 변화 정도는 비교집단의 언어적 문제해결력 점수의 변화 정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들의 PBL 적용을 위한 교수적 지원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수업참여행동의 변화 정도는 비교집단의 수업참여행동의 변화 정도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특수학급 교사들의 PBL 적용을 위한 교수적 지원이 초등학교 장애 아동의 언어적 문제해결력과 수업참여행동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PBL의 이론을 초등학교 특수학급 장애 아동에 맞게 개발ㆍ적용하여 그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특수학급 교사들의 PBL 적용을 위한 교수적 지원 방법과 절차가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교수적 지원 모델로써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 점이 매우 중요한 의미로 볼 수 있다.;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the problems not only in the basic communication abilities with others but in the verbal problem-solving skills, so they have the defects in coping with the problematic situations of everyday lives and having social skills with others. In addition, they're short of motive in learning, so they become passive learners and have negative attitudes in learning with very lower achievement level. It needs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improve the verbal problem-solving skills and participate in learning as the positive & active learners. It also needs to provide supports for special teachers to use such teaching methods. PBL is the teaching method of the learner-based to solve the problems through small group cooperation in real situations. In previous studies, this method was verified to improve (1)problem-solving skills (2)communication skills (3)thinking skills, (4) cooperating skills, (5)motivation and (6)lifelong learning skills of students. In PBL, teachers perform as facilitators who support the learning process of students and as lesson designers rather than the provider of knowledge.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PBL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students with high academic skills but also to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have low academic skills. There's few studies to examine the effects of PBL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crease the verbal problem-solving skills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pplied PBL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Korean language class with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for special teacher. The 50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12 of teachers participated: the children were included in special classes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the teachers were charge in same classes.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and the comparative. Each group had 25 children. The teachers were divided into the same two groups as well, and each group had six.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intervention was performed through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which PBL was applied.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topics were same with the experimental group's topic but the teaching method was different from the experimental group's methods, which was traditional without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by the researcher. The experiment was continued during 4 months. To prove the effects of the program,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two group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in verbal problem-solving skills. That is, verbal problem-solving skills in PBL program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comparative group. Seco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in PBL program group were improved significantly more than those in comparative group. From the results above,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for PBL implementation to the special class teachers was verifi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verbal problem solving skills and the changes of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can strengthen the theory of PBL by proving its effects through developing and applying PBL to the special class of the elementary school. Furthermore, It has value that this study provided instructional support methods and procedures of PBL as the model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s for teachers in special cla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7 C. 용어의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10 A. 언어적 문제해결력과 수업참여행동에 관한 고찰 = 10 1. 문제해결력 = 10 2. 언어적 문제해결력의 특성 = 12 3. 장애 아동의 수업참여행동 = 18 B. 특수교육에서의 교수적 지원 모델 = 20 1. 교수적 지원의 개념 = 20 2.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 = 22 C. 문제중심학습의 이해 = 24 1. PBL의 개관 = 24 2. PBL의 교수-학습 과정 = 31 3. PBL 관련 선행 연구 고찰 = 34 Ⅲ. 연구 방법 = 40 A. 연구 참여자 = 40 B. 실험 장소 = 42 C. 실험 기간 = 42 D. 독립변인 = 43 1. PBL 적용을 위한 교수적 지원 내용 및 절차 = 43 2. PBL 문제 및 그림 자료의 개발 = 46 3. PBL 수업과정 및 교수-학습 = 53 E. 종속변인 측정 도구 = 63 1. 언어적 문제해결력 검사 = 63 2. 수업참여행동 검사 = 64 F. 실험 설계 및 절차 = 66 1. 실험 설계 = 66 2. 실험 절차 = 66 G. 자료 처리 방법 = 69 1. 자료 처리 = 69 2. 연구 문제 1에 대한 채점자 간 신뢰도 = 69 3. 연구 문제 2에 대한 관찰자 간 신뢰도 = 71 Ⅳ. 연구 결과 = 72 A. PBL 교수적 지원이 장애 아동의 언어적 문제해결력에 미친 영향 = 72 B. PBL 교수적 지원이 장애 아동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친 영향 = 73 Ⅴ. 논의 및 제언 = 75 A. 논의 = 75 1. PBL 교수적 지원이 장애 아동의 언어적 문제해결력에 미친 영향에 관한 논의 = 75 2. PBL 교수적 지원이 장애 아동의 수업참여행동의 변화에 대한 논의 = 78 B. 연구의 제한점 = 84 C. 제언 = 85 참고문헌 = 88 부록 = 106 Abstract = 1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961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71-
dc.title특수학급 교사들의 PBL(문제중심학습) 적용을 위한 교수적 지원이 장애 아동의 언어적 문제해결력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for Implement of Special Teachers' Problem-Based Learning on Verbal Problem-Solving Skills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dc.creator.othernameLee, Kyoung Soon-
dc.format.pageⅷ, 14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