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9 Download: 0

고등학생들과 과학교사들의 과학-기술-사회(STS)에 대한 인식 조사

Title
고등학생들과 과학교사들의 과학-기술-사회(STS)에 대한 인식 조사
Authors
조선향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Keywords
고등학생과학교사과학기술사회ST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Up to now, science and technology have rapidly advanced. They are closely related with society. Various modern social problems are also related with science and technology. Thorough understanding about Science-Technology-Society(STS) interactions is required to take informed action about how to deal effectively with these problems. In this case, there is a need for STS education. STS education is a science education that deals with Science-Technology-Society interactions, and it affects worldwide science education. In Korea, "General Science" study courses have just recently been introduced. "General Science" has the STS-oriented educational goals, and is trying to introduce STS education into Korean traditional science education. My research was to understand perceptions of high-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about Science-Technology-Society interactions and differences of their perceptions. It is my hope that this thesis will contribute to future General Science" class in Korea. I obtained the data by a survey of 414 high school students who took "General Science" courses in Seoul and 54 of their science teachers. The survey was made using 10 multiple-choice items selected from the VOSTS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item p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and teachers thought that science is exploring the unknown and discovering new things. Their perceptions about the science are somewhat stable, but about the technology various. 2. Most students and teachers thought that science and technology interact and complement each other. They also thought that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needs investments in both science and technology 3 . Most students and teachers thought social facts as community, government, and politics influenced scientists and scientific research. They also had a good understanding about the effects of science and technology on society. We can conclude from this that they had a Science-Technology-Society oriented viewpoint. 4.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s of boys and girls in following categories (p<.05): ㆍInfluence of Community or Government Agencies on Scientists ㆍInfluence of Politics on Scientists ㆍRole of Science/Technology in Resolving Social Problems 5.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teachers in following categories (p<.05) : ㆍDefinition of Science ㆍInfluence of Politics on Scientists;오늘날 과학과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현대의 다양한 사회문제들은 과학 및 기술과 관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올바른 의사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사회(Science-Technology-Society, STS)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충분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STS 교육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STS 교육은 한마디로 과학-기술-사회간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과학 학습이라고 할 수 있으며, 현재 전 세계 과학교육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제6차 교육과정에서 「공통과학」과목이 신설되었다. 「공통과학」은 여러 목표 중에서 STS적인 교육목표를 가지며,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과학 교육 현장에 STS 교육을 도입하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통과학」을 배운 고등학생들과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이 STS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앞으로의 「공통과학」수업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서울 특별시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14명과 고등학교 과학교사 54명이 무선표집 되었다. 그리고 Aikenhead 등(1989)이 개발한 VOSTS(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에서 10문항을 추출하여 검사 도구를 만들었고, 설문 조사는 1997년 2월 12일 - 18일 사이에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과학을 한두마디의 말로 정의하는 것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절반 이상의 학생들과 교사들이 과학은 알려지지 않은 사실을 탐구하는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의 정의에 대한 인식이 어느 정도 고정되어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데, 이와 달리 기술의 정의에 대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인식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2. 대다수의 학생들과 교사들은 과학과 기술이 상보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과학연구와 기술연구 둘 다에 투자해야 한다고 하였다. 3. 학생들과 교사들 대부분은 지역사회나 정부, 정책, 문화 등의 사회적 요소들이 과학자나 과학 연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과학과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잘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많은 학생들과 교사들이 과학과 기술이 사회와 분리된 것이 아니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 한다는 STS적인 견해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4. 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들은 '지역사회나 정부가 과학연구 문제 선택에 미치는 영향', '정책이 과학자에 미치는 영향', '과학, 기술과 사회문제'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5.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과 과학교사들은 '과학의 정의', '정책이 과학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찬 인식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p<.05).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