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은주-
dc.creator홍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7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8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7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84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기존 인력규모연구에서 파악하지 않았던 “감춰진 인력(shadow workforce)”을 포함하여 공공부문의 인력규모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Light의 정부인력 규모에서 제시한 “감춰진 인력(shadow workforce)”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한국정부에서의 감춰진 인력(shadow workforce)을 제시하고 그 규모를 추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무원의 범위를 확대하여 감춰진 인력인 공공기관의 종사자 및 공공부문 비정규직 직원의 수를 포함했을 시의 인력과 포함시키지 않았을 때의 정부인력을 비교해 보았다. 인구 천 명당 정부부문인력을 비교하면, 감춰진 인력을 포함시키지 않으면 19.8명이고, 포함시키면 상한값 36.3명 하한값 26.6명의 평균값인 31명으로 11명의 차이가 확인된다. 둘째, 역대 정권 중 공공부문의 개혁을 가장 크게 단행했던 김대중 정부와 큰 정부의 실체로 대표되는 노무현정부의 공공부문 인력을 비교해 보았다. 김대중 정부는 인구 천 명당 36명, 노무현 정부는 인구 천 명당 38명으로 약 2명의 차이가 있는데 환산해보면, 약 10만 명 정도이다. 이러한 결과는 노무현 정부 때 인력증원이 있었던 것은 분명하나 공무원 수는 과거 정부에서 매년 평균적으로 2.5%씩(약 5만 명) 증가하였던 시계열적 추세를 반영하고 이에 감춰진 인력의 증원 등을 고려한다면, 구조조정을 단행하여 규모를 축소한 김대중 정부와 공무원 인력증원을 많이 한 노무현 정부의 인력규모는 그렇게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셋째, OECD국가들과 한국 공공부문 인력을 비교해 보았다. OECD국가들의 인구 1,000명당 일반정부(general government) 종사자 수는 평균 82.89명이며, 비OECD국가들의 인구 1,000명당 일반정부 종사자 수는 평균 75.58명이다. 따라서 OECD국가들이건 비OECD국가들이건 우리나라의 공무원 규모(29.0)에 비해 훨씬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OECD 국가들에 비해 2.8배 작은 규모로 한국 공공부문 인력은 OECD국가들에 비해 약 1/3 수준이다. 이 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기존 연구에서는 공무원 정원, 공공기관의 정원의 개념으로 파악하여 실제 공공서비스를 담당하는 현원의 개념을 파악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규모가 축소되었고, 실제 공공부문의 인력은 왜곡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감춰진 인력을 파악하여 실제 공공부문의 인력규모에 대해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둘째, 실제 공공부문의 인력을 분석 한 결과, 김대중 정부의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공공부문 개혁을 시행하였는데, 공무원의 정원만 줄였을 뿐 실제 감춰진 인력은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공공부문 규모는 감축된 것이 아니라, 증가한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의 공무원 규모 예측에 대하여 다양한 의의 및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우리나라의 공공부문인력의 분석결과는 OECD국가 등에 비하여 크게 작지만, 일본에 비해서는 비슷한 수준이거나 약간 크게 나타났다. 분야별로도 살펴보면 보건 복지 분야의 경우 다른 분야에 비해 그 규모가 매우 작으므로 앞으로 증원되어야 할 필요성이 높은 분야로 예측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ize of workforce including shadow workforce which previous studies on the size of workforce had failed to examine and public sector. In order to pursue the study, "shadow workforce" in Korean government was suggested and estimated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shadow workforce" suggested by Light in his research on the size of the federal workforce and the size was estim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 the following. Firstly, the differences with the government workforce were compared and examined under the two conditions: one is the condition that the number of regular and contingent workers in public agencies was not included in shadow workforce by extending the range of civil service and another was the condition that the number of regular and contingent workers in public agencies was excluded in shadow workforce. In the comparison with government sector workforce per one thousand people, 19.8 people were observed when shadow workforce was included and the maximum value of 36.3 people and the minimum value of 26.6 people were shown when shadow workforce was excluded and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eople was 11 while the mean value was 31 people. Secondly, the differences with the public sector workforce between the Kim Dae-Jung government which had pushed for the largest public sector reform in previous governments and the Roh Moo-Hyun government, an exemplary model of big government, were compared. 36 per one thousand people in the Kim Dae-Jung government and 38 in the Roh Moo-Hyun were observed and the different number was 100 thousand people by converting to actual numbers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obvious that the number of the government workers in the Roh Moo-Hyun government increased, ye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ize of workforce between the Kim Dae-Jung government which had downsized government employees by pushing for reconstruction and the Roh Moo-Hyun government which had increased the number of government employees if the trend of increasing 2.5% of civil services (approximately 50 thousand) annually and increasing shadow workforce were considered. Lastly, public sector workforce in Korea was compared with OECD countries. The mean number of general government employees per one thousand people was 82.89 in OECD countries and 75.58 in non-OECD countries. Therefore, the size of government employees regardless of OECD countries or non-OECD countries was much larger than Korea (29.0). In fact, the size of government employees in Korea is 2.8 times smaller than OECD countries and the size of public sector workforce in Korea was 1/3 of OECD countries. Based o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ly, in previous studies, the size of workforce was diminished and the actual public sector workforce was twisted because previous studies limited the concept within the regular personnel of civil service and institution and failed to understand the present employees in charge of public service.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public sector workforce, the Kim Dae-Jung government pushed for public sector reform by decreasing the number of the regular personnel, yet it actually increased shadow workforce. Overall, the size of public sector increased rather then decreased. Lastly, this study will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and suggestions to estimate the size of public service personnel. Although the public work force in Korea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OECD countries by the results of analyzing public section workforce, the public work force in Korea was similar or slightly higher than in Japan. Considering the size of each field, the size of the field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is smaller than other fields; therefore, the field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is predicted to need to increase the siz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 1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 1 제 2 절 연구내용 및 연구범위 = 3 1. 연구내용 = 3 2. 연구범위 = 4 제 3 절 연구방법 및 자료수집 = 4 1. 연구방법 = 4 2. 자료수집 = 5 제 2 장 이론적 배경 = 6 제 1 절 정부규모에 관한 이론적 논의 = 6 제 2 절 선행연구 검토 = 7 1. 미국 Light의 정부 인력규모연구 = 7 2. 한국 정부규모에 관한 선행연구 = 12 3. 한국 정부 인력규모에 관한 연구 = 15 4. 소결 = 20 제 3 절 정부부문 및 공공부문의 정의와 측정방법 = 21 1. 국제통계상의 정부부문 및 공공부문 정의 = 21 2. 한국 정부부문 및 공공부문에 범위에 관한 연구 = 27 3. 소결 = 32 제 3 장 연구설계 = 34 제 1 절 공공부문 범위 = 34 제 2 절 공공부문 규모 측정 방법 = 36 제 3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 38 1. 정부 인력 = 38 2. 감춰진 인력(shadow workforce) = 38 제 4 절 비교분석틀 = 41 1. 한국 공공부문 인력 비교분석틀 = 41 2. 국제비교 분석틀 = 43 제 4 장 우리나라의 정부부문 인력규모 분석 = 44 제 1 절 한국정부의 행정개혁 = 44 제 2 절 공식적인 공무원 규모 = 47 제 3 절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의 공무원 규모 변화 = 48 1. 김대중 정부의 공무원 정원 = 48 2. 노무현 정부의 공무원 정원 = 49 3.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정부의 공무원 정원변화 비교분석 = 51 제 5 장 감춰진 인력(shadow workforce) 추정 = 57 제 1 절 공공기관 종사자 규모 = 57 제 2 절 군인규모 추정 = 59 제 3 절 공공부문 비정규직 규모 = 60 1. 전체 산업에서의 비정규직 규모 = 60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를 통한 비정규직 규모 추정 = 65 3. 노동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규모 = 70 4. 정부의 세출예산에서 인건비지출내역으로 비정규직 추정 = 72 제 4 절 감춰진 인력(shadow workforce)의 전체 규모 추정 = 85 제 6 장 공공부문의 인력규모 비교분석 = 88 제 1 절 한국의 공공부문 인력규모 비교분석 = 88 1. 정부부문인력 비교분석 = 88 2. 공공부문 인력비교분석 = 91 3. 정권별 인력규모 비교분석 = 93 제 2 절 다른 나라와 공공부문 인력 비교 분석 = 95 제 7 장 결론 = 99 제 1 절 연구의 결과 = 99 제 2 절 연구의 의의 = 100 제 3 절 연구의 한계 = 101 참고문헌 = 103 부록1. 2007년 지정된 공공기관 현황 = 108 부록2. 산업별 비정규직 분포 현황 (2000년~2005년) = 112 부록3. 지방자치단체 2006년도 비정규직 현황 = 113 Abstract =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83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51-
dc.title한국 공공부문 인력규모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true size of the public sector in Korea : including on the shadow workforce-
dc.creator.othernameHong, Eun Ju-
dc.format.pageⅸ, 11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