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화연-
dc.creator이화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1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7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10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제 1소구치가 발거된 인공 하악 치열 모형에서 루프를 이용한 6전치(En-masse)견인 법으로 발치 공간 폐쇄 시 호선의 굵기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을 Calorific Machine^(ⓡ)(Korea Patent Number;178105 Ewha womans Univ., Seoul, Korea)과 치아 모형의 3차원적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Rapidform 2004™(INUS Technology, Seoul, Korea)를 이용하여 비교 평가함으로써 양악 치조성 전돌 환자에서 하악 전치부의 효과적인 치축 조절과 최대의 후방 견인 및 구치부의 최소의 전방 이동에 어느 호선이 더 적합한지를 입체적으로 확인해보는 데 있다. 실험 방법은 양악 치조성 전돌 환자와 같이 치아 밀집이 없는 하악 치열을 재현하여 인공 치조골부에 인공 치아를 식립한 후 제 1소구치를 발거하였다. .016〃×.016〃Stainless Steel wire(이하 016×016 SS라 함), .016〃×.022〃SS, .017〃×.025〃SS 각형 호선에 견치 1mm 후방 부위에 bull loop를 제작한 후 gable bend는 15°씩 부여했다. 각 호선을 넣고 전치부터 견치까지 한꺼번에 후방 견인을 시행하고 이 실험 과정을 각 군마다 5회씩 반복하여 시행했다. 발치 공간이 폐쇄된 후 Rapidform 2004™을 이용하여 실험 전후의 치아 이동 양상을 계측 비교하였고 일요인 분산 분석 모형(one-way ANOVA)으로 통계분석한 뒤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호선의 굵기가 증가할수록 전치부의 후방 이동양이 증가하였고, 조절성 경사 이동이 일어났다(p<0.05). 호선의 굵기가 증가할수록 구치부의 전방 이동양은 감소하였다(p<0.05). 호선의 굵기가 증가할수록 전치부와 구치부의 정출량은 감소하였다(p<0.05). 발치공간 폐쇄시 구치부의 설측 경사에 의해 악궁의 폭경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하악 제1소구치 발치공간 폐쇄시, 치아의 전후방 및 수직적 이동뿐만 아니라 구치부의 협설측 이동과 회전 이동도 일어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ropriate size of wire to produce maximum retraction of the anterior teeth and minimum anchor loss of the posterior teeth during En-masse space closure in the mandibular dentition. The Calorific machine^(ⓡ) and the Rapidform 2004™ were used to illustrate tooth movement in three dimensions. The experimantal teeth except the first premolar were embedded in the artificial alveolar bone part without crowding. In a series of experiment, the extraction space was closed using 3 arch wires with bull loops. 3 arch wires into which the gable bend of 15° degrees was incorporated were 016×016 SS, 016×022 SS and 017×025 SS wire. The experiments repeated five times for each wire. The statistical analysis(one-way ANOVA) was performed for the evaluation of the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s the wire size was increased, the distance of retraction was increased and more controlled anterior teeth movement was shown. 2. As the wire size was increased, the amount of posterior teeth protraction was decreased. 3. As the wire size was increased, the amount of posterior teeth movement was decreased. 4. Intermolar width was decreased after En-masse space closu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not only the anteroposterior movement and vertical change of lower teeth but also the buccolingual and rotational movement of posterior teeth occur during En-masse space closure in the mandibular denti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실험재료 및 방법 = 4 A. 실험재료 = 4 1. 실험용 치아 = 5 2. 인공 치조골부 = 5 3. 기준 표지점의 식립과 금속구의 부착 = 5 4. 교정용 호선 = 6 B. 실험방법 = 6 1. 초기 모형의 제작 = 6 2. 발치공간의 폐쇄 = 6 3. CT촬영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 7 4. 실험용 치아 이동양상 분석방법 = 8 Ⅲ. 실험결과 = 9 Ⅳ. 고찰 = 18 Ⅴ. 결론 = 22 참고문헌 = 23 ABSTRACT = 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80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subject.ddc617-
dc.title하악 제1소구치 발치공간 폐쇄시 호선 굵기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tooth movements by the wire size during En-masse space closure in the mandibular dentition-
dc.creator.othernameLee, Hwa Yeon-
dc.format.pageⅴ, 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