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향미-
dc.creator김향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0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7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038-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교정치료를 받지 않은 정상교합을 가진 남녀 아동 61명의 5년간의 누적 표본을 통해 6-7, 7-8, 8-9, 9-10, 10-11세 단위로 성장량을 계측하여 1) 각 연도별로 안정골 구조물 중첩법(stable bone structural superimposition method)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최적 중첩법(sella-nasion line superimposition method) 간에 차이가 있는지, 2) 각 중첩방법에서 nasion에 대한 ANS (anterior nasal spine), A 점의 성장량이 통계학적으로 연관성이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세대학교 악안면 기형연구소에서 이화여자대학교 부속 초등학교학생들을 대상으로 1979년부터 1985년 사이에 매년 채득한 성장기 61명(여32,남29) 환자의 측방 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표본으로 하였다. 각 표본은 정상교합을 가졌으며, 두개저와 상악골이 비교적 뚜렷이 보이는 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선정기준으로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두 가지 중첩방법의 차이 및 세 점(nasion, ANS, A점)간의 연관성에 대해 각 6-7, 7-8, 8-9, 9-10, 10-11세 단위로 성장량을 계측하여 비교하였다. 측모 두부규격 방사선 사진은 동일인에 의해 투사도가 작성되었으며 계측점 설정 시 오차를 줄이기 위해 누년 연속된 사진을 비교하여 보완하였고 좌우점이 일치되지 않을 때 중앙점으로 하였다. 초기 계측점 설정 및 투사도 작성 한 달 이후 계측점을 다시 확인하여 수정하였다. 수작업으로 아날로그 방사선 사진을 투사(tracing)한 후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의 투사도들을 EPSON^(ⓡ)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하였다. 스캔한 투사도는 Adobe Photoshop^(ⓡ)을 사용하여 안정골 구조물 중첩법과 최적 중첩법으로 중첩하였다. 계측은 Auto CAD^(ⓡ)(CAD software, Autodesk co., USA)를 사용하여 기준선에 대한 nasion, ANS, A 점의 각각의 수평(X), 수직(Y) 변이량을 측정하였다. 통계 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를 통해 두 가지 중첩방법을 비교하였다. 또한 nasion에 대한 ANS, A점의 성장량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들의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안정골 구조물 중첩법과 최적 중첩으로 비교하였을 때 여자 만 8-9세 이후부터 ANS, A점의 수평축과 nasion 수직 축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남자는 만 9-10세 nasion 수직 축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두 중첩 방법 내에서 각각 세 점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nasion에 대해 ANS, A 점은 남녀가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으며 ANS, A 점은 남녀 모두 유의하게 연관성이 있다고 나타났다. 즉, nasion에 대해 ANS와 A 점이 통계학적으로 상관성있게 성장한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반면 ANS, A 점은 통계학적으로 상관성있게 성장한다고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는 성장이나 치료로 인한 변화를 평가할 때 만 8세 이후 성장량이 증가하는 후기 혼합 치열기부터는 두 중첩 방법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장기 아동에 있어서는 최적 중첩법보다는 안정골 구조물 중첩법을 사용하며 , 두 방법간의 차이를 숙지하고 성장이나 치료의 결과를 평가하여야 할 것이다.;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1)the effects of two superimposition methods which are stable bone structural and sella-nasion line superimposition method on the interpretation of maxillary growth changes and 2)the correlation of among nasion, ANS(anterior nasal spine) and A in the non-treated children. The material consisted of standardized lateral cephalometric films of nontreated subjects (32 girls, 29 boys) from a previously collected sample of a longitudinal study obtained from 6 to 11 years by an annual check. The annual displacement of nasion, ANS, A during 6-7, 7-8, 8-9, 9-10, 10-11 years was measured according to each method.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reference landmarks for each superimposition method, and correlation analysis of among nasion, ANS and A was evaluated als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landmarks which were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ANS, A and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nasion of girls between 8 and 11 years and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nasion of boys between 9-10 years . In the comparison of two methods ,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arly mixed dentition (6-8years). However, in the sella-nasion line superimposition method , a more forward displacement of the facial structures(ANS, A) should be expected when compared with the stable bone structural method in the late mixed dentition(8-11years). In addition, in the stable bone structural method , a more downward displacement of nasion should be expected when compared with the sella-nasion line superimposition method. 2. It was difficult to see that na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between landmarks ANS and A. but AN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 in girls and boys at most ages. Thes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differences regarding the superimposition method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evaluation of the changes due to growth or treat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연구재료 및 방법 = 3 A. 연구재료 = 3 B. 연구방법 = 4 1. 두부방사선 투사도의 작도 = 4 2. 측모 두부규격 방사선사진의 중첩방법 = 5 가. 최적 중첩법 = 5 나. 안정골 구조물 중첩법 = 6 3. 디지탈화 및 계측 = 7 4. 통계 분석 = 8 Ⅲ. 연구결과 = 9 A. 안정골 구조물 중첩법과 최적 중첩법의 비교 = 9 B. 두 중첩법에 대한 세 점의 연관성 분석 = 14 Ⅳ. 고찰 = 18 Ⅴ. 결론 = 22 참고문헌 = 24 ABSTRACT = 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78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subject.ddc617-
dc.title두 가지 중첩방법을 이용한 정상교합 아동에서의 상악 성장 양상의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of two cephalometric superimposition method of maxillary growth in non-treated children-
dc.creator.othernameKim, Hyang Mi-
dc.format.pagev, 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