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혜연-
dc.creator유혜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5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1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7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124-
dc.description.abstract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은 유치의 우식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중요한 수복재로 치아의 보호와 기능 회복에 매우 효과적이지만 심미성이 낮아 유전치 수복시 문제가 된다.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의 순면에 미리 콤포짓트 레진을 접착시켜 사용할 경우 기존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심미성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레진 비니어 스테인리스 스틸 크라운에서는 금속과 레진 사이의 결합 강도가 치료 성공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레진 비니어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에서 크라운과 콤포짓트 레진의 결합력이 낮을 경우 비니어가 파절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크라운을 교체해야 한다. 그러나 크라운 전체를 교체하는 작업은 많은 문제가 따른다. 크라운 교체에 따른 부가적인 시간과 비용, 또 다시 실패할 가능성, 환아의 협조능력 등에 따라 교체가 어려워질 수 있는데, 크라운 교체 없이 이루어지는 효과적인 수리 방법이 있다면 시술과정이 훨씬 단순해질 것이다. 임상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접착 시스템은 기공과정에서 레진 비니어를 만들 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크라운을 치아에 접착한 후 레진 비니어가 파절되거나 탈락되었을 때 수리 과정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샌드블라스팅한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 표면에 콤포짓트 레진을 접착할 때 다양한 용매로 구성된 다섯 가지 접착제를 사용하여 각 접착제에 따른 콤포짓트 레진의 결합력 및 탈락 양상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전치부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 50 개의 표면을 입자크기가 110 ㎛인 알루미나 (Al₂O₃) 분말로 샌드블라스팅하였다. 샌드블라스팅 처리한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은 다섯 가지의 실험군으로 분류하여 Single Bond 2 (3M ESPE), One-Step (Bisco), Clearfil SE Bond (Kuraray), Prime&Bond NT (Dentsply), Panavia F2.0 (Kuraray)중 하나의 접착제를 적용한 후 콤포짓트 레진 (Filtek^(TM) Z250, 3M ESPE)을 접착하였다. 시편은 증류수에 24시간 보관한 후 만능 시험기 (Instron, Model 4465)를 이용하여 1 mm/min의 속도로 전단하중을 가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전단결합강도는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각 실험군의 평균 전단결합강도는 Single Bond 2가 13.17±2.78 MPa, One-Step은 14.90±2.82 MPa, SE Bond는 15.39±3.94 MPa, Prime&Bond NT는 14.84±4.01 MPa, Panavia F2.0은 16.28±3.18 MPa이었다. Panavia F2.0이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고 Single bond 2의 결합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지만, 각 실험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365). 임상에서는 먼저 환자에게 적합한 크기의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을 선택한 후 바로 샌드블라스팅하고 평소에 사용해왔던 접착제와 레진 시스템으로 간편하게 심미적인 크라운을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레진 비니어가 파절되거나 탈락된 경우에도 복잡한 과정 없이 간단하게 수리해 줄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nd evaluate the shear bond strength and fracture pattern of composite to stainless steel crowns (SSCs) usingfive different bonding systems: Single Bond 2, Clearfil SE Bond, One-Step, Prime&Bond NT, Panavia F2.0. For each bonding system 10 specimens of SSC were sandblasted with 110m Al₂O₃ particles, and adhesive systems then were applied to SSC's surfaces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Filtek^(TM) Z250 composite was placed in a putty mold and light-cured to the treated SSC. Bonded specimens were stored in the distilled water for 24 hours, and then debonded in shear on an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debonded specimens were examined under a stereomicroscope (10x). The force at which the bond failed was noted, and it was calculated in megapascals (MPa) as bond strength. The mean shear bond strengths and standard deviations in MPa were as follows: Single Bond 2 (13.17±2.78) Clearfil SE Bond (15.39±3.94); One-Step (14.90±2.83); Prime&Bond NT (14.85±4.01) Panavia F2.0 (16.28±3.18). Panavia F2.0 group provided higher bond strength than the other groups, but one-way ANOVA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overall mean bond strengths for the five bonding systems (p > 0.05).Stereoscopic examination revealed adhesive and mixed bond failur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실험재료 및 방법 = 5 Ⅲ. 실험 결과 = 10 Ⅳ. 고찰 = 13 Ⅴ. 결론 = 17 참고문헌 = 18 부록 = 21 ABSTRACT = 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78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subject.ddc617-
dc.title레진 비니어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에서 접착시스템에 따른 결합강도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of bond strength between composite resin and stainless steel crown according to different bonding system-
dc.creator.othernameYu, Hye Yeon-
dc.format.pageⅴ, 2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소아치과학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소아치과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