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원종례-
dc.creator원종례-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4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0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7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034-
dc.description.abstract정신지체학교 중등부 수학교육은 정신지체학생들이 장차 사회인으로서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수학 기술과 기능을 획득하는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기능적 교육과정과 기능적 학업 기술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능적 수학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기초 연구와 기능적 수학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에 맞는 바람직한 기능적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생활환경내에 있는 숫자의 인지정도를 조사하고, 숫자인지 영역(읽기, 이해, 활용)및 생활 영역과 장애 정도및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여 중등부 정신지체학생의 숫자인지 정도와 변인에 따른 숫자인지 정도의 특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두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중등부 학생 중에 두자리 수를 읽을 수 있고, 간단한 질문을 듣고 대답을 할 수 있는 학생 중에 장애정도와 학교급별로 10명씩 모두 40명을 표집하였다. 연구도구는 Sinclair & Sinclair(1984)가 개발한 것으로 Brenner(1989)연구와 안애리(1994) 연구에서 사용한 것을 수정 보완하여 연구자가 16개 사진자료와 48항목의 질문지를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분석은 생활환경 내의 기능적 숫자 읽기, 이해 및 활용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였고, 숫자인지 영역 및 생활 영역과 장애정도 및 학교급간의 차이와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숫자인지 영역과 생활 영역에서의 숫자인지 정도를 반복 측정 요인으로 한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고, 장애정도와 학교급에 따른 세부적인 차이를 숫자 읽기, 이해, 활용 각각의 측면에서 분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능적 숫자의 인지 정도는 숫자인지 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생활 영역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숫자읽기 정도가 이해나 활용정도 보다 높았으나 가정, 지역사회, 여가, 직업생활 영역간에는 숫자인지 정도에 차이가 없었다. 숫자인지 정도에 대한 숫자인지 영역과 생활 영역간에 상호작용의 효과가 나타났다. 즉, 숫자활용 정도가 이해 정도에 비해 지역사회생활 영역에서는 낮은 반면 여가생활에서는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2. 기능적 숫자의 인지 정도는 장애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경도 학생이 중등도 학생보다 숫자의 읽기, 이해, 활용의 정도가 모두 높았다. 숫자의 인지 정도에 대한 장애 정도, 숫자인지 영역, 생활 영역간에 상호작용의 효과가 나타났다. 즉, 여가생활 영역에서 숫자활용 정도가 이해 정도에 비해 경도 학생은 높은 반면 중등도 학생은 낮은 경향으로 나타났고, 가정생활 영역에서는 경도 학생은 이해와 활용 정도가 비슷한 수준인데 비해 중등도 학생은 활용수준이 이해 수준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였다. 3. 기능적 숫자의 인지 정도는 학교급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고등부 학생의 숫자읽기 정도는 중학부 학생보다 높았으나 숫자의 이해와 활용 정도에서는 고등부 학생과 중학부 학생간에 차이가 없었다. 숫자의 인지 정도에 대한 학교급, 숫자인지 영역, 생활 영역간에는 상호작용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중등부 정신지체 학생들은 생활 환경내의 숫자 읽기에 비해 상황적으로 이해하여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고, 숫자 이해와 활용 정도는 고등부와 중학부 학생간에 그 차이가 없었으나, 경도 학생에 비해 중등도 학생이 낮게 나타났다. 이로 부터 학교 상황에서 단순히 숫자를 지각해 읽는 것을 지도하기 보다는 일상생활에서 실제적인 수학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현행 특수학교 수학 교육과정이 변화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즉, 중등부 정신지체 학생의 효율적인 수학 교육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에 맞는 기능적 수학 교육 프로그램이 앞으로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The math education of the mentally retarded in secondary schools needs to be emphasized on their learning of functional math knowledges and functions because they need to live independently as a member of society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is necessity, several functional math curricula have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but there are few studies which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egrees of written numerals cognition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on the written numerals cognition domains(reading, comprehending, and practical using), the life domains, the degrees of disability, and the levels of school in order to obtain background data in developing functional math education programs meeting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students in real situations. The subjects were 40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ampled in two special schools located in Seoul. All of them could read numbers of two digits and answer to simple questions.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10 mild and 10 moderate middle school students and 10 mild and 10 moderate high school ones respectively. Data were collected utilitiry a questionaire, which included 16 pictures and 48 question items.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present study employed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ith repeated measures on two factors(the degree of functional written numerals cognition in written numerals cognition domains and that in life domains)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degree of functional written numerals cognition significantly differed in written numerals cognition domain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appeared in life domains. That is, the degree of reading written numera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degree of comprehending or us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omestic living, community living, leisure, and vocational life. An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the written numerals cognition domains and life domains. Namely, the degree of using written numerals was lower than the degree of comprehending in community living domain, while vice versa in leisur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functional written numerals cognition depending on the degrees of disabilities. In detail, students with mild disability performed significantly higher than students with moderate disability in reading, comprehending, and using functional written numerals. An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among the degree of disability, cognition domain, and life domain in the degree of written numerals cognition. That is, in case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y, the degree of using written numera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degree of comprehending in leisure domain, while the reversed was true for moderate students. In domestic living domain, the degree of comprehending and using of written numerals was similar for students with mild disablity , but the degree of using was lower than the degree of comprehending for moderate ones. Third, the degree of functional written numerals cogni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schools. In detail, the degree of reading written numerals of high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iddle school student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degree of comprehending and using written numerals between the two groups. An interaction effect was not found among level of school, cognition domain, and life domain in the degree of written numerals cognition. In summary, secondary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have more difficulties in comprehending and using than in reading written numerals in living situaitions. The degree of comprehending and using written numerals did not differ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but, for students with morderate retardation, the dgree of comprehending and using written numerals was lower than that for students with mild retatda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current math education method be changed to use practical math skills. Therefore, for efficient math education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in secondary special schools, functional math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meet students' educational nee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정신지체 수학교육의 개관 = 7 1. 정신지체 수학교육의 특성 = 7 2. 정신지체 수학교육의 동향 = 9 C. 정신지체학생을 위한 기능적 수학교육 = 13 1. 기능적 교육과정의 정의 및 배경 = 13 2. 현행 정신지체 수학 교육과정 = 15 3. 기능적 수학교육 내용의 고찰 = 19 1) 기능적 수학교육 내용 구성방향 = 19 2) 기능적 수학기술 선정 및 교수 지침 = 23 Ⅲ. 연구방법 = 28 A. 연구대상 = 28 B. 연구도구 = 31 C. 연구절차 = 33 D. 연구자료분석 = 35 Ⅳ. 연구 결과 = 36 Ⅴ. 논의 및 제언 = 43 A. 논의 = 43 B. 제한점 = 49 C. 제언 = 50 참고문헌 = 52 부록 = 63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241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정신지체-
dc.subject-
dc.subject인지-
dc.title중등부 정신지체 학생의 수 인지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생활환경내의 기능적 숫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Written Numerals Cognition of the Mentally Retarded in Secondary Specil Schools-
dc.format.pageviii, 7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