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8 Download: 0

정상아동과 장애아동의 동작성 가족화 비교연구

Title
정상아동과 장애아동의 동작성 가족화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the kinetic family drawings(k-f-d) of normal children and handicapped children
Authors
김현정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정상아동장애아동동작성가족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아동화는 투사적 기능으로 인해 그림을 그린 아동자신의 정신적 내면 세계를 이해 할 수 있으며, 언어의 표징으로서 아동 내부의 갈등과 욕구, 생활경험 및 환경적인 문제를 표출해내는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동작성 가족화는 아동과 가장 밀접한 환경인 가정 내에서 아동이 느끼는 가족성원간의 정서적인 유대 관계를 알아 볼 수 있는 비구조적 투사기법으로서 특별히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한 장애를 겪고 있는 아동들에게 의사소통의 한 방법으로서 또한 그들을 이해하고 치료하는 매개체로서 큰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아동과 정서와 발달상의 장애가 있는 아동의 동작성 가족화를 비교하여 그 표현의 차이를 밝히고, 사례연구를 통한 장애아동의 동작성 가족화 분석에서 환경적 요인에 따른 정서, 발달상의 문제가 어떻게 특징적으로 표현되고 있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아동의 가족화는 1. 선(線) 2. 구도(構圖) 3. 양식(樣式) 4. 표현내용 5. 상징 6. 활동내용의 6가지 항목으로 분석하였고 분석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선의 재질에서는 장애아동의 경우 '자주 끊어진 선'이 가장 많고 '높은 압력의 선', '흔들리는 선', '빨리 그린 선'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정상아동은 결단과 안정으로 해석되는 직선이 가장 많아 두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장애아동의 환경과 대인관계에 있어서 고립과 거부가 심함을 나타냈다. 선의 형태에서는 두 집단 모두 원형이 많아 장애를 떠나서 소유욕과 의존적인 자기중심성을 가진 아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근로에서는 장애아동의 경우 그림의 주체가 화면의 상반부에 치우친 아동이 가장 많아 환경인식의 능력이 부족함을 알 수 있고, 정상아동은 좌로 치우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양식에서는 '밑줄긋기'에서 두 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장애아동의 경우 '둘러싸기'와 '구획화'에서 정상아동보다 높은 배율을 나타냈다. 4. 표현내용에서는 장애아동의 경우 기본적인 신체의 생략이 정상아동보다 현저히 많이 나타났고, 가족내 연령순서에 맞지 않는 자신의 위치와 인물들의 크기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정상아동의 경우는 연령에 맞지 않는 자신의 위치와 '지움'에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5. 상징에서는 장애아동보다 정상아동이 태양과 꽃등을 그린 경우가 많아 보다 적극적인 애정 욕구를 표현하였으며, 상징과 관련하여 두 집단간 배경의 표현 비율은 정상아동이 훨씬 높은 겻으로 나타났다. 6. 활동내용에서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활동내용에서 두 집단간에 공통적으로 T.V시청, 회사가심, 신문보심, 집안일 하심이 많았으나, 자신과 형제에 관한 활동내용은 정상아동이 비교적 일상적인 주변의 일들을 표현 한 것에 비해 장애아동의 경우에는 구체적이고 개인적인 경험이나 비현실적이며 공격적인 내용을 표현한 경우가 보다 많이 나타났다.;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xpressional difference between normal children's kinetic family drawings and those of handicapped children and to analyze how emotional, developmental problems are characteristically expressed by the environmental elements. Children's kinetic family drawings were analyzed into six items ; 1. quality and form of line, 2. composition, 3. style, 4. statical factors, 5. symbol, 6. content of activity, and the results as follows : 1. As for the linear quality, in the case of handicapped children, 'frequently broken line' was the most used one and 'line having great pressure', 'swinging line' and 'quickly drawn line' followed in that order, while normal children mostly prefer straight line which can be interpreted as determination and stability,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nd handicapped children showed serious isolation and rejection toward their environ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case of linear forms, two groups equally prefer circles to reveal children usually have posessiveness and dependent egoism. 2. As for the composition, handicapped children's main body of drawing were biased on the upper side to reveal perceptional lack toward environment, while that of normal children mostly placed on the left. 3. In the case of style, underlining accounted for the highest from two groups, but handicapped children prefered 'encircle' and 'divisionalizatio'. 4. As for the statical factors, handicapped children prominatly liked to omit basic parts of body and wrong self position in their family age order or size of figure occupied the highest level. In the case of normal children, wrong self position was the same but they corrected it quickly. 5. As for the symbol, handicapped children prefered sun and flowers to reveal severe desire for affection, while normal children's treatment of background was more detailed. 6. As for the content of activities, two groups equally showed parents' watching T.V., going to work, reading newspaper and house working, but in relation to their own activities, normal children comparatively expressed living conditions around, while the handicapped expressed a lot concrete, personal experiences or unrealand attacking detai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