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1 Download: 0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9종) 분석

Title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9종)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high-school music textbooks (9 different versions) based on the 6th curriculum : on the basis of vocal songs
Authors
강유선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음악교육고등학교음악교과서가창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1992년에 개정된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해 1996년 3월부터 사용하고 있는 고등학교 9종의 음악 교과서중에서 46.8%의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가창곡을 분석하여 현행 교과서의 장·단점을 알아보고 문제점을 지적하며 그 개선방안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 개정된 교과서의 가창곡 분석에 앞서 문헌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천에 대해 고찰하고, 제6차 음악과 교육과정과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가창학습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가창학습이 가지는 의의를 알아보았다. 고등학교 9종 음악교과서중 가창곡의 분석은 첫째, 9종 교과서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고, 각 교과서에 실린 가창곡의 종류, 연주 형태, 박자, 조성, 가사내용 등으로 분류하여 알아보았다. 둘째, 9종 전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수록된 가창곡 2곡을 심층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8종 이상의 교과서에 수록 된 가창곡 10곡을 종류, 곡의 분류, 연주 형태, 조성, 박자 등에 관해 조사하였다. 위의 방법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창곡의 종류별 분석에서는 우리나라의 곡중에서 가곡이 30.7%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둘째, 연주 형태의 분석에서는 제창의 연주 형태가 59.2%의 압도적인 비율로 나타나 제창에 크게 치우친 연주 형태의 편파성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조성에 있어서는 C장조의 곡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으며 다양한 조성의 곡들이 골고루 소개되지 못하고 있었다. 장조와 단조의 전체 비율은 각각 74.3%와 25.7%로 장조의 곡에 치우쳐 있었다. 넷째, 박자는 4/4박자가 39.1%의 가장 높은 비율로 편중된 결과를 보여 다양한 음악적 체험을 이루지 못하고 있었다. 장단의 제시에 있어서도 다양한 장단의 민요들을 골고루 제시하고 있지 못하였다. 다섯째, 가창곡 가사의 내용을 살펴보면 "인정(人情)"이 57,5%로 가장 많고 "자연(自然)" 22.6%, "정신(精神)" 6.1%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정(人情)"중에서는 '사랑'과 '그리움'을 노래한 것이 많았으며, 학생들에게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교육'이나 '애국심' '우정'등의 내용은 낮은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여섯째, 9종의 전 교과서에 공통으로 수록된 2곡은 연주 형태, 조성, 빠르기 말, 원어표기, 작사, 작곡자 표기, 곡의 분류, 악보상의 음표 기보와 다이나믹 등에서 각 교과서마다 다른 표기를 하고있어 통일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일곱째, 8종 이상치 교과서에 수록된 공통곡 10곡은 우리나라의 가곡이 5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동일한 곡이라 하더라도 각 교과서마다 다른 곡의 분류, 연주 형태, 조성으로 제시되고 있어 일관성이 없었다.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통합적인 음악교육'을 추구하고 있으나 개정된 교과서는 연주 형태나 조성, 박자 등에 편파를 보이고 있었으며 표기상의 문제로 인해 제6차 교육과정이 지향하고 있는 '통합적인 음악교육'의 실현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가창곡의 음악적 요소 및 표기에 통일성이 있어야 하며 다양한 조성과 박자, 연주 형태가 제시되어야 하겠다. 가창곡 선곡시에도 학생들을 위한 가사내용 및 대중음악의 사용 도 고려해야 하겠다. 교과서는 전국의 학생들과 교사들이 함께 사용하는 중요한 학습자료로써 통일성있고 정확해야 한다. 따라서 위에서 열거한 여러가지 문제점들에 대해 충분한 토의와 연구가 이루어져 학생들과 교사들이 신뢰를 갖고 대할 수 있는 새로운 음악 교과서의 개편작업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the strong and weak points, and the problems, of high-school music textbooks and finally, to look into ways of improvement by analysis of the songs which occupy 46.8% of the 9 different versions of high-school music textbooks which have been used from March 1996, following the 6th curriculum revision in 1992.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studies of the literature, the changes of Korean music curriculum, the 6th music curriculum and vocal music education of the 6th curriculum were investigated and the significance of vocal music education was researched. The analysis of vocal songs in 9 versions of high-school music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xtbook are presented and the textbooks are classified by types of songs, texture, tempo, key, texts. Second, two vocal songs which are in all the 9 versions of the textbook are investigated in depth and compared. Third, ten vocal songs used in over 8 versions of textbooks were researched regarding their classification and type, texture, tempo and key. Conclusions are as follows due to the abovementioned method. First, Korean art songs comprise 30.7% as the highest proportion of various types of songs. Second, unison songs account for 59.2% in the analysis on performance. This means that unison performance is partially preferred. Third, in the analysis of key structure, C major is used most, and there is a lack of varied keys. The percentage of major and minor is 74.3% and 25.7% each, the textbooks leaning towards the major mode. Fourth, 4/4 tempo occupies 39.1% as the highest proportion. As a result, textbooks can not give a varied music experience to students. In the field of Korean rhythm, the diverse rhythms of Korean folk song are not presented. Fifth, regarding themes, "Emotion" occupies 57.5%, "Nature" 22.6%, and "Spirit" 6.1% respectively. In "Emotion", mainly "Love" and "Longing" are expressed, but "Education", "Patriotic spirit" and "Friendship" which are supposedly important to students show a low rate. Sixth, two songs which are in all the 9 versions of the textbook show differences in the texture, key, musical terms, original texts, spelling of composers and songwriters, classification of songs, notation and dynamics. It shows a lack of uniformity. Seventh, in the ten songs mentioned in over 8 versions of the textbook, Korean songs account for 50% as the highest portion. However, the lack of uniformity can be pointed out in the classification of songs, texture, and key. The 6th curriculum pursued the goal of a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but the objective of this curriculum is not realised, because of the divergence of performance, tempo, and so on. To solve these problems, uniformity in the musical factors and marking of the same vocal songs is needed. Also varied key, tempo and performance should be provided to students. Moreover, in the selection of songs, texts for students and youth music or popular songs should also be considered. Textbooks are important educational materials used by students and teachers together, so they need uniformity and correctness. Therefore, I look forward to the completion of a new version of the textbooks, which both students and teachers can study with confidence, after sufficient discussion and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