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수현-
dc.creator박수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0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2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6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272-
dc.description.abstractThe word 'stress' has become a norm to us living in this modern society. Society with its complexity and diversity has made stress as part of our everyday life. The youth are affected by it, too. They experience different types of stress as they go through crucial time, youth, of their life. Specially, religious youth experience not only stress of general nature but of another type as well in their crucial period of decision making. They are caught in the conflicting life styles of both general and religious youth. The youth are indeed exposed to much stress. Yet church has not provided the youth with adequate care that is needed. It is becoming more difficult to encourage one to practise christianity as the paradigm of society changed and diversified. Pending issues of church are to come up with converting measures and consideration for the youth, in this situation, desperately need. A premise of this thesis deploys the pastoral care needed for the christian youth under stress. The thesis will show the concep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in order to enable readers with overall understanding and what stress is first, and then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since the thesis focuses on the christian youth. The thesis emphasizes measures taken by individuals since various coping stances taken when under stress differ from one who enjoys a sound life when stress is overcome successfully while the other, an unsuitable on with a failure to control stress, and that will lead to general and religious coping toward stress. A study was done on religious status inventory and religious problem-solving styles with a premise set on connection between stress and religious status, and the result shows that stress and religious status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while they correlate in details as the youth face stress in their everyday walk.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religious status and religious problem-solving styles, as religious problem-solving styles are included in religious status, everyday stress is somewhat related. The conclusion on correlation found among stress, religious status, and religious problem-solving styles was inferred. So, the pastoral care for the youth under such stress is very much needed. The result of the thesis, based on stress which the surveyed youth had described verified the need of the pastoral care. Measures to tackle stress of the youth should be presented by church, and measures of the pastoral care in which church is interested, providing rest, and replenishment to the youth. The view point and the way in which church should support the youth was thought of Finally, suggestions on a comprehensive direction of the pastoral care for both the youth under stress and the general public are made in the thesis. This thesis hopes to become a tool to provide varied ways to support the youth inside church. If a fundamental attitude for each individual and general support, along with unique resources church has for the youth under stress become realized, church will become a healing place which sufficiently embraces straying christian youth.;현대 사회를 사는 우리에게 스트레스는 이미 익숙한 단어가 되어 버렸다. 스트레스는 사회가 복잡·다양해지면서 이미 우리 삶의 일부가 되어버렸다. 이것은 우리 청년들에게도 예외는 아니다. 청년들은 인생의 중요한 시기를 거치면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또, 인생의 가장 중요한 결정의 시기인 청년기에 종교를 가진 청년들은 일반적인 스트레스 뿐 아니라 그 이상의 스트레스와 만나게 된다. 일반 생활과 종교 생활 사이에서 찾아오는 갈등은 이들을 또 다른 스트레스 상황에 놓이게 한다. 이렇게 청년들은 많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청년들에 대해 교회는 그동안 그들에게 특별한 돌봄을 지원하는데 미흡했다. 사회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다원화되면서 기독교 신앙을 가지라고 강조하기가 점점 어려운 상황이 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이런 상황에 처해 있는 청년들에 대한 교회의 전향적 조치와 배려가 시급히 요청되고 있는 것이 교회가 당 면한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은 기독교 청년들이 겪고 있는 스트레스에 대한 목회적 돌봄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전제로 본 논문을 전개하였다. 먼저, 청년기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를 위해 청년기의 개념과 일반적인 특징을 살펴보았고 기독교 청년들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청년기의 종교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스트레스의 기본 이해와 청년기 스트레스의 특징에 대해서도 다뤘다. 그리고, 스트레스를 받을 때 다양한 대처행동을 취하기 되는데 스트레스 상황에 성공적으로 대처하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실패하면 부적응을 가져오기 때문에 개인의 대처방식 연구를 중요하게 여긴다. 그래서, 일반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종교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알아보았다. 다음은 스트레스와 종교생활(Religious Status)은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종교생활(Religious Status Inventory), 종교적 문제해결 방식(Religious Problem- Solving Styles)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연구의 결과, 우리는 청년들이 나름대로 생활사건 속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고 스트레스와 종교생활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세부적으로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종교생활과 종교적 문제해결 방식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볼 수 있었고 종교생활 속에는 종교적 문제해결 방식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생활사건 스트레스와도 무관하지 않았다. 우리는 이를 통해 스트레스와 종교생활, 종교적 문제해결방식이 상관관계가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연구를 통해 스트레스 속에서 생활하고 있는 청년들에 대한 목회적 돌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목회적 돌봄의 필요함을 증명하였고 청년들이 기술한 스트레스 사건을 통해 그들이 스트레스로 지쳐 있음을 살펴보았고 그들에게 목회적 돌봄이 필요함을 짐작할 수 있었다. 교회는 청년들의 스트레스에 대한 목회적 돌봄의 지원방안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하고 그들에게 관심과 쉼과 충전이 필요함을 알고 이를 위한 목회적 돌봄의 방안을 모색하려 했다. 교회에서 어떤 관점에서 어떤 방법으로 목회적 지원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청년 뿐 아니라 모든 사람을 위한 교회의 목회적 돌봄의 방향에 대해 제안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회 안에서 청년에 대한 다각적인 돌봄의 지원방향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청년 개개인에게 관심을 갖는 기본적인 자세와 청년 스트레스에 대한 일반적인 지원과 더불어 교회가 가진 독특한 자원이 지원된다면 교회는 떠나는 청년들을 품을 수 있는 넉넉함을 가진 치유의 장(場)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와 목적 = 1 B. 연구방법과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6 A. 청년기의 발달 = 6 1. 청년기의 개념과 일반적 특징 = 6 2. 청년기의 종교적인 특징 = 9 B.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 = 12 1. 스트레스의 기본개념 = 12 2. 청년기 스트레스의 특징 = 13 C. 스트레스 대처방식 = 16 1. 일반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 16 2. 종교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 18 Ⅲ. 생활사건 스트례스, 종교생활, 종교적 문제해결방식에 관한 연구 = 22 A. 연구 방법 및 절차 = 22 1. 연구 문제 = 22 2. 연구방법 및 대상 = 22 3. 측정 도구 = 23 4. 분석 방법 = 26 B. 연구결과 및 해석 = 26 1. 응답자의 인구통계적 특징 = 26 2. 각 척도별 신뢰성 = 27 3. 집단별 평균차이에 의한 분석 = 28 4. 상관계수에 의한 분석 = 35 C. 요약 및 논의 = 50 Ⅴ. 청년 스트레스에 대한 목회적 돌봄 = 56 A. 생활사건으로 본 기독교 청년들의 스트레스 = 56 1. 성별 생활사건 스트레스 = 56 2. 연령별에 따른 생활사건 스트레스 = 58 B. 청년 스트레스 대처방안 = 59 1. 학업과 업무 관련 스트레스 = 60 2. 친구·대인관계 스트레스 = 61 3. 가족관계 스트레스 = 62 4. 교회와 신앙 관련 스트레스 = 64 C. 청년 스트레스에 대한 교회의 목회적 돌봄 = 65 1. 일반적인 스트레스 극복 자원 = 68 2. 교회의 스트레스 극복 지원 자원 = 70 Ⅵ. 결론 = 78 참고문헌 = 82 부록 = 88 ABSTRACT =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198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c.subject기독 청년-
dc.subject스트레스-
dc.subject목회상담-
dc.title기독 청년의 스트레스와 해소방안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tress of Christian Youth and Measures of its solution-
dc.format.pageviii, 9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신학대학원 신학과-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