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
dc.creator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9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7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6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701-
dc.description.abstract아동발달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인생의 초기 5∼6년이 가변성이 크고, 성장의 잠재력이 가장 높으며 성장발달의 기초를 이루는 발달의 결정적 시기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장애아에게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장애아들의 최적의 발달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초기 성장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환경을 바람직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이러한 조기중재의 노력은 장애아의 신체적, 인지적, 언어적 사회적발달 및 자조기술 습득을 촉진하여 장애로 인한 2차적 불이익을 극소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또한 장애아 가족이 직면하는 문제를 감소시키고, 부모와 그 가족이 장애아의 발달을 도울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장애아는 통합적이며 상호작용적이며 역동적으로 성장발달하는 개체이며, 다면적 환경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존재이다. 따라서 장애아와 그 가족이 나타내는 다양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전문분야에 걸친 조직화전 종합적 노력이 필요하며, 각 서비스가 계통성 있고 일관적이며 아동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장애아 조기교육 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장애아 조기중재 서비스 전달체계의 바람직한 체계모형을 구성함을 목적으로 특수교육 및 조기중재와 관련된 저서와 학술지를 중심으로 조기 중재서비스전달체계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그 내용을 조기중재의 실제적용과 비교분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조기중재와 관련된 미국의 연방입법 제정현황과 현재 미국에서 실제로 시행되고 있는 조기발견프로그램과 정보시스템 및 조기교육 프로그램 몇가지를 살펴보았으며, 일본의 실제는 현 입법제도 및 지역 중심 조기중재서비스체계의 예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조기중재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사회적관심과 지지를 기반으로 하는 조기교육의 법과 정책의 개발이 필요하며 미국과 일본의 법시행을 통해 국가 및 지방정부가 사회정책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갈 의무를 다할 때 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국의 경우 연방입법은 조기중재의 이념을 선구자적으로 구체화시켜 모든 주의 정책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인도하였으며, 정책시행을 위한 재정적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인 면에서도 기반마련을 위한 지원을 하였다. 특히 P.L. 94-142와 P.L. 99-457를 통해 장애아 조기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구체화시키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시책을 현실화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교육국의 주도하에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미국 전국에 조기교육 프로그램이 보급 확장되고 있었다. 일본의 경우를 보면 모자보건법과 아동복지법, 심신장애아복지법, 학교교육법등에 의해 조기발견에서 교육까지의 일련의 기반이 마련되어지고 있으나, 조기교육이 의무교육제도화 도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모자보건법에 의한 영유아 건강진단제도(1세반, 3세, 취학시)의 보급으로 조기발견의 체계가 오래전부터 확립되어 있어 조기발견에 많은 성과를 올리고 있었으며, 여러 지방자치단체가 영유아건강진단제도를 확대 발전시켜 장애영유아의 조기발견에서 조기교육까지의 시범적 지역중재체계를 개발 시행하고 있어 국가적 시책에 상관없이 지방자치단체의 의지와 노력이 조기중재의 바람직한 시행을 현실화 할 수 있는 큰 힘으로 작용한다는 사사점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법적 근거를 기반으로 한 조기중재의 서비스 전달과정은 이론적으로나 실제적으로 몇가지 과정요소로 구성되어 있었다. 즉 조기중재 서비스 전달의 과정은 예방 → 판별/선별 → 의뢰 → 확정/진단명가 → 계획 → 배치/서비스전달 → 평가 → 이전 → 추적 → 종결등 연속적 과정요소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과정요소는 더 효과적이며 기능적인 서비스전달을 위한 조건들을 갖추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예방을 위해서는 특히 위험 임산부에 대한 집중관리제도의 필요성이 강조되었고, 발견/선별을 위해서는 신생아기부터 적어도 2,3세까지의 시기에 발달의 전환점을 기준으로 수차례의 선별검산가 이루어지는 것이 조기발전에 필수적임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조기중재 서비스가 다분야에 걸쳐 있어 서비스제공이 비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중앙의뢰체계-조기중재 종합센터 같은 서비스의 물리적 거점 확보가 바람직함이 강조되고 있었다. 이러한 서비스의 거점적 센터는 의료, 복지, 교육, 심리등 여러 전문분야가 협조적이며 통합포괄적이고 기능적 계획을 수립할 수 있어야 하며 그 모든 과정이 일관성 있게 진행되어지는 체계를 가질 때 조기중재의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센터가 조기중재의 모든 과정을 주도적으로 운영할 권한을 가지고 아동이 앞으로 배치되어 실제 조기교육 및 서비스를 받을 기관을 감독 지도하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실제적 조기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필요함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예방에서 조기발견, 조기진단, 조기교육에 이르는 서비스전달 과정을 체계화하여 일관성 있고 계통적이며 다분야 상호협조적이며 변화에 대한 유연성을 가진 조기중재의 바람직한 모습을 도식화하여 제시하였다. 모형의 특징은 의료보건기관을 중심으로 한 조기발전의 체계확립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과 조기발견 후 장애아와 그 가족의 욕구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계획 및 배치하는 서비스 과정을 다전문분야간 협조적(Multidisciprenary)으로 이루기 위한 물리적이고 기능적 센터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점이다. 물론 조기중재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한 바람직한 체제의 모델은 지역적 특성이나 대상아동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되어 질 수 있으나, 본 논문이 제시한 모형이 조기중재서비스가 효과적으로 시행되기 위한 몇가지 실질적 필요조건을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작은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model of the early intervention service delivery system for handicapped young children. To achieve this, review of the literature on early intervention of handicapped children was carried out t o present the need of the early intervention service delivery system and an effort was made t o clarify theoretically the elements of the service system. Studies of laws and legislation regarding the early intervention i 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Japan and early identification, early education service delivery system and programs in actual use were reviewed to examine the essential conditions of desirable model.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orm these studies: First, development of laws and legislation and policies for early intervention based upon public interest and support is needed to establish the early intervention service delivery system. It is confirmed again that improvement of early intervention effort is possible when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of leading social policies to right directions. Second, early intervention service delivery system with basis of these laws and legislation was composed of several process elements either on theory or in real use. These process elements form the following sequence of the elements: Prevention→Identification/Screening→Referral→ Confirmation/Diagnosis, Assessment→Planning→Location/ Service Delivery→Evaluation→Transition→Tracking→ Exiting. To have an effective early intervention service delivery system, effective prevention through intensive monitoring system of prenatal and perinatal risk, multiple timepoint developmental tracking check-ups for early identification are critical. To have effective service delivery, the need of central referral system that allows all expert areas such as medical,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psychology to execute consistent diagnostic evaluation and planning cooperatively, comprehensively and functionally is emphasized. With these findings, this thesis presents an illustrated multidisciplinary, cooperative model of the early intervention service delivery system based upon secure implementation of early identification system and central referral system emphasizing consistency and integration by systematizing service delivery process such as early identification, early diagnosis and early education. Small Meaning of this study can be found that this model presents several necessary conditions for an effective execution of early intervention servi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연구방법 = 4 D. 용어의 정의 = 5 E. 연구의 제한점 = 5 Ⅱ. 본론 = 6 A. 장애아 조기중재의 필요성과 그 목적 = 6 1. 장애아를 위한 조기중재의 필요성 = 6 2. 장애아 조기중재의 목적 = 12 B. 조기중재 서비스 전달체계 = 17 1. 조기중재 서비스 전달체계의 필요성 = 17 2. 조기중재 서비스의 구성요소 = 18 1) 조기중재 서비스 체계 개발을 위한 틀 = 18 2) 조기중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법과 정책 = 21 3) 조기중재 서비스 전달의 실제와 관련된 필수요소 = 22 4) 조기중재 서비스 전달체계를 위한 조건 = 42 C. 미국과 일본의 조기중재 서비스 전달체계의 실제 = 53 1. 미국의 조기중재 서비스 전달 체계의 실제 = 53 1)조기중재와 관련된 연방입법 = 53 2) 미국의 조기발견을 위한 프로그램 = 66 3) 미국의 영유아 교육 프료그램 = 76 4) 미국의 조기중재 서비스 전달체계의 실제틀 통한 시사점 = 83 2. 일본의 조기중재서비스 전달체계의 실제 = 89 1) 일본의 장애아 조기중재와 관련된 심위보고 및 입법저치 = 89 2) 일본의 조기발전의 현행제도 및 조기중재 서비스 체계의 실제 = 95 3) 일본의 조기중재서비스 전달체계의 실체를 통한 시사점 = 110 Ⅲ. 결론 = 114 A. 조기중재 서비스전달 체계의 모델구성 = 114 B. 제언 = 139 참고문헌 = 141 부록Ⅰ = 158 부록Ⅱ = 162 ABSTRACT = 1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5739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장애아-
dc.subject조기중재 서비스-
dc.subject특수교육-
dc.title장애아 조기중재 서비스 전달체계 모형에 관한 일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odel of the early intervention service delivery system for handicapped young children-
dc.format.pagex, 1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