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9 Download: 0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학적 문제해결력 지속력과 귀인 자아개념의 관계분석

Title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학적 문제해결력 지속력과 귀인 자아개념의 관계분석
Authors
朴美順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Keywords
중학생수학적 문제해결력지속력귀인 자아개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domain and problem-solving, this paper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 and self-concept, which is reviewed by classifying problem-solving into understanding, performance, and looking-back. For the purpose of answering to above questions, three kinds of paper tests were performed on 347 middle-school students, regarding attribution, self-concept, and persistence. After careful survey and consideration, we can conclude above issues as followings. 1) When it comes to "success", the group with poor problem-solving ability has more stable and control attributions than the group with excellent one. Concerning the locus of causality, the excellent group has more external attribution than the poor one. On the side of "failure", the poor group has more external and uncontrol attributions than the other group. The excellent group has more internal attribution than the other one. 2) The result of t-test are as following. In the case of "success", excellent-understanding group has more external attribution than the group with poor-understanding, and poor-understanding group has more stable and control ones than the other one. As for performance, excellent group has more external, unstable and uncontrol attributions than the other one, while poor-performance group internal, stable and control attributions than the excellent group. The poor looking-back group has more stable one than the excellent looking-back group. In the case of "failure" shows that the only exellent group with understanding, performing and looking-back has more stable attribution than the other group. 3)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for the excellent group are independent of self-concept. High score for looking-back issues means positive self-concept, and low score does negative one. In the case of the poor group, understanding and looking-back are independent of self-concept. And, we can deduce that high score for performance shows positive self-concept. 4) Whatever persistence has no difference from any other attributions.;수학학습에서 문제해결력이 부족한 학생들의 원인을 외부로 드러난 면에만 치중한다면 그 근본적인 치유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므로 학생의 성적을 결정하는 변인이 학생의 인지적 격차에만 있다기보다는 학생이 형성시킨 정의적 행동에도 있다는 사실을 주목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의적 행동과 문제해결력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어서, 특별히 수학적 문제해결력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문제해결력을 이해력, 실행력, 반성력의 단계로 나눠서 귀인, 자아개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귀인은 학생들이 학습의 실패와 성공의 원인을 어디에 두느냐의 개념으로 어디에 귀인시키느냐에 따라서 학습 동기수준이 다르고 정서적 반응, 미래의 성공, 실패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주어서 후속되는 행동이 달라지게 한다. 또한 자아개념은 수학문제해결 학습에 적극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수업 행동과 학습 자료등 여러 면에 영향을 주고, 학습과제에 당면한 학생들의 기대와 자신감에도 영향을 준다. 다음으로는 어떠한 어려움이 있어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지를 나타내는 지속력(persistence)의 중요성을 들 수 있는데, 이 학습 지속력은 귀인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알아볼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력이 우수한 학생과 비우수한 학생간에 성공 실패에 대한 귀인의 양상은 원인의 소재차원, 안정성차원, 통제가능성 차원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이해력, 실행력, 반성력에 따라 성공, 실패에 대한 귀인은 차이가 있는가? 세째, 문제해결력이 우수한 학생과 비우수한 학생의 이해, 실행, 반성력과 자아개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네째, 성공, 실패에 대한 귀인의 양상은 지속력이 높고 낮음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의 경우 문제해결력이 우수한 학생은 비우수한 학생보다 외적요인에 더 귀인시키며, 비우수 학생은 우수학생에 비해서 안정성 요인과 통제가능성 요인에 더 귀인시킨다고 볼 수 있다. 실패의 경우 문제해결력이 우수한 학생은 비우수한 학생에 비해서 더 내적으로 귀인시키며, 비우수 학생은 우수 학생에 비해서 외적, 통제 불가능 요인에 더 귀인시킨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성공의 경우 이해력이 우수한 학생은 외적으로, 실행력이 우수한 학생은 외적, 불안정, 통제불가능 요인으로 귀인시키고, 이해력이 비우수한 학생은 안정성, 통제가능요인으로 실행력이 부족한 학생은 내적, 안정성, 통제가능요인으로 귀인시키며, 반성력이 부족한 학생은 안정성요인으로 귀인시킨다. 실패의 경우는 이해력, 실행력, 반성력이 우수한 학생 모두 안정성요인으로 귀인시킨다. 세째, 의미있는 결과로 볼 수는 없지만, 우수학생의 경우 이해력과 실행력은 자아개념과 서로 독립임을 보여주고, 반성력이 높은 경우는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고, 낮은 경우는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비우수학생의 경우는 이해력과 반성력은 서로 자아개념과 독립이나 실행력이 높으면 자아개념이 긍정적이고, 실행력이 낮으면 자아개념이 부정이라고 볼 수 있다. 네째, 지속력이 높고 낮음에 따라 귀인과 차이가 있는 것은 없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