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2 Download: 0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과의 관계

Title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과의 관계
Other Titles
Child care Center Teachers' Recognition of Teaching Professional and Role Performance
Authors
김지연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어린이집보육교사교직전문성 인식역할수행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역할 수행의 정도를 파악하고 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에 대하여 변인들(연령, 경력, 학력)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2) 보육교사의 실제 역할수행에 대하여 변인들(연령, 경력, 학력)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3) 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실제 역할수행과의 관계와 교직 전문성 인식이 높은 집 단과 낮은 집단에 따른 역할수행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수원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59명이었으며, 연구도구 및 방법으로는 질문지를 통한 조사방법으로 실행하였다 사용된 질문지는 선행연구의 김혜린(1992), 백혜리(1989), 권혁진(1995), Lindsay & Lindsay(1984)의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들을 수정·보안하여 연구자가 작성한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측정 질문지와,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김혜린(1992)의 질문지를 Saracho (1988b)가 제시한 교사의 역할차원과 역할항목기준을 토대로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연구결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자료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은 연령별, 경력별, 학력별로 일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연령별 하위 영역에서 사회봉사성에 대한 인식 경력별 하위영역에서 자율성에 대한 인식, 학력별 하위 영역에서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인식에서의 집단간 차이가 있었다. 2) 실제 역할수행은 연령별, 경력 별로 집단간 일반적인 차이가 있었고 하위 영역의 교육과정 설계자 역할에서도 집단간 차이가 있었다. 3) 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과의 관계는 통계적 유의한 수준에서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직 전문성 인식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 따른 역할수행의 비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간 차이를 나타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egree of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recognition of their role as professionals and to what degree this recognition influences their actual role performance. Furthermore, there will be an attempt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 two. In order to achieve such purposes, the following issues are studied: 1. Does the level of recognition differ with regard to each variable (age, experience and educational background)? 2. Does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actual role performance differ with regard to each variable (age, experience and educational background)? 3. What relations exist between the recognition and their actual role performance and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 group with a high level and with a low level recognition influence their role performance? 159 teachers at 81 private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uwon were surveyed.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based on a measurement of the recognition of expertise in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ed by Hye-lin Kim in relation to the teachers' pole performance. Our role standards have been suggested independently by Saracho. Final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SPSS/PC+ program.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1) The recognition did not make a noticeable difference with regard to age, experience and education. 2) In the realm of role performance, ate and experience were a signigicant factor. 3) As a rule, it was shown tat there was intimate cor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and the performance. As teachers recognized well, they performed well, too. Naturally, the group of high recognition degree did better performance than that of low degre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