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주연-
dc.creator정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7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0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6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01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주위의 획일화된 건축문화 속에서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법을 모색하면서 출발한다. 획일화된 건축, 특히 우리와 가장 밀접하면서 삶의 척도를 나타내주는 주거공간은 근대화를 거치면서 무분별하고 개성과 특색을 무시하고 있으며 주변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하지 않는 양적 팽배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각 지역마다 동네마다의 개성과 특색을 무시하고 공장에서 찍어낸 듯한 모습의 우리 주거환경에 대해 반성을 하면서, 전통건축의 시각구조분석을 통해 해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가 과거의 기억을 더듬어 보는 것은 그 속에 미래를 위한 새로움이 숨어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새로움이란 지나간 것과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의미와 대립하는 중간지점에 존재하고 있으며 그것은 미래와 관련되어지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고전은 텍스트로서의 귀중한 가치를 지니게 된다. 한국 현대건축 이 방황하게 된 원인의 하나도, 타의적으로 유입된 서구근대건축이 이 시대를 지배하면서 우리 스스로 우리의 고전을 외면하거나 새로움으로 탄생시키지 못한 데에 그 원인이 있다고 본다. 특히, 이성우월주의적인 서구사상(기계론적 세계관)이 직관과 감성을 소중히 여겼던 한국인의 사고와 정서를 이성주의의 하위단계에 있거나 비합리적인 것으로 착각하는 편견 속에 머무르게 하면서, 직선적 사고의 편식증세를 초래하게 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우리의 전통에 대한 학문의 관심이 날로 고조되고 활성화 되어가고 있으나 좀더 다양한 접근방법이 요구시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다양한 접근 방법 중 전통건축의 독특한 시각구조의 흐름을 연구하여 오늘날 우리의 주거공간에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전통건축의 시각구조 분석을 통해 선조들의 자연과의 조화에 대한 방식과 자연스럽게 시선을 유도하는 시선축 형성에 의해 공간의 직선적 수직적 팽창의 방법이 아닌 수평확산의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는 실리만을 추구하는 기계적인 주거 공간에 주변환경, 인간 그리고 공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전통주거공간의 개념을 도입하여 앞으로 나아가 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첫째, 오늘날 우리의 주거건축 문화의 배경이 된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인 서구의 기계적 합리화공간의 문제점을 파악한다. 둘째, 우리주거 문화의 주체성과 미래 발전의 지표점이 될 수 있는 우리의 전통주거 공간을 돌아본다. 셋째, 전통건축공간은 물 흐르듯이 자연스럽게 사람의 시선을 유도하는 시각 구조적 특성을 갖는다. 이렇듯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공간의 흐름은 의도적으로 계획된 것으로서 그에 대한 시각적 요소와 그러한 시각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넷째, 그러한 시각구조 분석을 구체적인 사례분석을 통하여 패턴언어로 도출하여 응용 방법을 모색한다. 다섯째, 위의 과정에서 제시된 방법론을 적극 수용하여 현대의 주거공간에 적극 수용하여 현대의 주거공간에 적극 적용시켜 미래의 대안을 제시한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은 전통주거공간의 시각구조분석을 통해 의도적으로 계획된 공간의 흐름을 파악하여 현대 주거공간의 각 공간마다의 특색을 살리고 주변환경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실제적인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가진다.;Remembering our past lies in it, that is because newness exists in between the past and the meaning presently in progress, and it is related to the future. In that sense, classics are valuable as the test. One of the reasons why modern Korean architecture lost its way is that we failed to turn our classics into newness when the western architecture started to prevail. Especially, the western ideology(mechanical view of world) that emphasizes the superiority of reason depreciated Korean thoughts and emotions as the substep of rationalism and brought into the concentration of linear way of thinking. It is true that more various approaches are needed though interests in our traditional studies are activated.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a countermeasure for our living space by examining the flow of the unique visual structure of architecture. In this sense, this study develops as follows. First, this paper grasps the problem of mechanically rationalized space of the west unconditionally accepted and became the background of today's our living space culture. Second, it looks back on our traditional residential architecture that can be the indicative point of the subjectivity of our living space culture and the future development. Third, traditional architecture space has the visual characteristic that naturally draws viewer's eyes like the flow of water. This naturally composed flow of space is intentionally planned and it gropes for its visual elements and the methods of analyzing the visual structure. Fourth, it gropes for the application of visual language through the specific analysis of that visual structure. Fifth, it suggests a future countermeasure by actively accepting the methodology suggested as above and applying it to modem architecture of hous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1. 서론 =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연구방법 = 3 2. 건축공간에서의 지각과 시지각에 관한 고찰 = 4 2.1. 공간지각의 개념 = 4 2.2. 건축에서의 공간지각과 시지각 = 6 2.2.1. 공간지각과 빛, 시간 = 6 2.2.2. 수평과 수직 = 9 2.2.3. 공간의 상관작용 = 10 2.2.4. 전체와 부분 = 12 2.3. 전통건축의 시각요소 = 13 2.3.1. 선형요소 = 14 2.3.2. 평면요소 = 17 2.3.3. 볼륨요소 = 22 3. 전통건축공간에서의 시각구조분석과 공간구성 = 28 3.1. 시각구조 기본인자 = 28 3.1.1. 시점 = 28 3.1.2. 대상 = 29 3.1.3. 시각틀 = 29 3.1.4. 시선축 = 30 3.2. 시선축의 형성방법 = 31 3.3. 시선축과 조망의 형성 = 32 3.3.1. 시선축과 조망의 관계 = 32 3.3.2. 시각틀구성과 조망특성 = 34 3.4. 시각구조 사례분석 = 36 3.4.1. 진입과정에서의 시각구조 = 37 3.4.2. 사랑채의 시각구조 = 41 3.4.3. 공간사이의 시각적 연속성 = 46 3.5. 시각구조 분석에 의한 디자인 접근 방법 = 49 4. 전통건축 시각구조 분석에 의한 조형언어의 환경디자인 적용 = 61 4.1. 디자인 전제 = 61 4.1.1. 디자인 개요 및 목표 = 61 4.1.2. 한국 주거문화의 변화 및 문제점 = 62 4.1.3. 디자인 전개과정 = 66 4.2. 디자인 준비 조사 및 분석 단계 = 67 4.2.1. 거주자 요구 사항 분석 = 67 4.2.2. 대상지 분석 = 68 5. 디자인 계획 및 도출 단계 = 76 5.1. 디자인 계획 단계 = 76 5.1.1. 거주자가 요구하는 필요공간 및 이미지 수렴단계 = 76 5.1.2. 디자인 계획단계 = 80 5.2. 디자이닝 단계 = 83 5.3. 최종디자인 = 94 5.4. 종합 및 평가 = 106 6. 결론 = 107 참고문헌 = 109 ABSTRACT =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351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전통건축공간-
dc.subject시각구조 분석-
dc.subject환경디자인-
dc.subject모형사례-
dc.title전통건축공간의 시각구조 분석을 통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environmental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visual structure of traditional architecture space-
dc.format.pagex,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