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소영-
dc.creator이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7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0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6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016-
dc.description.abstract공간의 관찰자가 하나의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움직일 때는 알게 모르게 어떤 종류든 전이공간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전이공간의 범위를 정하는 일은 매우 어려운 일 중의 하나이다. 넓은 의미로는 우리가 환경이라 부르는 공간 그 자체를 인지할 수 있으며, 좁은 의미로는 공간의 내부까지 그 해석이 가능하다. 서구의 건축은 건물 안에서 내부공간이 분화됨으로서 구성되는 반면, 우리나라의 전통 건축에서는 많은 수의 건물들이 서로 집합됨으로써, 즉 건물들의 분화를 통해 하나의 전체를 구성하는 집합적 구성을 이룬다. 각 건물들은 실체인 내부공간 뿐 아니라 그들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외부공간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더욱 복합적인 집합을 이루게 된다. 인간의 행동은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자연히 건축물은 그 지역, 민족의 특유한 생활환경과 다양한 행동양식을 표현하며 가시화된다. 현대의 환경 디자인은 단위공간 내부만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경향에서 벗어나, 시간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서 관찰자의 움직임에 따른 다양한 공간 체험을 중시하고 있다. 이러한 관찰자의 움직임에 따른 다양한 공간 지각 및 체험은 공간의 구분과 함께 문화적으로 형성된 전이공간을 통해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이공간의 분석을 통하여 전통주택공간에서의 전이공간의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고, 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대 환경디자인에서의 접목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진행한다. 첫째, 공간구성에서 경계구조로서의 공간인식과 다양하게 구성된 공간의 연속적 요소로서 전이성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전이공간의 개념을 정리하고, 둘째, 공간 변화과정에서 전이의 체험을 일으키는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전이공간의 성격을 밝히며, 다양하게 나타나는 공간적 특성을 분류하며, 셋째, 그러한 분석결과를 가지고 전통주택에서의 전이공간 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며, 넷째, 연구의 종합으로 환경디자인에의 적용방안을 살피며, 도출한 특성들을 바탕으로 환경디자인에의 적용을 한다. 한국의 전통주택에서는 전이공간의 다양한 유형 몇 특성을 살펴볼 수 있는데, 특히 이들은 전통공간의 대표적 특성이라 할 수 있는 공간의 위계성과 유기적 구성을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자연과의 조화를 통한 인간적인 스케일로 고려되는 전통주택공간은 자연스러운 전이에 의해 공간이 구성되며, 하나의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연속적인 체험을 얻을 수 있다. 전통주택에서의 전이현상은 쉽게 인식하기가 어렵다. 완성도가 높게 변화하는 연속적 공간으로 이끌려 들어갈 경우, 그 완벽한 분위기 때문에 오히려 전이 현상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사이몬즈의 지적과 마찬가지로 전통공간에서의 전이란 너무나 자연스럽게 일어나며, 인위적인 조작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전통주택에서는 개개요소를 사용해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있으며, 공간의 배치는 결절점을 두어 시야의 차단과 공간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내부 공간적 외부공간, 적극적 공간과 소극적 공간, 대칭과 비대칭, 긴장과 이완이 반복되는 공간진입과 생동적 공간구성을 위주로 하는 공간의 개, 폐쇄도, 영역성의 확보 및 완충 역할, 연속적 공간체계와 위계성에 따른 공간감을 등을 그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조화, 발전시켜 현대 환경디자인의 요소로 활용할 때 우리는 바쁜 도시생활 속에서 전통주택에서와 같은 고적한 여유를 느낄 수 있다.;The recent Environment Design puts more regards on various space experiences following to a observer's movement with a concept of timing, rather than pursuing of quality improvement of each unit spaces. Those various space recognition and experiences are considered by the Transitional Space which has been formed by culture with classification of space. Regarding of this concept, we can find out various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al Space of Korean traditional space. Especially, this Transitional Space performs an important role forming an 'organic structure of space' and a 'hierarchy of space' that are considered as a typ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pace. In the recent structural space,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recognize the hierarchical regularity of space, rhythm and beat of space, and various space experiences by an observer's movement which we perceive in the traditional spaces. 'The traditional concept of Transitional Space has been fading slowly away with the physical boundary, and the value of existence and recognition of a located position are traced in the past history. This study includes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various expressional methods of Transitional Space which is reflected in the recent environment design, considering with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al Space in 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areas. According to this theoretical study, it is brought out that Transitional Space is formulated as a phenomenon of culture, and conceptual outline is analyzed by discussing of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Transitional Space from the viewpoint of time and space in order to reflect meaning and importance of Transitional Space in the Environment Desig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ivacy had been secured using each elements in the traditional residence, and the space positioning had secured an interception of visibility and a continuity of space by obtaining of nodes. Second, Transitional Space performs a cushioning role using a stylobate and stairs to be accustomed to mental balance in the process of entering a high-rised building due to the authority of high society residence, and shows hierarchy and continuity to lead to the settled atmosphere. Third, a territoriality is secured by emphasizing the approaching road, resulted from space-deviding with signing of outside boundary using simbols. Fourth, walls, gates and courtyards are used to connect and divide spaces, and comparing strong and weak point of space and giving changes of the atmosphere. I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transitional phenomenon is not easily recognized in the traditional residence. The transition in the traditional residence is generated very naturally and it is impossible to fabricate artificially. Simonds said,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a transitional phenomenon due to its perfect function and atmosphere once absorbed into the continuing space changed by high perfection. Through this process there was a chance to look into the various meanings and utilization possibility carried by transitional space in the environment design. Especially from the research of Korean traditional residence, the traditional space is confirmed with its superiority. Also it is recognized that traditional space is closely related to the organic structure of space and forming of hierarchy. Based on this study, more detailed and focused research and benchmarking would be needed on the Transitional Space for its theoretical develop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ⅹ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2. 전이공간의 개념 = 4 2.1. 전이와 전이성 = 4 2.1.1. 전이 = 4 2.1.2. 전이성 = 5 2.2. 전이공간의 정의 = 6 2.2.1. 심리적 측면에서의 전이공간 = 7 2.2.2. 기능적 측면에서의 전이공간 = 8 2.3. 전이공간의 기능 = 8 2.4. 전이공간의 구성요소 = 10 2.4.1. 심리적 전이요소 = 10 2.4.2. 물리적 전이요소 = 11 1) 물적(物的)요소 = 11 2) 단위 공간적 요소 = 12 2.5. 전이공간의 표현 특성 = 13 2.5.1. 위계성 (Hierarchy) = 13 2.5.2. 연속성 (Continuity Sequence) = 16 2.5.3. 영역성 (Territoriality) = 21 3. 전통 주택공간의 전이현상 특성 = 24 3.1. 전이의 전제조건 = 24 3.2. 전이차원 = 25 3.3. 전이활동 = 26 3.4. 구성요소로서의 전이점 = 27 3.4.1. 수평적 요소 = 28 3.4.2. 수직적 요소 - 계단 = 32 3.5. 전이현상에서의 체험 = 33 4. 전통 주택공간에서 나타나는 전이공간의 유형 분석 = 35 4.1. 전이공간 유형의 분류 = 35 4.1.1. 심리적 전이공간 = 35 4.1.2. 물리적 전이공간 = 35 4.2. 유형별 특성 분석 = 39 4.2.1. 심리적 전이공간 = 39 4.2.2. 물리적 전이공간 = 40 4.3. 한국전통주택의 전이공간 분석에 의한 다자인 접근방법 = 47 5. 디자인 프로그래밍 = 49 5.1. 디자인 전제 및 목적 = 49 5.2. 대상지 연구 = 49 5.3. 대상공간의 프로그래밍 = 62 6. 디자이닝 단계 = 64 6.1. 디자인 계획단계 = 64 6.2. 디자인 도출단계 = 67 6.3. 디자인 적용 및 공간계획 = 75 6.4. 최종 디자인 = 89 6.5. 종합 및 평가 = 100 7. 결론 = 102 참고문헌 = 104 Abstract =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881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한국전통주택-
dc.subject전이공간-
dc.subject환경디자인-
dc.subjectEnvironmental design-
dc.title한국전통주택의 전이공간 분석에 의한 환경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environmental design-
dc.format.pagexi,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