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영옥-
dc.creator임영옥-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2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6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268-
dc.description.abstractIndustrial development of the 20th century gave us material abundant but, now we are facing the very important problem for the human being that environment pollution caused by neglecting the problem of the humans, and environment. The environment problems of this contury's(Korea's) are also getting worse by the consentration of business activities and population to cities. The city environmental problem is getting worsed caused by the lack of the investment for the essential infrastructure as like the sewage managing facility, the waste managing facity and the land acceptance of city that the environmental element is not properly considered. And also, lack of green space and fixed ordered buildings made city terrible and desolate as a dwelling of life. These problems caused by inaccurate cognition of the nature through mechanical paradigm now, parading's shift is essential to solve the environmental crisis. An ecological view of the world is the only answer for the crisis of the humans and this para야gm's shift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whole world as the one living things and the origin of the humans that should be harmonized not be conquered is needed before losing the balance of the nature. A synthesized and included plan as the construction of the environmental-harmonized dwellings or ecological reorganization of the former city or land development is being paid attention. Therefore a requirement of an evolution for the concrete infra-technique to develop the new city named as 'ecological city', 'green city' is being increased As the environment pollution is getting serious there are some trials of 'green design' as one of ways to make maintained-environment and also there are some citizen-groups and institutes for the environment and citizen's notion about the environment is now being changed. On this study the space adapted 'green system' one of the ecological paradigms will be planned to design the display-space adapted ecological view - dynamically changed - of the world that accept the notion of the whole world as the one living things before losing the balance of the nature. When Sangam-dong was decided that the 2002 Worldcup Stadium will be settled, Seoul city pronounced the application way as part of the 'Sangam New Millenium Plan' and that is one the practical use of Nangi-do dust managing space and settled to organize some part of that space as ecological park In this serious environment problem organizing the nature-ecological park in 'Nangi-do dust managing space' that the symbol of the serions environment problem is the very right and pertinent. And the facilities that draw out the gas from Nangi-do and supply it to Map0 area and Worldcup Stadium for heating is the best way to manage environment problem until now. But now when we understand the seriousness of the environment problem and to seek solution, I think the former way is limited. And if the architectural space that adapted the 'Green System' could carry out the function as ecological-experience space I consider the positive function as the education facilities that the viewer could be directly experienced and I think it is more effective to transmit the sense to next generation. In the first chapter, the direction and range and direction of this study will be proposed. In the second chapter, the limit of mechanical paradigm that caused environment problem is will be indicated and examine the ecological paradigm that the understanding the whole earth as the one living things and the 'Green Design' as the new alternative proposal. In the third chapter, as the theoretical-examined step for the display-space design adapted 'Green System', first the approaching method that accepted the na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physical application plan as the principle of the 'Green-System' will be studied. The fourth chapter is the former preparation step for the practical plan of space design. And the approaching method of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and historical meaning through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Nangi-do will be studied. In the fifth chapter, the example of the display-surrounding model that based on the second, the third, the fourth chapter and adapted the 'Green-System' will be suggested and check the propriety and the shortage of this study through the synthesis and the evaluation of the examples.;20세기 첨단화로 많은 산업, 공업 시설들이 발달하고 그로 인해 우리는 물질적 풍요를 누리고 있으나 그에 따른 인간, 환경 문제의 계속적인 방관으로 현재 우리는 환경 오염이라는 인류 공동의 중대한 문제를 안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환경문제도 본격적인 경제 개발로 도시로의 경제활동과 인구집중이 초래되면서 악화되기 시작하였다. 급격한 도시화 과정에서 환경적인 요소가 적절히 고려되지 못한 도시토지수용과 하수처리장, 폐기물 처리장 등 도시 환경관리를 위해 필요한 하부구조에 대한 투자의 부족으로 도시환경 문제는 날로 심화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자연 녹지가 부족하고 무미건조한 규격화된 건축물만이 들어서 있는 삶의 터전으로서도 열악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기계론적 패러다임에 의한 그릇된 자연 인식에 의해 대두된 것으로 현재 대두된 환경위기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자연 생태계가 더 이상의 균형을 잃기 전에 지구 전체를 하나의 생명체로 이해하며 자연을 정복의 대상이 아니라 인간의 근원적 모체이며 조화를 찾아야 할 대상으로 이해하는 생태학적 세계관만이 인류가 직면한 위기의 해결책이라고 볼 수 있다. 수질 오염이나 대기오염 문제의 개선과 같이 기초적이고 단편적인 환경오염문제 해결 차원을 넘어 환경 친화적인 주거 단지의 건설이나 기존 도시의 생태적 재구성 또는 환경 보전을 고려한 국토의 개발과 같이 종합적이며 포괄적인 환경문제 대응 방안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생태도시', '녹색도시' 등의 이름으로 제시되고 있는 새로운 도시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기반 기술의 개발 요구가 증대되기 시작했다. 환경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지속 가능한 환경을 만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그린 디자인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고 환경 단체나 연구 시설들이 많이 생기는 등 활발한 움직임과 함께 일반 시민들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도 바뀌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구의 생태계가 더 이상의 균형을 잃기 전에 지구 전체를 하나의 유기적 환경으로 보고 변화하는 역동성을 인정하는 생태적 세계관을 적용해 전시 공간을 디자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일환인 GREEN-SYSTEM을 적용해 공간을 계획하고자 한다. 2002 월드컵 경기장 설립지로 상암동이 결정되면서 '상암 새 천년 계획'의 일환으로 서울시에서는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 활용방안을 발표하고 일부를 생태공원으로 조성하기로 결정했다. 오늘날과 같이 환경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이러한 환경문제에 대한 상징적인 장소인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에 환경 교육의 장이 될 수 있는 자연생태공원이 조성됨은 참으로 시기에 적합하고 바람직한 일이며 매립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추출해 마포 지역 및 월드컵, 재활용하여 경기장치 난방을 공급하는 열 생산 시설은 현재의 상황에서 가장 친환경적 문제 해결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가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해결은 일차적인 것이며 유한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본 연구자는 GREEN-SYSTEM을 적용된 건축 공간이 생태체험 공간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면 단순한 환경보전의 차원을 넘어서 적극적인 교육시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관람자에게 직접적인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후세에 그 의미를 더 효과적으로 전할 수 있다고 보고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범위 및 방향에 대하여 제시한다. 2장에서는 현대 건축에 있어서 환경 문제를 야기한 기계론적 패러다임의 한계를 지적하고 지구 전체를 하나의 생명체로 이해하는 생태학적 패러다임과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는 생태학적 환경으로서의 그린 디자인에 대해 고찰해 본다. 3장에서는 Green-System을 적용한 전시공간 디자인을 위한 이론적 고찰 단계로 먼저 자연의 특성을 도입한 디자인 접근 방법과 Green-System 원리에 의한 물리적 적용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사례조사를 통해 디자인의 틀을 잡는다. 4장에서는 실질적인 공간계획을 위한 사전 준비단계로 난지도의 변화 과정을 통해 역사적 의미를 고찰하고 대상지 현황분석을 통해 디자인 접근 방법을 모색한다. 5 장에서는 이상에서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2,3,4장의 내용을 근거로 Green-System을 적용한 전시환경 모형 사례를 제시하고 사례에 대한 종합 및 평가를 통해 본 연구의 타당성을 밝히고 미비점을 보완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Ⅱ. GREEN-SYSTEM DESIGN 개념의 이론적 배경 = 4 A. 기계론적 패러다임과 환경문제 = 4 B. 생태학적 패러다임과 새로운 디자인 사고 = 7 1. 문명의 전환점으로서 생태학적 패러다임 = 7 2. 새로운 디자인 사고 = 9 C. 미래의 대안으로서의그린 빌딩 = 13 Ⅲ. GREEN-SYSTEM을 적용한 디자인 적용 방안 = 16 A. 자연의 특성을 도입한 디자인 접근 방법 = 16 1. 생물체계의 유추나 모방적 해석 = 16 2. 테크놀로지(Technology)의 도입 = 18 3. 유기체나 생태적 요소의 직설적 도입 = 21 B. GREEN-DESIGN 원리에 의한 물리적 적용방안 = 23 1. 자연 생태계 보존과 생태적 외부환경 = 23 2. 자원 · 에너지 수요의 절감 = 29 3. 재활용 소재/생태적 건축 소재의 적용 = 33 4. 에너지 및 물질 순환형 시스템 구축 = 35 c. 사례 조사 = 39 1. 오사카 쯔루미(Tsurumi) 공원 = 39 2. 시드니 올림필 파크 = 41 Ⅳ. 대상지역 분석과 디자인 프로그래밍 = 43 A. 디자인의 설계 = 43 1. 디자인 개요 및 목적 = 43 2. 디자인 전개 과정 = 45 B. 대상지역 분석 = 46 1. 부지의 선정 및 위치 = 46 2. 대상지의 역사적 의미 = 48 3. 대상지 환경 분석 = 50 4. 대상건물(시설) 분석 = 55 C. 디자인 범위 및 계획 = 56 Ⅴ. 전시 환경 디자인 = 57 A. 디자인 접근 단계 = 57 1. 공간 구성 기본 계획 = 57 2. 디자인 패턴언어 도출 = 59 B. 디자인 적용 단계 = 64 1. 공간 배치 및 평면 디자인 = 64 2. 각 공간의 Green-system 적용 방안 = 69 3. 최종 디자인 = 82 C. 종합 및 평가 = 101 Ⅵ. 결론 = 103 ABSTRACT =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498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Green-Sysrem-
dc.subject환경디자인-
dc.subject모형사례-
dc.subject난지도-
dc.subject생태체험 공간-
dc.titleGreen-System을 적용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난지도 생태체험 공간 디자인-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odel of environment of the design model adapted Green-Sysrem : space design for ecological experience of the 'Nangi-do'-
dc.format.pageix, 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