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승희-
dc.creator이승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2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6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265-
dc.description.abstract세계 각 국의 패션산업은 유행이라는 큰 흐름을 통해 공통적 양상을 띠고 있다. 그러나 유행의 특성상 동일한 패션 경향을 보이고 있는 반면, 세계는 각 국의 역사적 자산을 살려 고유의 아름다움을 패션을 통해 표현하고, 그 차별화된 패션세계를 세계에 알리고자 하는 노력을 꾸준히 계속하고 있다. 패션을 통해서 보여주는 한 국가의 이미지가 세계에 깊은 인상을 심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국적이고 새로운 시각적 자극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호응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학자 야나기 무네요시는 그의 저서에서 '참다운 창조란 전통을 부정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전통을 긍정하고 그 위에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우리의 전통적 이미지를 담아내는 디자인을 창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역사적 산물인 전통 공예의 조형성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어 왔다. 도자의 형태를 이용한 드레스, 조각보의 패턴을 이용한 디자인, 단청의 문양과 색채를 응용한 디자인, 자수공예의 문양을 부분적으로 이용한 디자인 등 한국적인 아름다움이 물씬 풍기는 독특한 디자인의 세계를 보여 주었다. 그리고 계속해서 그동안 응용되지 않았던 한국 고유의 공예 기법을 활용하거나 한국 고유의 색상, 염색법, 그리고 소재 등을 이용하여 보편적이고도 세계적인 디자인으로 이끌도록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색채, 문양, 형태가 조화를 이루는 오색전지공예품은 조선 후기에 다양하게 제작되었던 공예로서 아름다움을 잘 드러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활용범위도 넓으며 모든 사람이 따라하기 쉽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한국 고유의 고운 색상을 사용하고 한국 고유의 다양한 문양을 사용한다는 점으로 볼 때 한국 전통의 미를 살리기에 손색이 없으며 이를 의상에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해 볼 수 있다. 세계인의 보편적인 공감대를 형성하는 디자인을 하는 한편 한국의 미를 표현하기 위해 그동안 의상에 도입되지 않은 오색전지공예의 기법을 연구하고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오색전지공예의 장점을 알리는 한편 전통을 현대적으로 승화하는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시키기 위해 오색 전지 공예의 기법을 다양하고도 차별적으로 적용시키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오색전지공예에 관한 이론적 배경의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색전지공예가 전성기를 이루었던 조선 후기의 시대적 배경을 실학사상의 부흥, 민중세력의 성장, 민영수공업의 발달,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이 4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둘째, 조선후기에 만들어진 공예에 드러나는 공통적인 미적 특징을 소박미, 단순미, 실용미, 장식미로 4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이 오색전지공예에 어떠한 양상으로 발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오색전지공예의 유래와 종류, 특징을 문헌 조사를 통해 알아보는 한편, 박물관, 개인 소장의 형태로 현존하는 오색전지공예의 유물 50여점을 통하여 오색전지공예의 사용된 색상, 문양, 형태, 기법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오색전지공예품의 조형성을 응용한 의상디자인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전에 전통공예품의 조형성을 응용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던 학계, 업계에 활동중인 디자이너의 작품들을 살펴보는 한편, 의상 제작에 도입 가능한 오색전지공예의 기법을 분류,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오색전지공예에 사용된 색상, 기법, 문양, 형태적 특징을 활용하여 총 8점의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색전지공예품에 주로 사용된 적, 청, 흑, 백, 황의 5가지 색상 이외에 2차색, 3차색을 사용하되 블랙을 주조로 하여 한국적이면서도 세련된 전통미를 표현할 수 있었다. 둘째, 오색전지공예품에 사용된 문양을 복식에 활용하기 위해서 오색전지기법-아플리케와 패치워크, 양각기법-발포염과 스티치, 음각기법-, cut-work, open-work의 기법을 사용하였다. 셋째, 오색전지공예의 주재료인 한지를 대신하여 의상에 컷워크 기법을 사용하기 위해서 도입한 소재로는 우피와 뉴스타 원단이 있었으며, 올이 풀리는 소재인 실크는 인두로 녹여내어 오색전지공예의 오리는 기법을 재현하는 동시에 문자문, 모란문, 초화문의 한국의 문양을 섬세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넷째, 오색전지공예품의 형태적 특성은 고어드 스커트와 원피스드레스의 수평분할의 방법으로 표현하였고 단순미라는 미적 특성을 드러낼 수 있었다. 다섯째, 오색전지공예의 색채, 문양, 형태의 조형적 특징을 의상디자인에 접목시킬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독창적이면서 한국적인 미를 나타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오색전지공예는 한국적인 미적 특징을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조형적인 측면에서도 색채, 문양, 형태가 아름답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 예술품이기 때문에 복식을 통해 응용하면 독창적이면서도 한국적인 미를 발현시킬 수 있는 훌륭한 소재이다. 앞으로도 오색전지공예를 공예의 한 분야로서만 인식할 것이 아니라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훌륭한 예술품이라는 의식을 갖고 복식 디자인에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한다면 새로운 방법으로 한국적인 미를 표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매개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Though so many studies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inform people of the own way of Korean traditional designs, due to preponderant emphasis on formativeness aspects of design, the limitations cannot help but being reached. Now, we need to take use either of Korean traditional craft, which has not been practical before, or of Korean traditional colors, dying technique and materials to take them out into international idea of design. The Five-Color Paper Craft Arts, which are created through well-harmonized in lines, colors & shapes, has merits not only to reflect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al design, but also to widen the boundary and for people who never has had before easily to get to know it. This can easily stand comparison in a way of the fine colors and patterns from Korean tradition and can use these all into customs in various ways as they are. Supposed that rather than to spends thousands of time to make an forced design, it would be better to converse the idea to create the universe and general feeling on design and to evoke peoples sympathy as well as to take use of Korean paper craft arts technique, which has never been used before, to put the beauty of Korea into design. Thus, this study is to inspire people to adjust the diversities and differences of Five-color Paper Craft Arts technique so that let people have the change to know the beauty of it as well as to sublimate the tradition into modem art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bserved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the golden age of the Five-color Paper Craft Arts and analyzed it through 4 kinds of aspects, Revival of practical science, Growth of peoples power, development of privately -managed handicraft manufacturing and development of goods currency economy. Second, sort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art crafts in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into the beauty of the unsophisticated, simplicity, practicality and decorativeness and observed in what way those senses of beauty are revealed into Five-color Paper Craft Arts. Third, found out the origi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ive-color Paper Craft Arts as well as collected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on colors, patterns, techniques and so on. used in Five-color Paper Craft Arts. Moreover searched the possibility of the dress designs which apply the formativeness of Five-color Paper Craft Arts in the academic world and the works of active designers in this field.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8 pieces of clothes are produced, which are being applied the colors, techniques, pattern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ive-color Paper Craft Arts. In the end, reached the conclusion following; First, the golden age for Five-color Paper Craft Arts is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and these historical backgrounds (Revival of practical science, Growth of peoples power, development of privately -managed handicraft manufacturing and development of goods currency economy) put the spurs to development of this craft arts. Second, efficiently revealed the beauty of the unsophisticated, simplicity, practicality and decorativeness in Five-color Paper Craft Arts, which are general characteristics in craft arts in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Third, recognized not only the originality of colors, patterns and techniques used in Five-color Paper Craft Arts but also easy to learn to make it. Plus, well-harmonized works with lines , colors and shapes. Fourth, proved that various colors and patters, which are formative characters in Five-color Paper Craft Arts, can be applied into dress design by patch-work, quilting, open-work and so on. By these ways, the creativeness of designs and the own beauty of Korea can be come out. As referred above all, Five-color Paper Craft Arts comprehends not only the own beauty of Korea but also well-harmonized beauty with lines, colors and shapes in the view of formativeness, so only if this is put to practical use, it would be the one of wonderful ways to express the own beauty of Korea, which is very creative, through dress designs. From now on, not only took this Five-color Paper Craft Arts just as one other simple way of the craft arts but also fully recognized it as one of superb inherited arts. So applying these various and creative ways to dress design in tremendous different ways, Five-color Paper Craft Arts will be the most successful and newly means, which has never done before, to express the native beauty of Korea in all likeliho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조선시대 후기의 공예 = 3 1. 조선시대 후기의 시대배경 = 3 2. 조선시대 후기 공예의 미적 특성 = 7 B. 오색전지공예에 관한 고찰 = 12 1. 오색전지공예의 개념 = 12 2. 오색전지공예의 특성 = 19 3. 오색전지공예의 조형적 분석 = 20 3.1 색채 및 배색의 특성 = 22 3.2 문양 = 25 3.3 형태 = 30 3.4 기법 = 31 4. 전통공예의 조형성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사례 = 38 Ⅵ. 작품제작 = 46 A. 제작 의도 및 방법 = 46 B. 작품 해설 = 49 Ⅴ. 결론 및 제언 = 96 참고문헌 = 98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694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오색 전지-
dc.subject공예품-
dc.subject조형성-
dc.subject의상디자인-
dc.title오색 전지 공예품의 조형성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fashion design reflected aesthetic value of the formativeness of Five-color pager craft Arts-
dc.format.pagexi,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nbsp-
dc.identifier.major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