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수경-
dc.creator이수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3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9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6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915-
dc.description.abstractApart from the conventional plane expression style in the past, costume today is changed into a new dimension utilizing a cubic or environmental style of expression. Costume design applying unit form can be said to be a way of work to create a wide variety in compliance with diversified different formative perspectives. The form out of integration or disposition betrays a specific signification, along with unlimited possibility of formative expression. Expression by a unit form may be considered to be a creature, not a representation in a similar form. This study made with emphasis upon the structure of unit form as its motive an attempt to express the repetition of unit form using an attaching technique by taking leather as its material of expression that is elastic and with ease in transformation and integration and suitable for expressing modern images, for the purpose of effective formative expression.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puts its principal objective on suggesting new materials and silhouettes in dress by inquiring into via literature into what expressing potentials may arise from the effect of visual expression, the expansion of expressing images, and form. An investigation was made of the concept of unit form and its form of integration as its theoretical basis and background, by means of literature and records, and then a synthetic review was conducted by sampling out works of art and dress designs by different expression styles of formative factors of unit form. Concomitantly with this made through literature, work photos sampled out were an exemplif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pplied in modern dress, along with a review of costumes using leather fitted as a formative expression material for dress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the image of unit form. On the basis of this, eight works were created introducing into dress the specific texture expression and form of leather and metal ornament in combination of cutting and attaching techniques. The resultan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formativeness of unit form is characterized by having an organic integration of that it was a motive suitable for expressing silhouettes in dress and texture. Second, it was found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the applied works, that many factors had recourse to reproduction and application for the most part on a plane level, and that formative consciousness was not greatly emphasized for a cubic surface effect as a material for dress. Third, the cutting and attaching techniques were us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visual images of unit form to dress led to pursue particular formativeness by enabling the expression of dress for special texture. Fourth, the ornamental application of leather and metal made it feasible to effectively present cubic expression and its sense of space in costume. This study did not,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formativeness of unit form in dress, use varied materials but was confined to limited materials. It is hoped that further multangular studies be conducted of unit form with new materials. Although this study was limited merely to handicraft techniques,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be conducted of texture, materials, and forms of unit form by which mass production can be realized in on the basis of the techniques thus accumulated.;현대의상디자인의 흐름은 과거의 어느 때보다도 더 활기찬 의식을 드러내면서 새롭고 경이로운 표현을 나타내기 시작했고, 여기에는 기존의 조형예술이 지녔던 개념, 가치 등에 대한 변모와 영역의 확장이 동반되었다. 조형표현의 하나의 방법으로서 단위형태는 자유로운 형태의 변형과 크기의 확대, 그 결합 원리를 이용한 다양한 변화가 용이하다는 데에 그 가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효율적인 조형표현을 위하여 기하학적인 단위형태의 결합을 주된 모티브로 하였고, 단위형태가 그 결합되어지는 각각의 단위형태의 유형 및 그들간의 결합원리 등에 의하여 낼 수 있는 다양한 결합효과와, 결합원리들 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 이를 의상디자인에 응용함으로써 단위형태가 갖는 표현 이미지를 확대하고 의상디자인의 표현기법을 제안함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이론적 배경으로서 단위형태의 결합이 갖는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응용하기 위하여 단위형태의 정의와 단위형태가 갖고 있는 특성, 단위형태의 결합원리와 그에 따른 결합효과에 관해 문헌을 통해 알아보았고, 단위형태의 조형적 요소의 표현양상에 따른 조형작품 및 의상디자인을 참고자료로 표집하여 종합 검토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실제적인 의상디자인에 응용하기 위하여 금속, 가죽 등을 사용하여 작품 8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형태는 반복, 유사 등의 결함원리를 통하여, 통일감, 변화감 등의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는 모티브임을 알았다. 둘째, 단위형태를 응용한 작품을 검토하면서 단위형태는 2차원적인 평면디자인의 영역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3차원적인 디자인을 포함한 여러가지 디자인들에서도 사용되어지는 근본적인 구성체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단위형태의 시각적 이미지를 의상에 응용함에 있어서, 가족소재와 금속장식은 단위형태의 결합을 기능적으로 용이하게 하며, 현대적 이미지 창출에 효과적인 소재임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단위형태의 결합의 조형성을 의상으로 표현함에 있어, 가죽소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국한하여 연구하였지만, 여러 소재를 사용하여 다양한 질감의 단위형태를 제작할 수 있다. 단위형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기하학적인 단순형태의 반복적인 결합을 응용하여 디자인되어 왔으나, 그 단위형태들을 보다 다양한 형태로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참신하고, 독특한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내용 및 방법 = 2 2. 이론적 배경 = 3 2.1 단위형태 = 3 2.1.1 단위형태의 일반적고찰 = 3 2.1.2 단위형태의 결합원리 = 9 2.1.3 단위형태의 결합효과 = 22 2.2 단위형태의 결합원리를 응용한 디자인 = 31 2.2.1 단위형태의 결합원리를 응용한 현대디자인 = 31 2.2.2 단위형태의 결합원리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 47 3. 작품제작 = 64 3.1 제작의도 및 방법 = 64 3.2 작품 및 해설 = 66 4. 결론 및 제언 = 105 참고문헌 = 107 ABSTRACT =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5451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단위형태-
dc.subject결합원리-
dc.subject의상디자인-
dc.title단위형태의 결합원리를 응용한 의상디자인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11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nbsp-
dc.identifier.major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