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7 Download: 0

朝鮮時代 初學敎材에 나타난 自然敎育 內容 硏究

Title
朝鮮時代 初學敎材에 나타난 自然敎育 內容 硏究
Other Titles
On the Contents of Na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Text Books of Chosen Dynasty
Authors
崔貞玉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초등교육분야
Keywords
조선시대초학교재자연교육Natural Education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Eight versions of the elementary education texts, used in the so called 'Sheodang' in the Chosen Dynasty Age, --- Chunchamun, Whoonmongchahoi, Shinjeungyuihap, Aheuiwonrham, Ahakpyon, Kyaemongpyon, Iphakyuishul, and Hakeochip -- were analyzed to extract the contents of nature education. The range of nature education of that time and ancestors' view of nature were observed. Some important points which may contribute to our orientation concerned about the nature education could be found out as follows: 1. The range of the nature education in the Chosen Dynasty Age appears divisible into astronomy, geography, plant life, animal life, and human body. 2. Contents about astronomical and atmospheric phenomena were referred to in detail in every text. This may mean that natural phenomena influenced greatly in the society of that time. 3. Every text excluding the Aheuiwonrham paid a great emphasis to the content of plant and animal lives. 4. All the texts dealt with contents about nature, but not failing in educating morality and ethics. 5. In the Whoonmongchahoi, Shinjeungyuihap and Ahakpyon, "nature" was explained only by the Chinese Character, which came under conformity with the actual appearance and phenomenon. 6. In the Aheuiwonnham, Kyaemongpyon and Hakeochip , natural phenomena were interpreted upon the reference frames of Yin & Yang, Five Elements, and Natural Passion or the life force. 7. And, nature (cosmos, plants and animals) was regarded and interpreted in the same light with a human being. When synthesizing these analytical outcomes, ancestors' practices of nature education focused on a harmony between man and nature could be viewed suggesting a potential key to solve the problem complex involved in this contemporary industrial society.;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初學교재의 내용을 분석하여 자연교육 내용을 추출하고 자연교육의 범위와 선조들의 자연관을 살펴보며 앞으로 자연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찾아보는데 있다. 조선시대 서당에서 사용한 초학교재 「千字文」, 「訓蒙字會」, 「新增類合」, 「아희원람」, 「兒學編 」, 「啓蒙篇」, 「入學類說」, 「學語集」등 8편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선시대 자연교육의 범주는 天文, 地理, 植物, 動物, 身體 등의 영역으로 나뉘어 진다. 2. 모든 교재에 천문기상에 관한 내용이 자세히 언급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자연현상이 그 당시의 농경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3.「아희원람」을 제외한 모든 교재에서 식물과 동물의 내용에 큰 비중을 두었다. 4. 모든 교재가 자연에 관한 내용을 다루면서도 人倫에 대한 내용도 빠뜨리지 않았다. 5. 「訓蒙字會」, 「新增類合」, 「兒學編」에는 실제 형상과 현상에 부합되는 實字만으로 자연을 설명하고 있다. 6. 「아희원람」, 「啓蒙篇」, 「學語集」에는 자연현상을 陰陽, 五行氣를 틀로 하여 설명하고 있다. 7. 自然(우주 식물 동물)을 인간과 同一視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인간과 자연의 조화에 초점을 두었던 선조들의 자연교육은 현대의 자연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으며 인간도 자연의 일부라고 본 조화있는 자연관은 현대 산업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 해결을 위한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