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4 Download: 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교육 방안

Title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교육 방안
Other Titles
(A) Study for the Teaching of Culture in the Korean Teaching as a Foreign Language
Authors
沈旼娥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Keywords
한국어교육문화교육외국어교육언어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행해져야 할 문화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오늘날 외국어 교육의 목표가 언어 형태에 대한 지식 습득이 아닌 실제 상황에 맞는 언어사용이라는 의사소통능력 향상으로 변화함에 따라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 교육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어 교육은 문법이나 구조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한국어 교재에 따라 진행되고 있으며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한국 문화 교육은 교사 중심의 일부 문화적 현상의 제시에 그치고 있어서 한국 문화에 대한 본질적인 접근과는 거리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해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수업에 있어서 행해져야 할 한국 문화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화 교육은 첫째, 보다 다양한 영역의 한국 문화 내용이 소재로 다루어져야 하며, 둘째, 단계마다 다루어져야 할 문화 목록을 만들어 이를 교재에 반영시켜 체계적인 문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셋째, 교재에 그림이나 현실감 있는 사진 등을 많이 실어 학습자가 한국 문화에 대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한국어 수업에서의 문화 교육은 첫째, 언어와 문화가 통합된 수업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언어와 문화의 통합교육은 문화적으로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 속에서 언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화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과정 속에서 필요한 언어 지식을 학습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언어 교육에 대한 의욕을 제공해 준다. 둘째, 학습자가 직접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문화 교육 활동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즉 문화 교육은 특이한 문화적 현상에 대한 주입이 아닌 실제로 학습자가 경험을 통해서 느낄 수 있는 과정 중심의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논의에 맞추어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문화 교육을 위한 수업의 구성형식과 그것에 따른 수업모형의 실례를 작성해 보고자 하며 수업 진행시 보다 심화된 문화 교육을 위한 문화 교육 활동의 실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지난 50년대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기관이 처음 세워진 이래 한국어 교육은 국내외에서 꾸준히 발전해 왔다. 특히 최근에는 한국의 국력 신장과 함께 한국어의 위상이 높아졌으며 그에 따라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인도 급증하였다. 그러므로 지금은 어느때 보다도 한국어 교육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과 실험이 요구되는 때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논문이 효과적인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work out a plan for the teaching of culture in the Korean teaching. As the goal of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day is not the mere acquisition of knowledge about the forms of language but rather shifting to the improvement in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a situationally practicable language, the importance of teaching culture in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getting increased as time goes on. But, the Korean teaching presently being practiced follows the textbooks for the Korean teaching which center around grammar structure and the teaching of Korean culture conducted under the umbrella of such a Korean teaching is only limited to the presentation of the teachers-oriented bits of cultural phenomena. Therefore, this is somewhat a way off from the intrinsic approach to the Korean culture. Accordingly,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the teaching of Korean culture, which shall be pursued in the Korean teaching textbooks and the Korean class for more effective teaching of Korean culture. That is, the teaching of culture in the Korean teaching textbooks; firstly, shall deal with more various aspects of Korean culture as the subject matters; secondly, shall ensure a systematic teaching of culture by reflecting on the teaching textbooks the inventory of cultures prepared for being dealt with at every stages; and, thirdly, shall make it easier to approach Korean culture for the learners by putting in the teaching textbooks a wealth of pictures, photos with the sense of the real, or the like. Also, the teaching of culture in Korean class shall firstly be conducted in a way of teaching integrating culture with language. Such an integrated teaching of language and culture will not only ensure an improvement of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in a cultural variety of communication, but also provide the learners with enthusiasm of the language education. Secondly, activity for the teaching of culture shall be given the top priority so that the learners by themselves can experience and understand Korean culture. Indeed, it is to say that the teaching of culture shall be a course-oriented teaching which will make the learners get feelings through actual experiences, other than just a cramming method of cultural phenomena with pecuriarity. By doing so, it is intended in line with this discussion to form the framework of teaching for the cultural teaching which is practicable in the actual Korean classroom, and further to work out its concomitant example of teaching model. It is also intended to suggest actual examples of the teaching activities of culture for more deepened teaching of culture than the classroom. Since the end of the nineteen-fifties when an institute of Korean teaching for foreiners was first established, the teaching program of Korean language has been showing a steady expansion both at home and abroad. Particularly, we see the fact that the recent build-up of Korean national strength enhanced the prestige of Korean language and as a result the population of foreigners wanting to learn Korean showed a rapid increase. Therefore, now is the time when the in-depth study and experiment will be required than ever before. At this point of time this paper is hopefully able to serve as a plan for the effective teaching of Korean cul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