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인경-
dc.creator서인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8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1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5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183-
dc.description.abstract대량 생산에 의해 획일화 되어가는 현대인의 삶 속에서 패션산업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다품종 소량 생산의 감각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 복식의 특징은 실용성만을 강조하여 대량으로 생산되어오던 과거의 경향과는 달리 일반 조형 예술의 특성을 담고, 새로운 기법과 신 소재개발에 의해 그 독창성이 강조되고 있다. 일반 예술의 특성을 지닌 현대 복식의 조형성과 모던(Modern)한 감각의 단순미를 선호하며, 피트 라인(Fit Line)으로 바디(Body)를 강조하거나 소재에 의한 시드 룩(See Through Look)의 현대 패션 경향은 이집트 상형 문자나 기하학적 형태의 간결성을 통한 단순미와 인체를 통한 조형예술의 특성을 지닌 이집트의 복식경향, 이집트 파피루스에 기록된 바디 라인의 강조 등에서 현대 복식과 이집트 복식의 공통된 미적 성향을 근거로 이집트 복식을 연구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집트 복식을 통하여 한 시대의 예술과 복식의 관계에 있어서 인체를 매체로 표현된 그 시대의 미 의식과 조형성을 고찰 하기 위함 이다. 이집트 복식의 연구에 앞서 이집트의 문화적 예술적 성향을 고찰하고, 남성 복식과 여성 복식의 종류에 따른 분류로 그 형태를 파악 하여, 예술과 복식간의 상호 관계성의 예를 제시하였으며, 이집트 예술의 디자인적 모티브와 색상 분석, 이집트 복식의 소재 연구를 통하여 현대 복식에 나타난 이집트 이미지의 의상을 고찰한다. 그 이해를 돕기위하여 이집트 예술의미 의식과 조형성을 살린 작품 제작을 연구 내용으로 한다. 연구 방법에 있어서는 이집트 복식연구의 자료 선정을 고대 이집트 복식의 부재(不在)로 루브르, 카이로, 이집트, 대 영 박물관 등에 소장된 다양한 예술 쟝르속에 담겨진 복식에 관한 기록과 피라밋 건축을 자료로한 고대 복식사를 바탕으로 한다. 예술 쟝르 속에서도 조각의 많은 작품들을 다루었는데 그러한 이유는 이집트예술의 왜곡(歪曲)된 평면적 표현에 의해서 복식의 해석이 난해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복식사적 배경을 종교와 정치 그리고 건축, 조각, 회화에 이르기 까지 그들의 예술 쟝르에서 고찰해 보고, 이에 기록된 복식사적 특징과 그 소재를 파악하여 예술과 복식간의 일치된 경향을 연구한다. 또 이집트 예술의 디자인적 모티브와 색상 분석, 이집트 복식의 소재 파악을 통하여 현대 복식에 나타난 이집트 이미지의 의상을 고찰한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 그들 고유의 특성을 지닌 디자인적 모티브를 선택하여 이를 현대적 감각과 함께 재 창조해 본다. 디자인적 모티브의 선택에 있어서 피라밋 건축 과 조각품, 회화나 벽화로 삼은것은 피라밋 건축이 갖는 그 규모 와 특수한 모티브의 지속이 전형적인 이집트의 상징물이며, 조각품 과 회화나 벽화는 그들 고유의 생활양식이 담긴 그들의 미적 성향이 기록된 동시에 이집트 복식의 역사적 산물이기 때문이다. 작품제작에 있어서 소재선택은 이집트 복식과 피혁의 연관성을 이해하고 이를 소재로 하여 이집트의 조형성과 미의식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피혁 소제의 특이성을 이용한 새로운 표현 기법을 연구하여 이집트의 디자인적 모티브와 현대적 감각에 의한 표현성을 위주의 조형적 의상 세 점과 실용성과 표현성을 함께 고려한 의상 네 점, 여기에 부조 일러스트레이션 한 점을 제작 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에 의한 결과 예술적 배경에 의해 복식의 형태고찰로 남성복식은 로인 스커트의 종류를 중심으로 그 형태를 파악하였는데, 고왕국 초기의 삼각형 돌출은 점차 발전하여 피라밋의 외관을 그대로 반영한 트라이앵귤러 에이프론(Triangular Apron)이 되었고, 쉔도트(Shendot)의 기계적 주름은 제 3왕조의 계단식 피라밋을 연상케 한다. 스핑크스가 머리에 쓰고 있는 형태는 왕이 머리에 쓰고 있는 크라프트(Claft)의 형태와 일치하며, 여성 복식의 쉬스 스커트(Sheath Skirt)에서 보여 주는 임브리퀸트(Imbriquent)문양은 반인반조(半人半鳥)의 형태를한 호루스(Horus)신의 깃털을 문양화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건축과 회화 조각 등의 일반 예술의 경향은 한 시대의 복식 동향과 일치하는 경향을 말하며, 복식이 어떠한 예술 형태 보다도 인간과의 관계에 있어서 밀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이러한 예술과 복식의 관계성에 의한 이론적 바탕에 해 고찰된 결론은 현대적 감각으로 재 조명되어 이집트 이미지 의상연구의 작품제작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이집트의 전형적 디자인의 모티브인 피라밋을 응용한 조형화 과정에 의해 피라밋 외관과 인체의 조화는 조형적 차원의 이집트 이미지 의상으로 표현되었다. 둘째, 중왕국 귀인의 관 머리부분의 단편을 직접적인 모티브로한 현대적 디자인의 점퍼가 조화를 이루어 이집트와 현대적 미의식을 접목시킬 수 있었다. 세째, 신왕국 시대의 사냥을 주제로한 벽화는 벽화의 부조된 상태가 피혁 소재에 표현이 가능하여 이집트 벽화를 그대로 재현할 수 있었다. 네째, 호루스 신의 모티브는 새의 깃털 표현이 중점적으로 연구되어 피혁을 소재로한 새의 이미지가 소재의 특이성에 의해 그 새로운 기점이 제시되었다. 작품제작 과정에 의해 소재의 성질을 파악하게 되었고, 이를 통하여 피혁 소재의 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피혁 소재의 작품제작을 통하여 피혁소재의 특이성에 의한 장점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는 완전한 피혁의 절개가 아니라 적당한 힘에 의해 피혁 단면을 컷팅(Cutting)하며 이 부분을 꺽음으로 얻어지는 각진 모서리의 표현력이다. 둘째, 단단한 우피의 표면을 조각도를 이용하여 마치 새의 깃털 같이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세째, 염색이 용이한 이점을 이용하여 붓으로 피혁을 직접염료를 사용하였으며, 이로인해 부분적 색감의 표현이 뛰어나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에 의해 피혁 소재의 새로운 기법과 표현력이 제시 되었으며, 이는 좀더 나은 피혁 소재의 다양성과 대중화을 위해 연구되어야 할것이다.;Regarding the ancient Egypt culture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forming of Western culture, this study is, first of all, following the fact that the origin of Western costume history could be found in studying Egyptian costume culture. To study Egyptian costume, it was considered through various works of Egyptian art collectd in museums and the ancient costume hestory. With this background of theory, the interrelation between art and costume could be sought and the practical costume making is accompanied to help understnding Egyptian art and costume. Though the best material for studying of Egyptian costume is real clothes worn by them, few cloth is in fair preservation in a long time, Therefore some records on costume, revealed in various works of Egyptian art collected in Louvre, Great Britain. The Museum of Cairo, and articles on Egyptian costume history are inquired for this study. The examples for the interrelation between Egyptian art and costume are the silhouette of Triangular Apron which looks like the Piramid pattern, typical Egyptian motive, machanically repeated pleats of Shenolon are similar to the third Dynasty, King Zoser's stair-shaped Piramid, the claft, a headgear of king, is the same with the thing on the head of Spinx, and the Imbriquent pattern is come from the sirenic Horus's feathers. From those examples, it is obvious that the architecture than any other art forms, gave great influence on their costume, because it could be seen in every place in daily life , so it could be understood easily. For practical clothes to Art-to-wear making, their native motive for design was selected and it was recreated with modern point of view. In the choosing of material, there whould be understnading of the connection between Egyptian costume and leather. Using he leather is to espress the Egyptian plasticity and asthetic. Therefore, the special qulity of leather for new espressional technique, is used here and 3 plastic clothes, 4 weakable clothes, considered the plasticity and practicality, and a relief illustration are mad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ⅹ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3 Ⅱ. 고대 이집트의 복식 문화적 배경 = 5 A. 문화적 배경 = 5 B. 예술적 배경 = 11 Ⅲ. 이집트의 복식 = 43 A. 남성 복식 = 43 B. 여성 복식 = 52 C. 장신구 = 56 Ⅳ. 이집트 이미지의 현대 복식 고찰 = 60 A. 이집트예술의 디자인적 모티브와 색채분석 = 60 B. 복식의 실루엣과 소재 분석 = 64 C. 현대 복식에 나타난 이집트 이미지의 의상 = 69 Ⅳ. 작품 제작 = 75 A. 제작 의도 = 75 B. 제작 방법 = 76 C. 작품 및 해설 = 78 Ⅴ. 결론 = 114 참고문헌 = 117 ABSTRACT =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9952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의상디자인-
dc.title이집트 예술을 응용한 의상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피혁을 소재로-
dc.format.pagexiii, 1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