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정희-
dc.creator이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6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1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5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132-
dc.description.abstractArt education has its ultimate goal in discovering aesthetic value and intemalize it Into one's character. That is, art education is aimed at raising a man of aesthetics. Therefore, art education should Provide aesthetic experiences so that learners find the aesthetic value of natural environment and surroundings. Aesthetic experiences let the people get to know certain traits or relationships through senses, and an education requires understanding of aesthetic experiences and examination of art. Thus, aesthetics can guide us to our artistic creation or aesthetic experiences by criticizing beliefs in and theories of art through critical and empirical reviews This paper is intended to discuss how aesthetics will be treated in class in the aspects of contents, methods and Practic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examines, through literature study, the status and value of aesthetic education and analyses the contents that can be covered in aesthetics for systematic aesthetic education. However, only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does not aesthetic education work. For lack of theorized and systematic teaming-teaming methods, it is not easy to activate aesthetics in class. Hence, this paper suggests an methodological approach to facilitate aesthetics in art education. Also, on the basis of the approach of contents and methods, which was mentioned above, this paper develops examples of a practical teaching-learning plan for each level. As a plan for activating aesthetics in school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mes to a conclusion as the following. First, understanding and grasping aesthetic subjects necessitates special education and training, so school education should provide systematic and specific curricula. If art education at school does not suggest a stuctured teaching-loaming method o( aesthetics, a lot of people will lose the chance to approach systematic aesthetic experiences. Also, they can hardly experience aesthetic enjoyment as an individual or a group. Second, aesthetic and philosophical thinking improves aesthetic understanding in art as well as a teacher's professionalism. Therefore, teachers should make an effort to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beauty and a]f, and they should also have good skills at aesthetic approaches for teaching. When teaching aesthetics, teachers should have the view that human experiences are balanced and integrated. Aesthetic senses is an integrated emotion that is connected to reason rather than emotion, so teachers should not emphasize too much the aspect of reason in educating aesthetics. Hence, they should study aesthetic education as integration with creation and appreciation rather than an isolated field. Third, human beings have living consciousness, and they have their own way of recognition rather than recognizing things as they we. Accordingly, one's experience is unique itself, and an positive action of consciousness is needed for a thing to become the one that has meaning. In that sense, aesthetic education should secure students' spontaneity so that they can experience positive and active encounter with aesthetics. Consequently, change of a traditional teacher-student role is required. In other words, relationship between a teacher who suggests one way and a student who accepts it indiscriminately should be transformed as that between cooperators who supplement and interchange each other. With improvement like this, we can expand aesthetics from art education to the whole life on the basis of 'life world' of students. As a result, students can enjoy aesthetic thugs as an aesthetic man, active creator of various kinds of environment, and grow their quality to improve society and culture in harmony.;아직까지도 우리의 미술교육은 미술제작을 위한 기술적 측면만이 강조되어 미술의 이해 및 감상을 돕는 이론적 측면이 균형을 이루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은 미술제작 활동 외에 미술이 지닌 문화적 의미와 역사적 공헌, 또는 미술작품을 어떻게 보고 분석하며 의미해석을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상당부분 잃고 있다. 즉 구체적 지식체계의 하나인 미술이 무엇인가에 대해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거의 접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학교육을 제작활동과 더불어 병행되어야 교육, 아니 좀 더 근본적인 기초교육으로 본다. 그리고 조화로운 심미적 인간 육성을 위해 미학교육이 필수적임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학교현장의 미학교육은 아직까지 그 위상이 그리 높지 않다. 물론 이론적 체계와 이해를 강조하는 미학교육이 연구된 것이 최근 몇 십 년 사이의 일이기도 하지만 이 교육 자체가 형이상학적이고 추상적이다라는 이유로 미술교육에 미학을 도입하는 것에 회의를 품는 교육현실과 교사의 미학에 대한 이해와 기술 부족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미술교육의 질적 양상을 도모하고 과학적인 체계를 마련해 줄 수 있는 미학의 올바른 이해와 현장 적용을 위해 이러한 교육의 위상과 가치를 고찰하고, 미학에서 다룰 수 있는 내용적·방법적 면들을 검토해 다른 나라의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예시안을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인 미적 체험, 표현, 감상별로 미술의 제작과 감상, 이해를 통합적인 측면에서 각 2개, 3개, 3개를 개발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미술이 지적인 창작영역임을 감안할 때, 기존의 실기제작 위주의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사상적, 이론적 자극이 결여되어 기능위주의 미술교육을 낳았다. 이러한 교육 현실 속에서 본 연구에 제시된 미학교육의 접근은 예술 이론, 미적 경험, 미적 판단에 관한 교사의 이해를 도움으로써 학생들의 미적 비판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미술의 제자활동과 더불어 생활 속에서 미술이 지니는 생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질 높은 미술교육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미술활동은 단지 제작활동뿐 아니라 근본적으로 질 높은 미적 안목을 추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미학교육이 필수적이다라는 사실을 본 연구를 통해 교사가 인정할 때, 교사 자신은 미술에 대한 그 자신의 충분한 이론적 이해를 위해 노력해야 되고 학생들의 심도있는 미술의 이해를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교수법의 개발이 필요함을 깨닫는다. 셋째, 학생들은 본 연구의 예시안을 활용해 만든 교사들의 미학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미적 시각과 도구를 단련함으로써 작품 제작활동상의 어려움, 더 나아가서는 일상에서 직면할 수 있는 미술이해에 대한 갈등 등을 극복해 정신적·감정적 성숙을 이끄는 도화선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예시된 프로그램을 학생들의 학습 단계에 맞게 이론적, 학문적, 과학적 방법으로 개발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ⅴⅱ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 3 3.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5 1. 미학교육의 등장 배경 = 5 2. 미학교육의 가치 = 8 3. 미학교육의 내용 = 10 4. 각 국의 교육과정에 나타난 미학적 접근 비교 = 24 가. 미국 = 24 나. 호주 = 33 다. 우리나라 = 38 4. 미학교육의 기술적 접근 방법 = 46 Ⅲ. 미학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안의 예시 = 53 1. 영역별 교육 내용 = 53 2. 교수·학습안 예시 = 55 가. 미적 체험 = 55 나. 표현 = 60 다. 감상 = 67 Ⅳ. 결론 = 73 참고문헌 = 76 부록 = 80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641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미학-
dc.subject미술-
dc.subject교수 학습-
dc.subject미술교육-
dc.title미학을 통한 미술과 교수, 학습 방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