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8 Download: 0

전통 문양을 응용한 후식기 디자인 연구

Title
전통 문양을 응용한 후식기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 as a Decorative Motif for Dessert Wares in Ceramic
Authors
이은희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Keywords
전통문양후식기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한반도의 오천년 역사를 통해 도자 예술은 그 시대적 배경과 종교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문양의 변화를 거듭하였다. 고도자(古陶滋)에 나타난 우리의 독특한 도자 예술은 21세기의 새 천년을 맞이한 이때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신라토기, 고려청자, 조선백자에 표현된 특징과 아름다움은 우리 한민족의 우수한 문화를 널리 알리고 있는 것이다. 수렵시대, 농경시대, 산업경제시대를 통해 인간들은 생존을 위한 식문화(食文化)에서 점차 삶의 질을 높이고 여유와 아름다움을 일상에서도 추구하는 욕구가 강해지면서 주식과 함께 후식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게 된 것이다. 한국 전통문양은 우리 조상들의 삶이 담겨있으며 우리에게 친근한 소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게 친근한 문양을 응용하여 전통 다과(傳統 茶菓)를 위한 후식용기(後食用器)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식기에 대해 고찰해보고 전통문양의 종류를 알아보았으며 우리 나라의 후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리의 다과에 맞는 후식용기의 기능적인 면과 조형적인 면을 조화시키면서 디자인하였고 당초문, 연꽃문, 보상화문, 물고기문, 기하학적문양 등을 이용하여 장식하였다. 테이블의 분위기와 시각적 즐거움을 줄 수 있는 형태로 디자인된 후식용기는 떡을 담을 수 있는 접시와 약과, 다식 등을 담을 수 있는 접시, 화채를 담을 수 있는 보울(Bowl), 식혜, 수정과를 담는 그릇으로 구성하였다. 제작방법으로는 주입성형(주입성형), 가압성형(加壓成形)을 이용하였으며, 물레성형을 하였다. 소지는 Silk White 소지와 백자토, 산백토를 사용하였다. 일부는 안료를 이용하여 색소지를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백색 화장토로 분장을 하고 스펀지를 이용하여 문양을 장식하였다. 시유는 투명유를 담금법으로 하였다. 0.4㎥ 전기가마와 0.5㎥ 가스가마에서 7시간 동안 최고온도 850℃에 초벌 소성 후 재벌 산화소성(酸化소성)으로 9시간 동안 최고온도 1260에 끝마쳤다. 전통문양을 응용하여 디자인한 후식용기가 일상생활의 활력소와 휴식의 역할을 하는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고 일반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수공예적인 장식을 가미해 심미성을 더할 수 있었다. 다과를 미각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즐길 수 있는 다과용 후식기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함으로 해서 디자인 영역을 확대시켜 나아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Through the Korean history of five thousand years, Ceramic art is in various form and pattern by the historical background, relligion, and culture. Our special ceramic art which appears in old ceramic, is recognized valuable in all over the world at new millennium. The characteristic and beauty which apper in Shilla earthenware, Goryeo celadon, Chosen ceramic let know our superior culture widely. Through the period of hunting, agriculture, industry, and economy, Peoples are interest in dessert with staple food, because of strong desire for inner reserve and beauty. Korean traditional decorative patterns contain our ancestor's ways of life and is a familiar material to us. Therefore the above thesis will look at ways to develop Korean tea and cookie dessertware designs through the use of traditional decorative patterns which are familiar to u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