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원선영-
dc.creator원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5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1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5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122-
dc.description.abstractModern society is showing transitional structure which is pursuing distinction and diversity through ceaseless changes. Improved from established system, it pursues originality through new technology. Under these situation, various forms of design is possible by reinterpretation of existing meanings through the creative and experimental attempt. In these sense, deconstruction which starts from criticizing text has a significant meaning by means of a theoretical basis of this study. This affects on diversified present cultural phenomenon and formative arts and even on dress and its ornaments. In this study, reflecting such a current states, creating a new clothing formative arts was aimed at. New and creative form deviated from established form of existed clothing is studied. To create new form, It aims at stuiding reorganized form, which is express on a plane by compressing clothing. That is to say, through deconstructing general form of clothing discomposinarily and developing new form of clothing by rearranging it on an plane, it aims at affecting a creative possibility and value of design deviated from a conventional fixed idea. Also, it aims at searching for fresh look giving satisfaction to the modern people who have individually various character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recoginzing the concept and property about relief and deconstruction and looking into how these are applied to arts and design. On the basis of this, discompositionary image which is one of expressing method of discompositionary clothing is applied to the design and some pieces of works are produced. For the way of study bibliography, reference works and cited photographs are classified and analyzed for its theoretical basis and total 8sets of works are based on them. This is a brief summary by theory on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study through the example of deconstruction fashion with the concepts and designs of decontruction, it is recognized that deconstruction which is a moulding design free from exiting stereotyped formula contributes to the value and development of design through a new access way which differ from the existed. Second, discompositions takes to piece the classic fashion principle in deconstruction clothing ignores the subject and the core and comes forth unsymmetrically. And such a discompositionary design takes to pieces the function and object of clothes and consequently acts as the basis of creations in the shape of irregularity, imperfection and asymmetry. This is a brief summary through made of works on this study. First, this works can establish a unique and a fresh structure which linked with each items by being deconstructed it to one surface the form of cloths and its ornament such as a jacket, blouse, a one-piece dress, vest and so on. Second, it is possible to reduce subsidiary materials and possible to know the wearing is simple compared to the cloths and its ornaments which is seperated with an upper garment and trousers but on the process of cutting we have to sustain a textile loss because general and typical pattern is deconstructed and extended to a plane so that the size of one pattern is more bigger and this pattern is ursymmetric. Third, by using molding effect of relief, the discompositionary destruction of general formula's ordinary pattern results in an access method of creative design which overcomes exiting common sense and presents a new form of clothing. Through the above conclusion of this study, it is recognized that discompositionary design which is irregular, imperfect and asymmetric presents much possibilities of creative design. But it needs complement of functionality and wearability like ready-made clothes. Therefore, if a study be continued further, it can inject fresh vigor to the fashion industry.;현대 사회는 끊임없는 변화를 통한 차별성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유동적 체계를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시스템에서 발전하여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통해 창의성을 추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창조적인 실험주의적 시도를 통한 기존 의미들의 재해석은 다양한 형식의 디자인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근원주의적 텍스트들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시작하는 해체주의는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는 다원화된 현대의 일반 문화현상 및 조형예술분야, 그리고 복식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사조를 반영하여 새로운 복식조형을 창조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기존의 복식이 가지는 개념적 구성방식에서 탈피하여 새롭고 독창적인 형태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새로운 형태를 창조하기위해 복식을 정면에서 압축하여 한 표면 위에서 재구성된 형태를 연구하는데 그 목표를 두었다. 즉, 일반적인 복식의 구성을 탈구성적으로 해체하고 한 평면에서 반 입체적으로 재구성하여 새로운 형태의 복식디자인을 전개함으로써 기존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창조적인 디자인 가능성과 가치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개성의 현대인들에게 자아정체감에 대한 만족을 줄 수 있는 새로운 룩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 배경으로서 해체주의에 대한 개념 및 특성을 살펴보고, 예술 및 디자인에 적용된 표현을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해체주의 복식의 표현 방법 중 탈구성적 이미지를 디자인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패턴을 반 입체적으로 재구성하는 원리를 토대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배경의 연구를 위해 문헌, 참고작품, 사진 자료를 유의 표집하여 정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실물 총 8점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논문의 이론적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체주의의 개념 및 디자인에 대한 고찰과 함께 해체패션에 대해 사례를 통해 연구한 결과, '열린 사고'를 통한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조형 디자인으로써의 해체주의 디자인은 기존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디자인 접근방법의 제시를 통해 디자인의 가치성과 발전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해체주의 복식에서 고전적 패션 원리를 해체한 탈구성화는 주체와 중심을 무시하고 비대칭적인 모습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탈구성적 디자인의 모습은 의복의 기능성, 목적론을 해체시키고 불규칙, 불완전, 비대칭 등의 모습을 통해 창조의 기반으로 작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품제작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작품은 자켓, 블라우스, 원피스. 베스트등의 복식의 형태가 한 표면으로 탈구성화 함으로써 각 아이템이 연결된 독특하고 새로운 구조를 이룸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일반 전형적인 패턴을 탈구성화하여 평면으로 연장시킴으로써 하나의 패턴의 크기가 크고 좌우 비대칭을 이루기때문에 재단과정에서 일반 패턴에 비해 다소의 원단 손실이 있을 수 있지만, 상ㆍ하의가 따로 분리된 복식에 비해 부자재를 절감할 수 있고 착용이 간편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복식의 일반패턴의 구성형식에서 벗어나 탈구성화한 결과, 기존의 상식을 뛰어넘는 창의적 디자인 접근이 가능했고, 이를 통해 형태와 구조면에서 새로운 복식디자인 개발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상을 내용을 통하여, 불규칙하고 불완전하며 비대칭적인 탈구성적인 이미지가 많은 창조적인 디자인 가능성을 제시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기성복과 같은 완벽한 착용감과 기능성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한 단계 더 발전된 연구가 지속된다면, 앞으로 패션 산업에 활력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Ⅸ 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내용 및 방법 = 2 2. 이론적 배경 = 3 2.1. 해체주의의 형성배경 및 개념 = 3 2.2. 데리다의 해체 전략 = 8 2.3. 해체주의 디자인의 특성 = 11 3. 해체주의와 복식 = 17 3.1. 현대복식에 나타난 해체주의 = 17 3.2. 탈구성적 복식디자인의 특성 = 40 4. 작품제작 및 해설 = 50 4.1 제작의도 및 방법 = 50 4.2. 작품 및 해설 = 54 5. 결론 및 제언 = 96 참고문헌 = 98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746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해체주의-
dc.subject의상디자인-
dc.subject탈구성-
dc.subjectFashion Design-
dc.title해체주의의 탈구성적 접근을 통한 의상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through discompositionary approach of deconstruction-
dc.format.pagex, 10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nbsp-
dc.identifier.major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