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은승-
dc.creator최은승-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5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1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5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118-
dc.description.abstract직물디자인은 산업혁명 이후 섬유 산업이 발달하게 되면서 다양한 소재의 개발이 이루어지게 되었고 패턴 디자인은 시대에 맞게 변화하였다. 오늘날 섬유산업은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대량 생산된 획일화 된 제품보다는 직물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독창적이고 다양한 디자인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있다. 이와 같이 직물디자인은 사회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 생환양식 등에 의해 각기 문화 에 맞는 모습으로 발전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면 모든 문화적 기반과 마찬가지로 찬 시대와 문화에 따라 직물디자인 또한 그 문명의 패러다임에 따른 양식을 까지 게 되었다. 본 연구는 각 문명의 영향력이 그 시대의 문화를 규정한다는 일반적인 원칙에 입각하여 한반도에서 가장 막강한 국가이었던 고구려의 부장문화인 고분(古墳) 벽화에 나타난 연꽃문양을 통하여 현대의 직물디자인에 적용하며 그 시대에 이미 문화 선진국 이었던 고구려의 미적 감각이 현재에 재현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보여지는 여러 문양들 가운데 연꽃문양을 선택한 이유는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연꽃문양은 같은 시대에 나타난 연꽃문양 들과 다른 독특한 미적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사라지는 이미지가 아니고 현대 까지 일관된 형태로 남아있기 때문에 고구려고분(古墳)벽화에 나타난 연꽃문양의 조형적 미의식과 특징을 응용하여 다변화되는 국제화 속에서 경쟁력 있는 직물디자인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한국적인 이미지의 모티브의 하나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 표현된 연꽃문양을 이용하여 우리 미의식의 윈초적 동일성에 대한 재조명, 재해석, 재구성하여 오늘날의 시대상황에 맞는 디자인을 개발해 보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첫째, 연꽃문양의 배경과 상징적 의미를 문헌과 실증적 자료를 통하여 역사적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조선시대의 연꽃문양의 특징과 변화를 분석하여,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연꽃문양의 조형적 특성을 재구성함으로써 현대적 표현 가능성을 모색한다. 셋째, 고구려 고분벽화의 표현방법과 벽화의 색채를 고찰하고 벽화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 한다. 넷째,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연꽃문양의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작품 제작에 응용하였다. 고구려고분 벽화에 표현된 연꽃문양의 표현양식을 통한 이미지를 재구성함으로써 현대적 가능성을 모색하고 보다 새로운 직물디자인을 을 제시해 보았다.;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textile design has been developed as verity material development, and pattern design has been changed along to the times. Now the industrial of textile is needed to develope the unique textile design as added value instead of mass-production for being satisfied consumers' verity needs. Also textile design has been developed by the facts of society and culture, living style step with each civilization. According to these situations, textile design has a form of the cultural paradigm as like each the times and culture effect cultural founda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general rule that each cultural influence laid down as the times all cultures. The main purpose is to show the powerful country, sense of beauty throughout the burial culture, the pattern of a lotus flower on the wall of an ancient tomb to apply to the modern textile design. The most important meaning of the choice of the lotus flower pattern was not only disappeared with the times but also to be existed as the form consistently. The other purpose is to develop the competitive the textile design of upholstery to adapt speedily changed international culture. So, we tried to develop the design that is adapted to re-explanation and re-construction on the identity of original aesthetic sense. On theoretical, the first we consider the definition of pattern and background of origin and the meaning of symbol through literature and actual proof in historically. The second, we grope for possibility of modernistic expression from that analysis the characteristic of the times and reconstruction of image and kinds of a lotus flower. The third, to analysi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 and molding of wall painting, further to consider the technique of production and the meaning of the wall painting of Kokuryo's tomb. The forth, to adapt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facts of a lotus flowers design expressed into the wall painting to produce a work. From the reconstruction of the image through the expression of the lotus flowers pattern in the wall painting in tomb, to grope the traditional pattern to create up to modem design for new upholstery textile of sofa design. The technique of expression shows the image of a lotus flowers pattern from the transformational twill cloth and the colors were shown such are black and yellow, red, egg plant, blue, green, and also to use boucle yam and loop yarn to maximize the visual expression of the lotus flowers pattern. The conclusion of process this studying is as follow. The first, the traditional pattern has been recreated to simple pattern as follow the sense of modern. The second, whenever to show the traditional pattern, people ordinarily use fundamental colors, but we tried to use new colors from the lotus flowers and new technique of expression. The third, to express the natural touch of wall painting to the textile and produce comfortable and soft textile for sofa. We hope this studying is a trial to adapt the textile design from our traditional pattern like the lotus flowers on the wall painting in the Kokuryo's tomb.-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 1 2. 연꽃문양의 역사적 고찰 = 3 2.1 연꽃문양의 배경 = 3 2.2 연꽃문양의 시대적 특징 = 6 3. 고구려 고분벽화의 특징 = 14 3.1 고구려 고분벽화의 배경 및 내용 = 14 3.2 고구려 고분벽화의 표현기법 및 색채 = 15 3.3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연꽃문양의 특성 = 17 4. 직물 디자인에 나타난 연꽃문양 = 24 4.1 역사적 직물에 표현된 연꽃문양 = 24 4.2 현대적 직물 = 25 5. 작품제작 배경 및 분석 = 32 6. 결론 = 69 참고문헌 = 70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819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고구려-
dc.subject고분벽화-
dc.subject연꽃문양-
dc.subject직물디자인-
dc.title고구려 고분벽화의 연꽃문양을 응용한 직물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Fabric design for adapting of lotus flower's design on the wall of the Kokuryo's tomb-
dc.format.pageix,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직물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직물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