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6 Download: 0

한국 선사시대 토기이미지를 표현한 직물연구

Title
한국 선사시대 토기이미지를 표현한 직물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Flabric Based on Image from Pre-Historic Potterys
Authors
현승희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직물디자인전공
Keywords
한국선사시대토기직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 선사 시대 토기는 주변의 어느 나라와도 다른 독특한 특징을 갖고 있으며 토기를 제작하는 사회집단의 전통과 사상, 미적 감각이 융합되기 때문에 고대문화를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토기의 형식과 제작기법은 시대의 변천에 따라 변화를 같이해 왔으며, 당시의 생활감각을 엿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앙적, 경제적 면까지 알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한국의 선사시대 토기는 문양의 구성에서 한국적 특색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어 우리 고유의 문화적 특성까지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신석기시대의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빗살무늬 토기를 주로하여 그 이미지를 현대적인 직물로서 표현함을 이 논문의 목적으로 삼고,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선사시대 토기의 일반적인 내용과 토기의 문양, 지역별 문양의 차이 등을 고찰하였으며, 우리의 가장 원시적인 문양과 토기의 독특한 질감을 재구성하여 현대적인 직물로 이미지화함에 있어서 어떤 대상을 예술작품으로의 표현, 즉 예술이 사물의 현상을 단순히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 현상속에 숨겨진 의미를 표현하는 것이고 이에 따른 예술가의 창작활동은 내면세계를 주관적 조형 원리로 표현하는 것이라는 이론적 개념과 본 연구자의 작품의 주된 표현의 요소인 선과 질감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작품을 제작하고 분석하여 전통문양의 현대적 표현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작품에서 사용된 색채는 선사인들이 토기를 만드는데 사용한 모래나 흙의 느낌의 자연적인 색채를 사용하였으며 조직은 능직(twill)을 기본으로 하고 다양한 표현을 위해 Tie-up과 Treadling에 변화를 주어 새로운 느낌의 조직을 표현하였다. 또한 경사에 묘염기법과(Warp Painting) 실크 스크린 프린팅(Silk Screen Printing)기법의 이용으로 단순한 조직이나 소재의 텍스츄어에 의한 이미지표현보다 더 사실적이고 회화적인 표현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하여 묘염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실크 스크린 프린팅을 통해 얻어지는 효과가 제직에 의해 더욱 선명하게 다르게 나타남으로써 새로운 조형적 표현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디자인 작업을 통하여 우리나라 특유의 선사시대 토기문양의 독특한 선과 토기의 질감을 개성적으로 재구성한 차원 높은 산업공예로서의 확대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었다.;Potterys from Koreas pre-historic age have a unique characteristic. Showing the tradition, ideology and artistic touch of the society, it is an invaluable data in understanding pre-historic culture. The formality and technique concerned with the pottery has changed with the time showing the life and culture of the time that it was made. In this thesis I have tried to express the image that is found In the "Bitsal Muneii Ttogi" into modern textile. Emphasizing lines and texture used in my work I have tried to show that art is not just expressing objects but also representing the hidden meaning of the object and the creativity of the artist that created that piece of art. Using the above as a basis, 1 have researched ways to express these in my work. The colors used in my work comes from the sand and clay used for the pots. Twill was chosen as my basic pattern. Making changes to Tie-up and Treadling gives us a more diverse expression. Also using warp painting and silk screen printing method I tried to get a more versatile expression of simple patterns and an expression of images by the texture of matterial. By using the effects from warp painting and silk screen I will present a new way of expression. In my study I have researched new ways to use the lines and texture that we can find in pre-historic pottery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직물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