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8 Download: 0

效果的인 讚頌歌 伴奏法에 關한 硏究

Title
效果的인 讚頌歌 伴奏法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Effctive Accompaniment : On the Base of a Piano
Authors
金周姸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찬송가반주법피아노Piano음악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반주자는 설교자와 함께 예배의 중요한 인도자이며, 예배를 이끌어 나가는 지휘자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오늘날 반주자에 대한 신앙적, 음악적 교육의 부재로 말미암아 회중 찬송의 실질적 인도자인 반주자가 그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예배중 일어나는 다양한 상황에 알맞는 기술적인 반주, 예리한 판단력과 음악적 감각을 요하는 반주, 변화있는 형태의 찬송가 반주 등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예배 음악 반주자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찬송가 반주법 자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독교 역사속에서 찬송가 반주의 변천과정과 반주자의 역할 및 자세에 대한 여러 문헌들을 조사한 결과, 무반주성악곡이 음악의 핵심을 이루던 구약시대로부터 오르간이 예배 음악의 주악기로 정착된 현대에 이르기까지 찬송의 반주는 많은 변화속에서 그 중요성을 더 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현재 여러 교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반주자들을 대상으로 반주자 스스로에 대한 만족도 및 반주형태, 음악 기술적인 적용여부, 반주자 재교육 및 교재개발의 필요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반주자들은 대부분 건반악기를 전공하고 있거나 전공을 하였고, 예배에서 반주자의 역할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의 반주능력은 그 역할의 중요성에 비해 부족한 편이며, 특히 음악적 기술부분은 더욱 미흡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반주자들은 예배 음악 반주자에 대한 음악적인 재교육과 효과적인 찬송가 반주법 교재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다. 이러한 설문조사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반주자들이 쉽게 학습할 수 있는 피아노를 중심으로 한 찬송가 반주법에 관한 자료를 개발하였다. 자료는 크게 다섯가지 분야, 즉 (1) 찬송가 가락을 동반한 반주형태, (2) 찬송가 가락이 없는 반주형태, (3) 특별한 경우의 반주형태, (4) 가락만 있는 악보의 반주화음 설정과 화음진행법, (5) 연주회를 위한 찬송가 변주의 예로 나누어져 있으며, 초보단계인 반주자로부터 전문적인 수준에 있는 반주자까지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경우에 적당한 찬송가를 선정하여, 악보로 그 예를 제시하였다. 회중 찬송가 반주자가 갖추어야 할 음악적인 기술 중 즉흥연주, 조옮김과 조바꿈, 대리화음, 차용화음, 변화화음 등 화음전반에 관한 적용능력과 창의적인 상황대처기술 등에 대한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그 내용을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찬송가 반주법 자료는 반주자들에게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찬송가 반주에 관심있는 연구자들에 의해 본 자료의 효율성에 대한 점검과 더불어 찬송가 반주법에 대한 자료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An accompanist as well as a preacher is an important guide to service, and acts as a conductor of service. However, an accompanist has not done his or her duties, because of the lack of theological and musical ability as a hymn accompanist. Especially, they have suffered from some troubles such as technical problems to cope with the changes of various situations, and to need the cute judgment and musical sense, for a hymn accompaniment in various styles. This study, therefore, has been performed to develop practical and effective materials for hymn accompaniments, which help accompanists solve their difficult matters. For this purpose, many papers concerning both the transition of hymn accompaniment in the Christian history and the role and manners of accompanists were extensively surveyed. It is found from paper works that hymn accompaniment has been greatly changed from the Old Testament era in which unaccompanied vocal music was dominant to the present age in which an organ has been settled as a major instrument for a service music, and that the importance of accompaniment has been emphasized more and more. Taking accompanists who are acting at various churches as the object, the survey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a feeling of self -complacency, accompaniment style, technical applications, retraining for accompanists, and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most of accompanists are majoring or majored in keyboard instruments, and consider the role of an accompanist important. However, compared with the importance of an accompanist, the individual ability, especially musical technics, is insufficient and unsatisfactory. Furthermore, they intensively desire for the musical retraining and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for the hymn accompaniment. Therefore, based on these survey results, the materials for hymn accompaniment using a piano were newly made in this study. The materials are composed of 5 parts as follows : (1) accompaniment style with a hymn melody, (2) accompaniment style without a hymn melody, (3) accompaniment style for special occasions, (4) determination of chord progression for a simple melody, (5) samples of hymn variations for a recital. The materials contain the various sample scores for a beginner and an expert, respectively, and explain both chord applications such as improvisation, transposition, modulation, borrowed chord, and altered chord and creative technics to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which are necessarily required to every accompanist. Therefore, these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believed to be very useful to hymn accompanist. Hereafter, it is expected that the efficiency of these materials is checked and confirmed, and that new materials for hymn accompaniments are successively develop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