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차미자-
dc.creator차미자-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1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1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4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17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difficulties that preschoolers experience when they write. The studying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the tendency at the preschooler's own name spelling appear zccording to the pattern of tendency ? Second, how does the tendency at the preschooler's writing of korean alphabet appear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endency ? The studying subjects ware 30 preschoolers of kindergarten. Two tasks ware produced, and all these ware used for individual examination. Task 1 was used to study the writing tendency of preschooler's name. Task 2 was produced to study the writing tendency on the basis of the PPSRT (Printing Performance School Readiness Test) and writing textbook of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The writer analyzed two tasks by dividing to 10 tendencies based on the study of Gison(1962) and PPRST. 10 tendencies are like next-line transformation, opening, closing, extending, cut, up-down riversal, right-left riversal, breaking of right angle, stroke order, displacing. The results obtain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tendency of writing appeared by syllable at the preschooler's writing of their own name spelling showed the various patterns of tendency of the vowel's length, the unvalance of the position and interval between a consonant and a vowel, the disharmony of the size between a consonant and a vowel were appeared high comparatively and the various patterns of tendency of enlargement, cut appeared low generally. Second, the tendency appeared by alphabet at the preschooler's writing of korean alphabet showed various patterns of tendency of ㅂ, ㅌ, ㄹ, ㅋ, ㅍ, ㅎ, ㅕ, ㅛ, ㅠ were appeared high comparatively, and various patterns of tendency of ㄱ, ㄴ, ㅅ, ㅈ, ㅏ, ㅜ, ㅡ, ㅣ appeared low generally.;본 연구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자기 이름쓰기 및 낱자쓰기에서 쓰기의 경향을 분석함므로써 올바른 문자인식의 학습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자기 이름쓰기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의 낱자쓰기 경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도구는 이름쓰기 검사지, 낱자쓰기 검사지이다. 검사된 자료들은 항목별로 응답자 전체에 대한 백분률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름쓰기에서 나타난 글자모양의 경향은 음절의 모음 길이가 축소된 형태로 나타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자·모음간의 위치와 간격이 불균형을 이루거나 자·모음간에 크기의 부조화를 이룬 경우이며, 음절을 지나치게 확대하거나 축소해서 쓴 경우는 소수에 불과했다. 그리고 자기 이름쓰기에서 나타난 획순의 경향은 거의 대부분의 유아들이 자신의 이름자에 대한 획순이 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모음중에서는 ㅕ, ㅛ, ㅠ, ㅓ에서 곤란을 많이 겪는 반면에 ㅡ, ㅣ 등 획이 단순한 모음에서는 어려움이 적었다. 모음쓰기 경향에서는 필순과 삭제에서 가장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있는 반면에 대치와 폐쇄의 범주에서는 어려움이 적었다. 자음중에서는 ㅂ, ㅌ, ㄹ, ㅋ, ㅍ, ㅎ에서 많은 곤란을 느끼는 반면에 ㄱ, ㄴ, ㅅ, ㅈ에서는 별 어려움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자음의 쓰기경향에서는 필순과 선변형에서 가장 많은 어려움을 느끼는 반면에 상하, 좌우역전과 폐쇄의 범주에서는 어려움이 적게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유아의 문해교육에 관한 관점의 변화 = 4 B. 유아의 문해 발단 단계 = 10 C. 유아의 문해교육 지도방법 = 27 Ⅲ. 연구 방법 = 33 A. 연구 대상 = 33 B. 연구 도구 = 33 C. 연구 결과 = 34 D. 자료 처리 = 35 Ⅲ. 결과 및 해석 = 37 A. 이름쓰기 경향 = 37 B. 자료 처리 = 35 C. 자음쓰기의 경향 = 43 Ⅴ. 요약 및 논의 = 49 A. 요약 = 49 B. 논의 및 제언 = 50 참고문헌 = 52 부록 = 58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904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아교육-
dc.title유아의 쓰기 경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