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9 Download: 0

리더십 유형이 직무만족 및 행정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Title
리더십 유형이 직무만족 및 행정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leadership style on job satisfaction and administrative performance : Focusing on basic units of local government
Authors
李鐘姸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Keywords
리더십유형직무만족행정성과행정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는 극심한 경쟁사회로 조직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하는 새로운 개념의 변혁이 요구된다. 이러한 변화의 요청은 행정조직에도 예외라고 할 수 없으며, 지방자치제의 실시로 자치단체들에 대한 변화와 개혁의 요구는 거세 지고 있다. 변화의 시작은 조직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주도할 리더십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기존의 리더십에서 주장되어 왔던 비용-효과 측면에서 거래적 리더의 역할에서 벗어나 보다 고차원적인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비전을 제시하는 새로운 개념의 리더를 의미하는 전환적 리더십이 바로 이 변화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개념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환적 리더들이 기존의 거래적 리더보다 부하나 조직에게 효과적인 리더십이라는 것을 밝히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민선자치단체장의 역할 정립에 몇가지 제언을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기초로 가설을 도출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Bass가 개발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구청장의 리더십 유형과 부하들의 직무만족, 행정성과에 대한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행정성과는 효과성 ·능률성 ·대응성 형평성의 네차원에서 측정하였다. 설문대상으로는 서울시 내에 있는 11개 구청을 대상으로 5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7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에서는 SAS를 이용하여 신뢰성 검증, 요인분석, 빈도분석, T-test, Repeated-ANOVA,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래적 리더십과 전환적 리더십 모두 직무만족과 행정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직무만족과 행정성과 모두 거래적 리더십보다는 전환적 리더십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행정조직에서도 리더가 전환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 직무만족과 행정성과가 높게 나타나고 있고,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행정조직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전환적 리더십의 개발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더불어 구청장의 출신배경에 따른 리더십 유형과 직무만족, 행정성과의 차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분석결과에 따르면 구청장이 관료 출신인지 정치인 출신인지에 따라 리더십 유형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구청장이 관료 출신인지 정치인 출신인지에 따라 부하들의 직무만족과 형평성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효과성·능률성·대응성은 구청장이 관료 출신인 경우가 정치인 출신인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효과성과 능률성 측면에서 관료출신 구청장의 행정 경험이 구정 운영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대응성과 형평성의 경우 구청장이 정치인 출신인 구청에서 더 높게 나타나리라는 예상과는 달리 대응성은 오히려 관료출신인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나고 있고, 형평성의 경우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기초자치단체에서 정치인 출신의 구청장이 관료출신보다 민주성면에서 우월하다는 기존의 평가와는 다른 것으로 앞으로 구청장들에 대한 새로운 평가가 필요하다는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Organizations of the twentieth century have made strenuous efforts to adapt themselves to continuously changing environment. The request of change cannot be an exception to the public organization and as the local autonomy begins, the request of change and reform is glowing. It is most desirable for an organization to go through constant changes in order to adjust itself to new environment. For this adaptation, the organization must first realize the need for change, break away from its existing frame, and seek for specific ways for change. The word change here refers to transforming oneself into more effective organization conditions. It is the qualitative changes that make a organization more effective. In order to bring about qualitative changes, a new leadership role is required. This kind of new leader gets rid of a mere transac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leader and followers, motivates his followers, and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an organization by assuming the so call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 transformational leader prepares himself for change which requires adequate preparation, minimizes frictions resulting from changes, and brings about more effective chang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analyze the relation among leadership, subordinates' job satisfaction, and administrative performance ;second, to examine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 through empirical analysis ; third, to compare this impact with that of transactional leadership. The components of administrative performance are effectiveness, efficiency, responsiveness, and equity.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goals, hypotheses were deriv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y were tested by th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in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district-offices in seoul. From the total of 550 questionnaire sent, 479 responses were returned. Among the returned questionnaires, 109 copies that had a high central tendency and poor responses were excluded, and the remaining 370 were analyzed.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AS :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Repeated-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and administrative performance. Second, according to result of T-test, the mean value of job satisfaction and administrative performance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higher than that of transactional leadership. Therefore when a leader displays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e obtains good job satisfaction and administrative performance. This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ll be the very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in public organization. An analysis of leadership style, job satisfaction and administrative performance which would be different by leader's antecedents is added. First, leadership style between previous administrative officer and previous politician didn't appear. Second, job satisfaction and equity weren't different between district-office controlled by previous officer and that of previous politician. Third, the case of previous officer gets higher value for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responsiveness than previous politician. It means that the administrative experiences help to accomplish their roles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But apart from the expectation that the value of responsiveness and equity of district-office controlled by pervious politician would be higher than district-office controlled by a previous administrative officer, district-office controlled by a previous officer gets higher value of responsiveness and in case of equity, there wasn't the significant difference. This result disagree with the general evaluation that previous politician is superior to previous officer in aspect of democracy. As long as the leadership is concerned, we recognized that there seems to be inevitable to meet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in measuring the leadership. Extended replication and further testing of the questionnaire are sugges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